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Genesis 2016 EQ900 HI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101 of 399

7-5
07
1. 냉각수 보조 탱크
2. 라디에이터 캡
3. 브레이크액
4. 에어클리너
5. 엔진 오일 레벨게이지
6. 엔진 오일 주입구
7. 와셔액 탱크
8. 퓨즈/릴레이 박스
9. 점프 스타트 「-」 단자
OHI076003OHI076003
본 도안은 설명을 위한 샘플로, 엔진 또는 차량에 따라 위치 및 형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00타우 5.0 GDI타우 5.0 GDI

Page 102 of 399

7-6
정기 점검
점검 정비 시 주의 사항
•경사가 없는 평탄한 장소에서 실시하십시오.
•시동을 「OFF」 또는 「ACC」로 한 후 변속레버
를 「P」(주차)에 위치시킨 후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놓으십시오.
•엔진 시동 상태에서 점검을 해야 할 때가 아
니면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십시오.
•점검 정비는 환기가 잘 되는 장소에서 실시하
십시오.
•차량 밑에서 작업할 때는 반드시 리프터를 사
용하십시오.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하고 점검 정비하십
시오.
자동차는 시간이 경과하고 주행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그 기능이 저하됩니다.
당사에서 추천하는 정기 점검 주기표에 따라 점
검 정비하여 차량의 수명을 연장하고 주행중의
갑작스런 고장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에서 벗어
나십시오.
(「정기 점검 주기표」 참고)
점검 정비를 할때는 반드시 자사 순정부품을 사
용하시고 차량에 대한 특별한 지식과 장비를 갖
춘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
시하십시오.
만일, 순정부품을 사용하지 않거나 자사 직영 서
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가 아닌 곳에서 점검 정
비하여 발생하는 클레임은 보증수리 기간이라도
보증수리를 받을 수 없으므로 주의하십시오. 자
세한 사항은 보증서를 참고하십시오.
또한, 자동차 관리법에 따라 자동차 소유자는 자
동차 신규등록일로 부터 해당 기간이 경과되면
반드시 점검 및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운전자 의무 준수 사항
점검 정비
주 의
•잘못된 점검 정비는 고장의 원인이 됩니
다. 본 취급설명서에 기재된 점검 정비
방법은 비교적 운전자가 손쉽게 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그러나, 보증기간 내라도 운전자의 잘못
된 점검 정비로 인한 클레임은 보증수리
를 받을 수 없음에 유념하십시오.
기재된 점검 정비 방법이 어렵고 이해되
지 않으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주 의
•물 또는 왁스 등 액체성 물질로 엔진룸
을 청소할 경우 차량의 전기계통에 이상
을 초래하여 정상적인 차량운행이 불가
능할 수 있으므로 액체성 물질로 엔진룸
을 청소하지 마십시오.
주 의
•배터리, 점화 케이블, 전기 배선에는 전
류가 흐르고 있다는 것에 유념하여 퓨즈,
메인퓨즈가 단선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엔진 룸 점검 또는 정비 시 엔진 커버 상
단 또는 연료 관련 부품 위에 무거운 물
건을 올려 놓거나 무리한 힘 또는 충격
을 가하지 마십시오.
점검 정비를 할때는 반드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십
시오.
경 고

Page 103 of 399

7-7
07
•배터리, 점화 케이블, 전기 배선을 만질
때는 미리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하
십시오. 전류가 흐르고 있어 감전될 수
있습니다.
• 냉각팬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차량은 엔진이 작동하지 않은 상
태에서도 냉각팬이 작동할 수 있
습니다.
냉각팬의 작동은 심각한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엔진 시
동 상태에서 점검 정비해야 하
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반드시 시동을 끄십시오.
GDI 엔진의 경우 배터리 「-」 단자
를 분리하지 않으면 냉각팬이 작
동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십시오.
경 고 주 의
•연료 계통(연료 라인 및 연료 분사장치) 정
비 시에는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시하십시오.
•점검 정비 시 엔진 커버를 임의로 탈거
한 상태에서 장시간 주행하지 마십시오.
•엔진부를 점검할 때는 반드시 엔진을 정
지시키고 엔진이 식은 후에 실시하십시
오. 그렇지않으면 화상을 입을 수 있습
니다.
•엔진을 시동시키고 밀폐된 장소에서 점
검 정비할 경우 배기가스에 중독될 수
있으니 반드시 환기를 시키십시오.
•잭으로 차량을 받친 상태에서 차량 밑으
로 들어가지 마십시오.
잭으로 부터 차량이 미끄러지면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연료장치나 배터리 근처에서는 불꽃을
멀리 하십시오.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엔진 시동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
에는 옷자락, 시계, 반지 등은 제거하여
위험을 사전에 방지 하십시오. 구동벨
트, 냉각팬에 손, 옷자락, 머리카락, 공구
등이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배터리의 「-」 단자를 연결할 때는 주의
하십시오. 「-」 단자에 「+」 케이블을 연결
하거나 「+」 단자에 「-」 케이블을 연결하
지 마십시오.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엔진룸 점검시 주변에 화기를 가까이 하
지 마십시오.
연료와 와셔액, 각종 오일류 증발가스
인화로 화재 위험이 있습니다.
경 고

Page 104 of 399

7-8
정기 점검
일상 점검
일상 점검이란 자동차를 운행하는 사람이 매일 차량을 운행하기 전에 행하는 점검을 말하며 이는 안전
운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점검이고 운전자의 의무이기도 합니다. 반드시 실시하십시오.
점 검 항 목점 검 내 용
이상 유무 확인 •전일 운전시 이상이 있던 부분은 정상인가
엔진룸을 열고
엔진
•시동이 용이하고 연료, 엔진오일, 냉각수가 충분한가
•누수, 누유는 없는가
•구동벨트의 장력은 적당하고 손상된 곳은 없는가
기타 •브레이크액, 와셔액 등은 충분하고 누유는 없는가
차의 외관에서
엔진 •배기가스의 색깔은 깨끗하고 유독가스 매연의 배출이 없는가
완충 스프링 •스프링의 연결부위에 손상, 균열이 없는가
변속기 •누유는 없는가
바퀴
•타이어의 공기압은 적당한가
•타이어의 이상마모 또는 손상은 없는가
•휠너트(또는 볼트)의 조임은 충분하고 손상은 없는가
램프 •점멸이 확실하고 파손되지 않았는가
등록번호 표 •번호표가 파손되지 않았는가
운전석에
앉아서
엔 진 •연료는 충분하고 시동은 용이한가
스티어링 휠 •흔들림, 유동이 없는가
•조작이 용이한가
브레이크
•페달의 유격과 잔류간극이 적당한가
•브레이크의 작동이 양호한가
•주차 브레이크는 정상 작동하는가
변속기 •변속레버의 조작이 용이한가, 심한 진동은 없는가
실외미러/ 실내미러 •비침 상태가 양호한가
경음기 •작동이 양호한가
와이퍼 •작동이 양호하고 와셔액은 충분한가
각종 계기 및 스위치 •작동이 양호한가

Page 105 of 399

7-9
07
정기 점검
통상조건
다음의 통상조건 점검주기는 주행거리에 따른 주기를 기본으로 하였으나, 일부 부품은 주행거리와 함께
시간경과에 따라서도 점검 또는 교체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거리/시간 병기 항목은 차량의 주행거리와 경과시간 중 먼저 도래하는 시점에 해당 부품의
점검이나 교체를 해야 하므로 주의하십시오.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구동벨트
차량을 주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아닌 곳에서 사용했다면 통상 조건의 점검 주기를 따르십시오.
그러나 만약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사용했다면 가혹 조건의 점검 주기를 따르십시오.
1. 짧은 거리를 반복해서 주행했을 때
2. 모래, 먼지가 많은 지역을 주행했을 때
3. 공회전을 과다하게 계속 시켰을 때
4. 32℃ 이상의 온도에서 교통체증이 심한 곳을 50%이상 주행했을 때
5. 험한 길(모래자갈길,눈길,비포장길)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6. 산길, 오르내리막길 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7. 경찰차, 택시, 상용차, 견인차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8. 고속주행(170km/h이상)의 빈도가 높은 경우
9. 잦은 정지와 출발을 반복으로 주행 할 경우
10. 소금, 부식물질 또는 한랭지역을 운행하는 경우
위와 같은 조건에서 차량을 운행했다면, 정기 점검 주기보다 더 자주 점검, 교체, 보충하여야 합니다.

Page 106 of 399

7-10
정기 점검
▶배출가스 제어관련 항목
● : 교체
, ○ : 점검
, 조정
, 보충
, 청소
또는
필요시
교체
주행거리
점검항목
일일점검
매10
,000km
매20
,000km
매30
,000km
매40
,000km
매60
,000km
매80
,000km
매100
,000km
매120
,000km
매140
,000km
엔진
오일
및 오일필터
람다
3.3 T-GDI

초기
5,000
km
교체
, 이후
매 8,000
km
또는
6개월
마다
교체
람다
3.8 GDI
매 15,000
km
교체
또는
12개월
마다
교체
타우
5.0 GDI
연료량
점검
(연료
부족
경고등
점등시
즉시
주유
)*1

구동벨트
장력
, 마모
상태
*2
최초
90,000
km
또는
72개월
점검
, 이후
매 30,000
km
또는
24개월
마다
점검
연료필터

연료라인
및 연결부
누유

밸브
간극
점검
, 조정
*3
매 90,000
km
또는
72개월
마다
점검
및 조정
연료호스
, 증발가스
호스
, 연료주입구


연료
탱크
에어필터

각 진공호스
매 15,000
km
마다
점검
에어클리너
필터


점화플러그
람다
3.3 T-GDI
매 75,000
km
마다
교체
람다
3.8 GDI
매 160
,000
km
마다
교체
타우
5.0 GDI
캐니스터

엔진
부조시
점검
*4

시동
불능시
(재시동
3회
이내
제한
)*4


*1 검증되지
않은
연료
(첨가제
등)은 주유하지
마십시오
.
*
2 구동벨트
: 알터네이터
, 워터펌프
, 에어컨
벨트류

*
3 밸브
이음
발생
또는
엔진
진동
발생시
조정하십시오
.
*
4 엔진부조나
과도한
재시동시
촉매장치등
배출가스
관련
부품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Page 107 of 399

7-11
07
● : 교체
, ○ : 점검
, 조정
, 보충
, 청소
또는
필요시
교체
▶일반 점검 항목
주행거리
점검항목
일일점검
매10
,000km
매20
,000km
매30
,000km
매40
,000km
매60
,000km
매80
,000km
매100
,000km
매120
,000km
매160
,000km
냉각수량
점검
및 교체


최초
교체
: 20만
km
또는
10년
, 최초
교체
후 : 매4만
km
또는
매2년
마다
교체
각종
오일
누유
, 냉각장치의
누수
여부

배터리
상태

각종
전기장치
점검

자동변속기
오일
무점검
, 무교체
브레이크

○●

타이어
공기압
, 마모상태

타이어
위치
교환

브레이크
호스
및 라인의
누유
, 파손여부
,
주차
브레이크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여부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프로펠러
샤프트와
러버커플링

매 24,000
km
마다
점검
휠 너트의
조임상태

배기
파이프
(머플러
) 청소
및 조임
상태

브레이크
페달
유격

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및 수정
현가
장치
점검
(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

Page 108 of 399

7-12
정기 점검
주행거리
점검항목
일일점검
매10
,000km
매20
,000km
매30
,000km
매40
,000km
매60
,000km
매80
,000km
매100
,000km
매120
,000km
매160
,000km
로워암
볼 조인트
점검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 각 힌지부
점검주유

앞 바퀴
정렬상태 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및 수정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 매
15,000
km
마다
교체
에어컨
냉매
점검
및 작동
상태
점검 매
12개월
마다
점검

프론트
/리어
디퍼런셜
오일

Page 109 of 399

7-13
07
가혹 조건● : 교체, ○ : 점검, 조정, 보충, 청소 또는 필요시 교체
점 검 항 목점 검 방 법점 검 주 기운행 조건
엔진 오일 및
오일필터
람다 3.3 T-GDI

매 5,000km 또는 6개월
1, 2, 3, 4, 5, 6, 7, 8, 9, 10람다 3.8 GDI매 7,500km 또는 6개월타우 5.0 GDI
에어클리너 필터●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또는 필요시 교체 2, 5
점화플러그○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1, 3, 7, 9
브레이크 디스크 및 패드○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2, 4, 5, 6, 7, 8
로워암 볼 조인트 청소○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2, 4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2, 4, 5, 6, 7, 8
프로펠러 샤프트와
러버커플링○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2, 4, 5, 6, 7, 8, 10
자동변속기 오일●매 100,000km1, 4, 5, 6, 7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또는 필요시 교체 2
리어 디퍼런셜 오일●매 120,000km5, 6, 7, 8
프론트 디퍼런셜 오일
(AWD 차량)●매 120,000km 5, 6, 7, 8
※ 다음과 같은 가혹 조건하에서 차량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정기 점검주기를 좀더 앞당겨 자주 점검,교체해 주십시오.
1. 짧은 거리를 반복해서 주행했을 때
2. 모래, 먼지가 많은 지역을 주행했을 때
3. 공회전을 과다하게 계속 시켰을 때
4. 32℃ 이상의 온도에서 교통체증이 심한 곳을 50%이상 주행했을 때
5. 험한 길(모래자갈길,눈길,비포장길)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6. 산길, 오르내리막길 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7. 경찰차, 택시, 상용차, 견인차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8. 고속주행(170km/h)의 빈도가 높은 경우
9. 잦은 정지와 출발을 반복적으로 주행할 경우
10. 소금, 부식 물질 또는 한랭지역을 운행하는 경우

Page 110 of 399

7-14
정기 점검
엔진 오일의 양은 엔진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
치므로 매일 점검 하십시오. 엔진 오일의 점검은
다음의 순서로 점검 하십시오.
1. 차를 평탄한 곳에 주차 후 정상작동 온도까지
엔진을 워밍업 시키십시오.
2. 엔진 시동을 끄고 오일 팬의 유면이 안정될
때까지(약 5분정도) 기다려 레벨게이지를 뽑
아서 깨끗한 헝겊으로 닦아낸 후 다시 레벨게
이지를 꽂으십시오.
3. 레벨게이지를 뽑아서 점검 하십시오.
4. 오일량이 레벨게이지의 최대선~최소선(F~L)
사이에 있는지 점검하고 최소선(L) 부근일 때
는 최대선(F)까지 보충하십시오.
5. 보충 후에는 오일 레벨게이지로 규정량이 되
었는지 다시한번 확인 하십시오.
6. 오일 주입구와 오일 레벨게이지는 확실하게
체결하십시오.
엔진 오일 점검
엔진 오일량 점검 및 보충
OHI076004OHI076004
OHI076007OHI076007
00람다 3.3 T-GDI람다 3.3 T-GDI
00람다 3.3 T-GDI람다 3.3 T-GDI
OHI076005OHI076005
OHI076008OHI076008
OHI076006OHI076006
OHI076009OHI076009
00람다 3.8 GDI람다 3.8 GDI
00람다 3.8 GDI람다 3.8 GDI
00타우 5.0 GDI타우 5.0 GDI
00타우 5.0 GDI타우 5.0 GDI

Page:   < prev 1-10 ... 61-70 71-80 81-90 91-100 101-110 111-120 121-130 131-140 141-150 ... 400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