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Grandeur Hybrid 2016 그랜저 HG HEV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21 of 397

3
안전 장치
3장 목차
좌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앞좌석 ................................................................................................. 3-4
뒷좌석 ............................................................................................... 3-11
안전벨트 ........................................................................................ 3-14
안전벨트 구속 장치 ....................................................................... 3-14
프리텐셔너 시트벨트 .................................................................... 3-20
안전벨트 사용 시 유의 사항 ....................................................... 3-22
안전벨트의 적절한 관리 .............................................................. 3-23
어린이 보호용 장치(보조 좌석) ................................................. 3-23
어린이 보호용 장치의 장착 ........................................................ 3-23
에어백(보조 구속 장치) .............................................................. 3-28
에어백 장치의 구성 및 기능 ....................................................... 3-29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 .............................................................. 3-30
운전석 에어백/무릎 에어백 ........................................................ 3-31
동승석 에어백 ................................................................................. 3-32
사이드 에어백(앞좌석/뒷좌석) ................................................. 3-33
커튼 에어백 ..................................................................................... 3-34
충돌 시에 왜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았을까요? ......................... 3-35
에어백 장치의 작동은 어떻게 되는가? ................................... 3-40
에어백 경고등 ................................................................................. 3-43
에어백 정비 ..................................................................................... 3-43
에어백 경고 라벨 ........................................................................... 3-45

Page 22 of 397

안전 장치
3-2
▶운전석
1. 전·후 위치 조절
2. 각도 조절
3. 높낮이 조절
4. 허리지지대 조절
5. 익스텐션 시트 조절
6. 운전석 위치 기억 장치
7. 좌석 히터(열선) 및 통풍
8. 헤드레스트 조절
▶동승석
9. 전·후 위치 조절
10. 각도 조절
11. 좌석 히터(열선) 및 통풍
12. 헤드레스트 조절
▶뒷좌석
13. 높낮이 조절
14. 암레스트 조절
15. 헤드레스트 조절
16. 좌석 히터(열선)
좌석의 전·후, 각도, 높낮이 등을 조절하여 올바
른 운전 자세가 되도록 하십시오.
OHGH033001OHGH033001
좌석
00A타입A타입
00A타입A타입
00B타입B타입
00B타입B타입

Page 23 of 397

안전 장치
3-3
•좌석 밑이나 좌석과 중앙 콘솔 박스의 틈
새로 작은 물건 (라이터, 동전, 신용카드
등)이 들어가 물건을 꺼내야 할 경우, 좌
석의 기계 장치의 모서리 등에 의해 손
등의 신체 상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건을 꺼낼 경우 장갑을 착용하여 신체
상해를 예방하십시오.
•앞좌석 밑에는 어떤 물건도 놓아두지 마
십시오. 물건이 움직이면서 좌석 고정 장
치와 부딪히거나 좌석 밑에서 빠져 나올
수 있습니다.
• 운전자의 발 근처에 물건이 있으면, 브레
이크 또는 가속 페달을 밟을 때 물건이
움직이면서 방해를 주어 심각한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 어린이 혼자 차 안에 남겨 두지 마십시
오. 예기치 못한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 주행 중에는 절대로 좌석을 조절하지 마
십시오.
주행 중에 좌석을 조절하면 운전에 방해
가 되어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
니다.
경 고
• 조절 후에는 좌석이 확실히 고정되어 있
는지 확인하십시오.
• 좌석을 조절할 때는 뒷좌석 탑승자에 유
의하십시오.
•안전벨트는 바로 앉은 자세에서 가슴부
위를 지나도록 하고, 골반띠는 골반 부분
을 지나도록 착용하십시오.
•좌석각도를 조절할 때는 등받이가 정상
적인 위치에 있을 수 있게 방해되는 물건
을 제거하십시오.
물건에 방해를 받으면 등받이가 잠기지
않아, 급정차나 충돌 사고 시 심하게 다
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좌석을 조절할 때 레일 부분이나 좌석 고
정 장치에 부딪혀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
십시오. 특히 어린이나 유아들이 다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항상 등받이를 똑
바로 세우고 정상적인 위치에 주행하십
시오.
•주행 중 좌석을 접은 채로 앉지 마십시오.
충돌할 때 안전벨트가 제 기능을 하지 못
하여 크게 다칠 수 있습니다.
경 고
•운전자는 차량을 제어하는데 방해가 되
지 않는 범위 내에서 스티어링 휠로부터
가능한 뒤로 밀착하여 앉아야 합니다. 스
티어링 휠과 너무 가까우면 에어백이 작
동할 때 심각한 또는 치명적인 부상을 입
을 수 있습니다.
• 라이터를 바닥이나 좌석 사이에 놓지 마
십시오. 좌석을 움직일 때 가스가 분출되
는 경우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 방석을 사용할 경우 탑승자와 좌석과의
마찰력이 줄어들어 충돌이나 급정차 시
엉덩이가 안전벨트의 아랫부분으로 미
끄러질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안전벨트
가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해 심각한 부
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주행 중에 절대로 좌석을 조절하지 마십
시오. 주행 중에 좌석을 조절하면 운전에
방해가 되어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24 of 397

안전 장치
3-4
•좌석 조절 시 좌석 밑이나 동작 부위에
손을 넣지 마십시오. 손가락 또는 손이
끼어 다칠 수 있습니다.
• 좌석 등받이를 지나치게 뒤로 젖히고 앉
으면 탑승자의 몸이 충돌이나 급정차 시
에 안전벨트의 아래로 빠져나갈 수 있습
니다. 이럴 경우, 탑승자는 안전벨트에
복부나 목이 조여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행 중에는 항상 등받이를 바
로 세우고 앉으십시오.
경 고 0앞좌석
▶좌석 조절(전동식)
조절 스위치를 사용하여 좌석을 조절할 수 있
습니다. 주행 전에 좌석 위치를 조절해서 스티
어링 휠과 각종 페달, 그리고 스위치를 쉽게 조
작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조절 스위치 조작 시 필요 이상의 힘을 가하면
다른 부위까지 좌석이 움직여 질 수 있습니다.
적당한 힘을 가하여 조절하십시오.
•조절장치는 모터로 작동됩니다. 조절이 끝
나면 스위치에서 손을 떼십시오. 과도한 조
작은 모터의 전기 장치에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 전동식 좌석 조절장치는 많은 양의 전기동
력을 필요로 합니다.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
도록 엔진 정지상태에서는 되도록 사용을
자제하십시오.
•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스위치를 조작하지 마
십시오. 모터 및 전기장치가 손상될 수 있
습니다.
주 의

Page 25 of 397

안전 장치
3-5
●전·후 위치 조절
1. 전·후 위치 조절 스위치를 앞으로 밀면 좌
석이 앞으로 이동하고, 조절 스위치를 뒤로
당기면 좌석이 뒤로 이동합니다.
2. 조절이 끝나면 스위치에서 손을 떼십시오.
OHG030007OHG030007
●각도 조절
1. 각도 조절 스위치 윗부분을 앞으로 밀면 등
받이가 앞으로 숙여지고, 뒤로 당기면 등받
이가 뒤로 젖혀집니다.
2. 조절이 끝나면 스위치에서 손을 떼십시오.
OHG030008OHG030008
●높낮이 조절
1. 높낮이 조절 스위치의 앞부분을 올리거나
내리면 좌석 앞부분이 올라가거나 내려옵
니다. 높낮이 조절 스위치의 뒷부분을 올리
거나 내리면 좌석 뒷부분이 올라가거나 내
려옵니다.
2. 조절이 끝나면 스위치에서 손을 떼십시오.
OHG035009OHG035009

Page 26 of 397

안전 장치
3-6
좌석 등받이 허리지지대 부분을 예리한 물건
으로 인하여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십시오.
등받이 내 에어 호스, 에어 튜브가 손상될 수 있
습니다.
주 의
●허리지지대 조절(운전석)
1. 허리 지지대 조절 스위치의 앞부분을 누르
면 운전석 등받이 허리 지지부분이 앞으로
나옵니다.
뒷부분을 누르면 허리 지지부분이 뒤로 들
어갑니다.
2. 조절이 끝나면 스위치에서 손을 떼십시오.
OHG030010OHG030010OHG033011OHG033011
●허리지지대 조절(운전석)
1. 허리 받침대 조절 스위치의 앞부분(1)을 누
르면 운전석 등받이 허리 지지부분이 앞으
로 튀어 나오고, 스위치의 뒷부분(2)을 누
르면 허리 지지부분이 뒤로 들어갑니다.
2. 허리 지지부분의 상·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때는 상단(3)이나 하단(4)을 눌러 필요한
위치로 조절하십시오.
3. 조절이 끝나면 스위치에서 손을 떼십시오.
00B타입B타입 00A타입A타입

Page 27 of 397

안전 장치
3-7
OHG030012OHG030012
●익스텐션 시트 조절(운전석)
1. 익스텐션 시트 조절 스위치를 앞으로 밀면
(1) 쿠션의 앞부분이 올라가고(1), 뒤로(2)
당기면 쿠션의 앞부분이 내려갑니다(2).
2. 조절이 끝나면 스위치에서 손을 떼십시오.
▶헤드레스트 조절
헤드레스트는 안락감과 충돌 사고 시 머리와
목을 보호하도록 도와 줍니다. 원하는 위치로
조절하여 사용하십시오.
●높낮이 조절
헤드레스트의 높이는 헤드레스트의 중심부와
탑승자 귀 상단이 일치하도록 조절하십시오.
- 높일 때는 헤드레스트를 잡고 잠기는 위치
까지 위로 당겨 올리십시오.(1)
- 내릴 때는 잠금해제 버튼(2)를 누른 상태에
서 헤드레스트를 위에서 누르십시오.(3)
OHG030014OHG030014
주 의
헤드레스트와 시트의 높이가 상단에 있고, 시
트가 앞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시트 등받이
를 앞으로 젖힐 경우 선바이저 등 주변 부품과
닿을 수 있으니 주의하십시오.
OYFH034205OYFH034205

Page 28 of 397

안전 장치
3-8
•머리나 목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헤
드레스트를 제거한 상태에서는 절대로
주행하지 마십시오.
• 주행 중에는 헤드레스트를 조절하지 마
십시오.
경 고
OHG034073OHG034073
●장착
1. 헤드레스트 폴을 등받이 홈에 장착시킨 다
음, 잠금해제 버튼(1)을 누른 상태에서 헤
드레스트를 아래로 내리십시오(2).
2. 등받이 각도 조절 스위치(3)로 좌석 등받이
를 바로 세우십시오(4).
3. 헤드레스트를 적당한 높이로 조절하십시오.
OHG034072OHG034072
●분리
1. 등받이 각도 조절 스위치(1)로 좌석 등받이
를 뒤로 젖히십시오(2).
2. 헤드레스트를 끝까지 올린 후 잠금해제 버
튼(3)을 누른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를 위로
올려 분리하십시오(4).

Page 29 of 397

안전 장치
3-9
OHG030017OHG030017
OHG030018OHG030018
00A타입A타입
00B타입B타입
▶좌석 히터(열선)
•시동 「ON」이나 시동 상태에서 해당 좌석
히터 버튼(붉은색)을 누르면 해당 표시등이
켜지면서 히터가 작동하여 해당 좌석이 따
뜻하게 됩니다. 좌석 히터는 좌석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높아지면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고 내려가면 다시 작동하게 됩니다. 좌
석 히터를 끄려면 해당 스위치를 반복해서
눌러 표시등이 꺼지게 하십시오.
• 좌석 온도 조절(붉은색 표시등 켜짐)
- A타입
- B타입
• 시동 「OFF」 후 「ON」하면 좌석 히터는 항상
「OFF」 상태가 됩니다.
OFF → 강() → 중() → 약()

OFF → 강() → 약()

알아두기
저온화상이란?
피부가 40~50℃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
도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열에 의하여
화상을 입는 것을 말하며 통증이나 열을
그다지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 일어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히터 사용 중 아래의 사람은 열이 나거나 저
온화상을 입을 수 있으니 주의하십시오.
1. 유아, 어린이, 노인, 신체 부자유자 또는
기타 질병이 있는 분
2. 피부가 약한 분
3. 과로한 분
4. 과음한 분
5. 졸음이 올 수 있는 약(수면제, 감기약)을
복용한 분
경 고

Page 30 of 397

안전 장치
3-10
• 좌석 통풍은 실내 공기를 흡수하여 통풍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그러므로 실내 온도에
따라 통풍 정도가 다르게 느껴집니다. 효과
적인 통풍을 위해 에어컨과 함께 사용 하십
시오.
• 좌석 및 등받이 표면의 미세 통풍구를 통해
온도가 조절됩니다. 좌석 통풍 스위치 작동
후 3~5분이 경과한 뒤 온도 변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OFF → 강() → 중() → 약()

알아두기
• 좌석 통풍은 좌석에서 에어컨 공조 바
람이 나오는 냉ㆍ난방 시트가 아닙니다.
• 좌석 통풍은 에어컨 작동으로 발생한 실
내공기를 흡수하여 통풍의 기능을 수행
하므로 에어컨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OHG030019OHG030019
▶좌석 통풍
•시동 「ON」이나 시동 상태에서 해당 좌석
통풍 버튼(파란색)을 누르면 해당 표시등이
켜지면서 해당 좌석에서 바람이 나옵니다.
좌석 통풍을 끄려면 해당 스위치를 반복해
서 눌러 표시등이 꺼지게 하십시오.
•좌석 통풍 조절
•시동 「OFF」 후 「ON」하면 좌석 통풍은 항상
「OFF」 상태가 됩니다.
• 시트 표피제를 임의로 교체하지 마십시
오. 히터가 손상되어 화재가 발생할 위험
이 있습니다.
•과열 방지를 위해, 좌석에 모포나 방석
등을 올려 놓지 마십시오.
경 고
• 요철 형태의 무거운 물건이나 날카로운 물
건을 좌석에 올려 놓지 마십시오.
• 좌석을 세척할 때 시너, 벤젠, 알코올, 가솔
린 등의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히터 및 좌석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주 의

Page:   < prev 1-10 11-20 21-30 31-40 41-50 51-60 61-70 ... 400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