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Grandeur Hybrid 2016 그랜저 HG HEV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361 of 397

정기 점검
7-52
0내장 손질
▶내장 손질의 일반적인 주의사항
• 내장품 표면에 화학 물질(손 세정제, 종이
방향제, 선 크림 등)이 묻지 않게 하십시
오. 화학 물질이 묻었을 경우, 실내 부품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즉시 제거하십시오.
• 내장품을 세척할 때는 아세톤, 벤젠, 락카
용제, 에나멜 및 표백제, 휘발유 또는 신나
등의 유류물질 등을 절대로 사용하지 마
십시오. 변색되거나 손상될 수 있습니다.
•향수, 액상 방향제, 탈취제와 같은 휘발성
제품을 차 안에 두지 마십시오. 만약 휘발
성 제품이 계기판, 크래쉬 패드, 가죽 및
플라스틱 부분에 흘러내릴 경우 제품 고
유의 성분에 의해 내장부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때에는 신속하게 깨끗한 물로
세척하십시오.
•엔진부를 물로 닦으면(또는 고압세차) 엔진
부에 위치한 전기회로 또는 에어덕트로 물
이 유입되어 정상적인 차량운전이 불가능
할 수 있습니다.
• 차를 세척한 뒤, 서행하면서 브레이크를 시
험해서 브레이크가 물에 영향을 받았는지
점검하십시오.
주 의 ▶알루미늄 휠 점검
알루미늄 휠은 투명한 보호처리제로 코팅 되
어 있습니다.
•마찰 세제, 광택제, 솔벤트, 또는 와이어
브러시를 알루미늄 휠에 사용하지 마십시
오. 표면에 자국을 내거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운행 후 휠을 세척하기 전에 식을 때까지
기다리세요. 그리고 부드러운 비누나 중성
세제 만을 사용하시고 물로 깨끗이 헹구십
시오.
염분이 많은 지역이나 염화칼슘이 도포된
지역을 주행한 경우에는 휠을 깨끗이 청소
하여 부식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고속 세차 브러시로 바퀴를 닦지 않도록
하십시오.
• 스팀 클리너 등으로 세척하지 마십시오.
• 수시로 왁스를 바르십시오.
알루미늄 휠 세척시 알칼리성, 산성계 세제 및
타이어 광택제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휠 도장
면이 손상되어 부식 및 얼룩이 발생할 수 있습
니다.
주 의

Page 362 of 397

정기 점검
7-53
▶안전 벨트의 청소
내장재 또는 카펫용으로 추천된 부드러운 비
누액을 사용하여 안전벨트를 청소하십시오. 표
백처리를 하거나 재염색을 하지 마십시오.
▶내부 창문의 청소
차량의 창문 내측 표면에 서리가 끼면, (즉 기
름끼나 왁스끼 묻은 필름으로 덮이면), 창문 세
척기로 닦아 내십시오.
뒷유리 내부를 심하게 닦거나 긁어 내지 마십
시오. 유리의 서리제거 장치(열선)등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주 의
가죽제품(스티어링 휠, 시트 등) 청소 시에는
중성 세제 또는 알코올이 소량 함유된 세척제
를 사용하십시오. 강한 산성/알칼리성 및 알코
올이 다량 함유된 세척제를 사용할 경우, 변
색 및 표면 벗겨짐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
습니다.
주 의 ▶실내 장식품과 내장 트림의 청소
• 먼지 털이 빗자루나 진공 청소기를 사용
하면, 비닐의 먼지나 오물이 제거됩니다.
내장재 혹은 카펫용으로 추천된 부드러운
비누액을 사용하여 청소하십시오. 묻은 지
얼마 안된 얼룩은 섬유 얼룩 제거제로 빨
리 청소하십시오. 묻은지 얼마 안된 얼룩
을 빨리 제거하지 않으면, 섬유가 더러워
지고 변색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재질에 맞
게 적절히 다루어 지지 않으면, 보온 성능
도 저하될 수 있습니다.
• 기름이 묻은 곳은 가제에 알코올을 묻혀
가볍게 두드려 닦아내십시오.
실내등은 청소하기 전에, 실내등이 꺼졌는
지 확인하여 화상을 입거나 전기 충격을 받
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경 고
•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전장품, 방향제, 스
티커 등을 부착하지 마십시오. 특히 양면
테이프를 사용한 부착물의 경우 테이프에
함유된 화학성분에 의해 인스트루먼트 패
널의 표면부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엠블렘, 도어 인너 핸들, 가니쉬, 풀 핸들,
스위치 베젤 등과 같은 도장 처리된 부품
은 화학 용액이나 강한 세제로 닦지 마십
시오. 선팅제거제 등과 같은 화학 용액이
묻었을 경우에는 표면이 벗겨지거나 변색
이 될 수 있으니 주의를 요하며 묻었을 경
우 즉시 제거하고 세척하십시오.

Page 363 of 397

정기 점검
7-54
0유해 배출가스
유해 배출 가스란 엔진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출가스로, 이중 인체에 해
로운 영향을 끼치는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
산화물, 매연 등은 법적규제치를 두어 관리·규제
하고 있습니다.
허용기준 초과시는 개선명령 및 과태료 부과등
법적인 제재를 받게 됩니다.
배출가스 허용기준
0운행차 배출가스 허용기준
사용연료 차종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매연 공기과잉률
휘발유, 가스
경자동차 1.0% 이하 150ppm 이하-1±0.1이내.다만, 기화기식 연료공급장치 부착자동차는 1±0.15이내, 촉매 미부착 자동차는 1±0.20이내
승용자동차 1.0% 이하 120ppm 이하-
승합·화물·특수자동차
소형 1.2% 이하 220ppm 이하-
중형·대형 2.5% 이하 400ppm 이하-
경유
경자동차 및 승용자동차--20% 이하
승합·화물·특수자동차소형·중형·대형--20% 이하
비고 : 1. 상기 규정치 이상 방출하는 차량은 법적인 제재조치를 받게 됩니다. 2. 매연측정은 과급기(터보차저:Turbochargers)및 중간냉각기(인터쿨러:Intercooler)를 부착한 자동차에 대하여는 5% 가산 적용 됩니다. 3. 희박연소(Lean Burn) 방식을 적용한 자동차는 공기과잉률 기준 미적용됩니다. 4. 상기 기준은 수시점검 및 정기검사에 한하며, 정밀검사시에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 규칙 제78조 및 별표 21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Page 364 of 397

정기 점검
7-55
유해 배출가스는 차량의 정비상태, 특히 엔진 상
태의 양호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므로, 차
량의 생산 또는 검사과정에서 완전하게 조정되었
다 하더라도 운행정도에 따라 엔진의 상태가 변
화되어 유해 가스 배출량이 증가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행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사에서 안내하는 차량 점검 사항을 철저히
이행하십시오.
•배출가스 제어장치와 관련된 점검정비는 반
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서 실시하고 절대로 임의 조정하지 마십시오.
•연료가 전혀 없을 때까지 주행하지 마십시오.
•엔진 점검 정비시 또는 배출가스 측정시 약
15분정도 엔진 시동을 걸어 엔진이 정상가동
온도(80~95℃)로 가열된 상태에서 점검 및
측정하십시오.
•밀어 시동걸기, 언덕길에서 내려오며 시동걸
기를 하지 마십시오.
•외기가 높을때 가능한 장시간의 저속 엔진 가
동을 삼가십시오.
배출가스 제어장치의 관리 및 정비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차량관리
배출가스 제어 관련 부품중에서 특히 다음의 항
목들은 반드시 정기 점검 주기표에 따라 점검 및
교체을 하십시오.
0점화 플러그
점화플러그가 불량하면 불완전연소로 인한 엔진
부조, 유해 배출가스 증가 등이 생기므로 정기 점
검 주기표에 따라 점검 또는 교체하십시오.
점화플러그는 반드시 지정된 형식을 사용하십
시오. 다른 형식의 점화플러그를 사용할 경우,
차량의 성능저하 및 고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주 의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점화플러그를 점
검 및 분리, 장착할 때는 엔진이 충분히 식은
다음 진행하십시오.
경 고
▶자동차의 종류 (운행차 기준)
- 운행차배출허용기준의 차종 구분은 자동차관리법 제3조 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조에 따름
1. 경자동차 : 배기량 1000cc 미만의 길이 3.6m, 너비 1.6m, 높이 2.0m 이하인 자동차 2. 승용자동차 : 10인 이하를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 3. 승합자동차 : 11인 이상을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 4. 화물자동차 : 화물을 운송하기 적합하게 제작된자동차 5. 특수자동차 : 견인, 구난 등 특수한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로 승용·승합·화물자동차가 아닌 자동차
※ 승합ㆍ화물ㆍ특수자동차의 소형은 다음과 같으며 그 외
는 중형 또는 대형으로 분류됨
승합자동차(소형) : 승차정원이 15인 이하인 것으로, 길이
4.7m, 너비 1.7m, 높이 2.0m 이하
화물자동차(소형) : 최대적재량이 1톤이하인 것으로, 총중
량이 3.5톤 이하
특수자동차(소형) : 총중량이 3.5톤 이하
※ 비고 : 엔진후드 안쪽에 부착된 배출가스표지판의 차종 구
분은 제작차 기준으로 차량에 따라 운행차 기준과 상
이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에 문의하십
시오.

Page 365 of 397

정기 점검
7-56
•차량을 잔디, 낙엽, 종이, 카펫, 기름등과
같은 가연성 물질 위에 주차 또는 정차시
키지 마십시오. 특정 조건하에서 뜨거운
배기가스나 배기관에 의해 발화 될 수도
있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엔진 작동 중 또는 시동을 끈 직후에는
촉매장치나 그 밖의 배기장치는 고온이
므로 사람의 신체가 촉매/배기장치에 닿
지 않게 하십시오. 화상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배기장치 주변의 방열판을 제거하
거나 언더실링이나 방청코팅을 하지 마
십시오. 특정 조건에서 화재의 위험이 있
습니다.
•머플러(촉매변환장치 포함)의 탈거 및
소음 과다발생은 정비 명령 및 고발의 대
상이 되고, 배기관의 고열, 고압으로 인
한 화재 및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반드시 정상적인 배기음이 나도록 하십
시오.
경 고 •엔진을 10분 이상 빠르게 공회전하거나, 정상
공회전을 20분 이상 하지 마십시오.
• 차량 주행중에 절대로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 밀어 시동 걸기, 언덕길에서 내려오며 시동걸
기를 하지 마십시오.
•차량의 무리한 고속 주행을 하지 마십시오.
• 촉매 장치를 탈거한 상태로 운행하거나 성능
이 다된 촉매장치로 운행하지 말고 철저한 정
기 점검 및 교체을 하십시오.
• 엔진이나 배기제어 시스템의 어떤 부품도 개
조 하거나 함부로 변경하지 마십시오.
이런 주의사항이 지켜지지 않으면 촉매장치
및 차량 손상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로 인해 보
증을 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주 의
0에어클리너
필터는 수시로 점검하여 청소하고 상태에 따라
교체하십시오.
0촉매 변환 장치
다음 사항을 꼭 지키십시오.
•정상적으로 판매되는 연료만 사용하십시오.
•엔진을 항상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시동성능이 좋지 않은
경우 등 엔진 오작동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되면 차량 운행을 하지 마십시오.
• 엔진의 갑작스런 출력저하, 비정상적인 소음
유발, 엔진시동의 어려움 및 배기장치계에 이
상 소음이 발생될 때는 즉시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비를 의뢰
하십시오.
• 연료가 없을 때까지 주행하지 마십시오.
•연료가 부족한 상태로 차량을 주행하지 마십
시오. 연료가 떨어지면 엔진이 제대로 점화되
지 않아 촉매장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Page 366 of 397

8
차량 제원 ..........................................................................................8-2
타이어 및 휠 .....................................................................................8-2
타이어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 .......................................................8-3
전구의 용량 ......................................................................................8-3
추천오일 및 용량 ............................................................................8-4
온도에 따른 엔진 오일 SAE 점도 분류표 ................................ 8-5
차대번호(VIN) .................................................................................8-5
자기 인증 라벨.................................................................................8-6
타이어 공기압 라벨 ........................................................................8-6
엔진번호 ...........................................................................................8-6
차량 정보
8장 목차

Page 367 of 397

차량 정보
8-2
차량 제원 타이어 및 휠
구분 형 식휠
추천공기압 kPa(psi)휠 너트 체결토크
kgf·m앞뒤
장착타이어P225/55 R17 7.0J×17 230(33) 230(33) 11~13
※ 타이어 리페어 킷 장착 차량입니다.
예비 타이어는 별도 지급되지 않습니다.
항 목치 수 (단위:mm)
전 장4,920
전 폭1,860
전 고1,470
윤 거
전1,613
후1,614
축 거2,845

Page 368 of 397

차량 정보
8-3
전구의 용량
*1. H I D 타입일 경우
*2. L E D ( L i g h t - e m i t t i n g d i o d e ) : 발광소자
타이어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
타이어 제조사 사이즈
타이어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회전저항
(RRC)
젖은 노면 제동력
(G)
금호(Kumho)P225/55R17 3 2
한국(Hankook)P225/55R17 3 3
※ 회전저항 (RRC) : 타이어에 걸리는 하중에 대한 회전저항의 비
- 1 ~5등급까지 있으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소비 효율이 높아집니다.
※ 젖은 노면 제동력 (G) : 기준 타이어 대비 시험대상 타이어의 젖은 노면 제
동성능 비율
- 1 ~ 5등급까지 있으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력이 좋습니다.
※ 타이어 사이즈가 동일하더라도 효율등급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정보가 사전통보없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홈페이지를 참고하십
시오.
종 류규 격 용량(W)
차량
앞면
전조등(상향)H7 55
전조등(하향)H7또는D1S*155또는35*1
차폭등LED*2LED*2
방향지시등HY21W21
안개등타입 A9006 51
타입 B LED*2LED*2
방향지시등(옆) LED*2LED*2
차량
뒷면
미등(안쪽/바깥쪽) LED*2LED*2
후진등W16W16
방향지시등PY27W27
번호등W5W5
보조제동등LED*2LED*2
제동등(안쪽) LED*2LED*2
제동등(바깥쪽) LED*2LED*2
실내
맵램프LED*2LED*2
룸램프LED*2LED*2
화물칸 램프FESTOON5
선바이저 램프FESTOON5
글로브박스 램프FESTOON5
도어 커티시 램프FESTOON5

Page 369 of 397

차량 정보
8-4
추천오일 및 용량
종 류용량(ℓ)추천사양
연료 가솔린 65 무연휘발유
엔진 오일*1
(오일필터포함)2.4L4.6*2ILSAC GF4급 이상, API SM 급*4
SAE 점도 분류 : 다음 페이지의 SAE 점도 분류표 참조4.8*3
자동변속기 오일 2.4L6.0SK ATF SP-IV, 미창 ATF SP-IV, NOCA ATF SP-IV,
HYUNDAI Genuine ATF SP-IV
브레이크 액필요량SAE J1703, FMVSS 116, DOT-3 또는 DOT-4
냉각수 2.4L6.8에틸렌글리콜계 알루미늄 라디에이터용 부동액과 물 혼합액
에어컨 냉매 550±25gR-134a
에어컨 컴프레서
오일*5125±10gPOE
*1. 엔진 오일 용량은 일반적인 오일 교환시 주입되는 용량 기준입니다.
*2. 노란색 엔진 오일 레벨게이지 손잡이
*3. 빨간색 엔진 오일 레벨게이지 손잡이
*4. S M급 엔진 오일이 없을 경우 SL급 엔진 오일을 사용하십시오.
*5. 반드시 전동 컴프레서에 사용하는 POE 윤활유를 사용하십시오.
주 의
•각 기관의 원활한 작동과 내구를 위해 자사
순정오일을 사용하십시오. 자사에서 지정
하는 순정부품(엔진 오일, 변속기오일 등)
을 사용하지 않거나 불량연료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차량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
습니다.
•오일을 사용할 때는 점도분류와 품질 등
급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오일을 사용하십
시오.
•오일을 점검 및 교체할 때에는 기재된 용량
(ℓ)은 참고만 하시고 오일량을 측정하는
게이지를 이용하여 확인하십시오. 「F」선에
가까이 주입하시고 「F」선 이상 주입하지 마
십시오.

Page 370 of 397

차량 정보
8-5
차대번호 즉, VIN(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은 차량의 등록시나 차량의 소유권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모든 법적인 사항에 사용됩니다.
차체에 타각되어 있는 차대번호와 등록증에 기록
되어 있는 차대번호는 일치해야 합니다. (동승석
시트 아래에 타각되어 있습니다.)
차대번호(VIN)
0온도에 따른 엔진 오일 SAE 점도 분류표
엔진 오일
OVG089001OVG089001

Page:   < prev 1-10 ... 321-330 331-340 341-350 351-360 361-370 371-380 381-390 391-400 400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