Hyundai Genesis 2016 EQ900 HI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91 of 399
3-61
03
▶에어백의 작동 조건
●정면 에어백
정면 에어백(운전석, 무릎 및 동승석 에어백)
은 차량 정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의 왼쪽에서 오른쪽까지 충격이 있을 때, 정
면 충돌 센서에 충격이 전해지면 충돌 정도에
따라 에어백 제어모듈에서 판단하여 작동합
니다.
OHI036059OHI036059
•정면 충돌 센서 또는 측면 충돌 센서 부
위에 임의의 충격을 가하지 마십시오.
각 센서에 영향을 받아 에어백이 작동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정면 충돌 센서의 경우, 센서의 장
착 각도가 변경될 때는 에어백이 작동하
지 않아야 할 때 작동하거나 또는 작동해
야 할 때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센서를 임의로 만지지 마십시오.
또한 엔진룸 점검할 때는 반드시 시동을
끄고 점검하십시오.
•앞쪽 범퍼나 차체의 변형, 측면 충돌 센
서가 내장되어 있는 B/C-필라와 센서의
각도가 달라질 때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
으므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
핸즈의 점검을 의뢰하십시오.
경 고
Page 92 of 399
3-62
안전 장치
●측면 에어백
측면 에어백(사이드 및 커튼 에어백)은 측면
충돌 시, 측면 충돌 센서에 충격이 전해지면
충돌 정도에 따라 에어백 제어 모듈에서 판단
하여 작동합니다.
정면 에어백(운전석, 무릎 및 동승석 에어백)
은 정면 충돌 시에 작동하나 정면 충돌이 아
니라도 정면 충돌 센서에 충격이 전해지면 정
면 에어백이 작동할 수 있습니다.
측면 에어백(사이드 및 커튼 에어백)은 측면
충돌또는 전복 사고 시에 작동되어지나 측면
충돌 또는 전복 사고가 아니라도 충격이 측면
충돌 센서에 전달될 때 또는 전복 센서에서
전복상황으로 인식할 때는 측면 에어백이 작
동될 수 있습니다.
OHI036061OHI036061
OHI036060OHI036060
비포장도로나 보도블럭 같은 돌출된 도로나
평지 도로에서도 돌출부에 의해 하체 충격이
전해지면 에어백이 작동할 수 있습니다.
돌출부가 있는 도로에서는 반드시 서행하십시오.
▶에어백의 비작동 조건
● 안전벨트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경미한 사고 충격
에어백이 작동해도 탑승자 보호를 위해 적절
한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에어백 작동
으로 2차 피해(가벼운 찰과상, 안경 파손, 화
상 등)가 나서 심하게 다칠 수 있으므로 에어
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OHI036062OHI036062
Page 93 of 399
3-63
03
● 후방 추돌이나 충돌 사고
충돌반력에 의해 탑승자는 좌석 등받이 쪽으
로움직이게 됩니다. 이 때 에어백이 탑승자
보호를 위한 효과를 낼 수 없기 때문에 작동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OHI036063OHI036063
● 버스 또는 트럭 등과의 충돌 사고
사고 순간 운전자는 반사적으로 급제동을 합
니다. 급제동 시 차체의 앞쪽이 낮아지는 현
상이 발생하는데 이 상태에서 충돌이나 추돌
시 범퍼는 상대편 차량의 밑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때의 충격은 차량의 골격부분(차
체 부분)에 전해지지 않기 때문에 충돌 센서
가 설치된 차체에 충격이 약하게 전해져 에어
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OHI036065OHI036065
● 사면 충돌이나 추돌 사고
(앞방향 비스듬히 충돌시)
사면 충돌이나 추돌 시, 정면 방향으로 전해지
는 충격은 정면 충돌이나 추돌 시 보다 약하게
전해져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측면 충돌 사고
측면 충돌 시 탑승자는 충돌하는 방향으로 움
직이므로 차량 앞쪽에서 팽창하는 에어백에
의해서 보호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정면 에
어백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단, 사이드 에어백이나 측면 에어백이 장착된
차는 측면 충돌 시 충돌 세기에 따라 측면 에어
백이 작동할 수 있습니다.
OHI036064OHI036064
OHI036088OHI036088
Page 94 of 399
3-64
안전 장치
● 전복, 구름 등의 사고
전복이나 구름 등의 사고 시 정면 에어백은
작동되지 않습니다.
단, 측면 에어백(사이드 및 커튼 에어백)이 장
착된 차량은 차가 전복되었을 경우, 에어백
제어 모듈내의 전복 센서 감지를 통하여 에어
백이 작동될 수 있습니다.
OHI036086OHI036086
● 전주나 나무 등과의 충돌 사고
전봇대나 나무 같은 기둥형 물체에 충돌할 경
우 에어백 센서에 기준 범위의 충격량이 전해
지지 않으면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
니다.
OHI036066OHI036066
에어백 정비
보조 구속 장치는 사용자가 정비할 수 있는 부품
이 없습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장치의 점
검을 받아야 합니다.
•에어백이 작동하였다면 에어백은 반드시 교
체하여야 합니다. 에어백을 사용자가 분리하
려 하거나 버리려고 하지 마십시오. 이는 반
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서 받으십시오.
•에어백 경고등이 켜져 이상이 있다고 신호를
발생하면 가능한 빨리 에어백 장치를 점검 받
으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필요로 할 때 에어
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차량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조를 한
경우에는 에어백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스티어링 휠이나 좌석, 에어백 장치 및
크래쉬패드, 필라트림, 루프트림 등 주
변의 어떠한 부품도 개조하지 마십시오.
개조하면 장치가 작동을 하지 않을 수
도 있습니다.
•장치의 부품이나 배선을 임의로 작업하
지 마십시오. 블랙박스 등의 용품 설치
시 배선이 에어백 기본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에어백이 의도하지 않
게 작동하여 탑승자가 다칠 수도 있습니
다. 또한 그러한 작업으로 인해 충돌 상
황에서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게 될 수
도 있습니다.
경 고
Page 95 of 399
3-65
03
▶차를 수리할 때, 폐차할 때
• 스티어링 휠 주위, 크래쉬패드, 중앙 콘솔
및 천정 부근의 수리, 카 오디오 등의 장착
및 차량 전면부의 판금이나 도장을 하는
경우는 에어백 장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
으므로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
는 블루핸즈에 상담하십시오.
• 수리를 위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차를 인도할 경우는 에어백
장착 차량인 것을 설명하고 취급설명서를
차내에 보관해 놓으십시오.
• 에어백 장치 내에는 폭발성 화학 물질이
들어 있으므로 폐차하는 경우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상담하
십시오.
•에어백(보조 구속 장치) 장치에 관한 어떠
한 작업 예컨대, 분리, 장착, 수리 또는 스
티어링 휠이나 에어백 장착 부위의 어떤
작업이라도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부적절한 에어백의 취급은 사고 시 심각
한 부상을 입을 수있습니다.
•차량의 용접 시에는 에어백 모듈의 각
컨넥터 및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하
십시오. 분리하지 않을 경우, 용접 시 과
전압으로 인해 에어백 모듈이 손상되어
오작동과 사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차량의 용접이 필요한 경우에는 자사 직
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의뢰하
십시오.
경 고
Page 96 of 399
3-66
안전 장치
에어백의 위험을 상기시켜 주고자 에어백 경고 라벨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운전 전에 반드시 주의 사항
을 숙지하십시오.
에어백 경고 라벨
OHI036067/OHI036068/OHI036069/OHI036070OHI036067/OHI036068/OHI036069/OHI036070
Page 97 of 399
엔진부의 명칭 ...................................................... 7-3
점검 정비 .............................................................. 7-6
운전자 의무 준수 사항 ................................... 7-6
점검 정비 시 주의 사항 .................................. 7-6
일상 점검 .............................................................. 7-8
정기 점검 .............................................................. 7-9
통상조건 ............................................................ 7-9
가혹 조건 ........................................................7-13
엔진 오일 점검...................................................7-14
엔진 오일량 점검 및 보충 ............................7-14
엔진 오일 및 필터 교체 ................................7-15
냉각수 점검 ........................................................7-16
냉각수량 점검 및 보충 .................................7-16
냉각수 교체 ....................................................7-18
브레이크 액 점검 ..............................................7-19
브레이크 액량 점검 및 보충 ........................7-19
자동변속기 오일 점검 ......................................7-20
와셔액 점검 ........................................................7-20
와셔액 점검 및 보충 .....................................7-20
벨트 점검 ............................................................7-20
구동 벨트 ........................................................7-20
에어클리너 점검 ................................................7-21
필터의 점검 ....................................................7-21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 점검 .............................7-22
필터의 점검 ....................................................7-22
필터의 교체 ....................................................7-22
와이퍼 블레이드 점검 ......................................7-23
블레이드의 점검 ............................................7-23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 방법 .........................7-24
앞유리 와이퍼 블레이드 ...........................7-24
배터리 점검 ........................................................7-26
배터리 교체 방법 ...........................................7-26
배터리 관리 요령 ...........................................7-26
배터리 초기화 항목 .......................................7-29
타이어 및 휠 점검 .............................................7-30
타이어 관리 ....................................................7-30
공기압 관리 ....................................................7-30
타이어의 위치 교체 .......................................7-30
휠 얼라인먼트 및 타이어 밸런스 ................7-31
타이어의 교체 ................................................7-31
휠의 교체 ........................................................7-33
타이어의 교체 ................................................7-33
저편평비 타이어 ............................................7-36
퓨즈의 교체 ........................................................7-37
엔진룸 퓨즈박스 ............................................7-38
실내 퓨즈 ........................................................7-41
퓨즈/릴레이 라벨 ..........................................7-42
전구의 교체 ........................................................7-46
전조등, 방향지시등, 차폭등,
주간전조등 전구의 교체...............................7-47
옆 방향지시등 교체 .....................................7-48
제동등, 미등, 방향지시등,
후진등 전구의 교체 .......................................7-48
보조제동등 교체 ............................................7-48
번호등 교체 ....................................................7-48
실내등 전구의 교체 .......................................7-49
차체 손질 ............................................................7-50
외장 손질 ........................................................7-50
7. 정기 점검
7
Page 98 of 399
내장 손질 .........................................................7-54
배출가스 허용기준 ............................................. 7-56
유해 배출가스 ................................................ 7-56
운행차 배출가스 허용기준 ........................... 7-56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차량관리 ...................... 7-57
배출가스 제어장치의 관리 및 정비 ................ 7-58
점화 플러그 ..................................................... 7-58
에어클리너 ...................................................... 7-58
촉매 변환 장치 ............................................... 7-58
7. 정기 점검
7
Page 99 of 399
7-3
07
엔진부의 명칭
1. 냉각수 보조 탱크
2. 라디에이터 캡
3. 브레이크액
4. 에어클리너
5. 엔진 오일 레벨게이지
6. 엔진 오일 주입구
7. 와셔액 탱크
8. 퓨즈/릴레이 박스
9. 점프 스타트 「-」 단자
OHI076001OHI076001
본 도안은 설명을 위한 샘플로, 엔진 또는 차량에 따라 위치 및 형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00람다 3.3 T-GDI람다 3.3 T-GDI
Page 100 of 399
7-4
정기 점검
1. 냉각수 보조 탱크
2. 라디에이터 캡
3. 브레이크액
4. 에어클리너
5. 엔진 오일 레벨게이지
6. 엔진 오일 주입구
7. 와셔액 탱크
8. 퓨즈/릴레이 박스
9. 점프 스타트 「-」 단자
OHI076002OHI076002
본 도안은 설명을 위한 샘플로, 엔진 또는 차량에 따라 위치 및 형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00람다 3.8 GDI람다 3.8 G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