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Ioniq Electric 2016 아이오닉 Electric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791 of 879
5-87
시동 및 주행
5
0악천후 시의 주행
•비나 눈이 내릴 때는 특히 차가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급브레이크 조작을 하지 마십시오.
•브레이크 장치가 젖을 정도로 물이 깊은 곳은
피해서 주행하십시오. 브레이크 장치가 젖으
면 제동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물이 고인 곳
을 주행하거나 세차한 후에는 반드시 브레이
크 성능을 점검하십시오. 물기 있는 도로를
주행한 후에는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천천히 운전하는 동안 여러 번에 걸쳐 브레이
크를 밟아 건조시키십시오.
•안개가 끼었거나 그 밖의 기상 상태로 인하여
시계가 나쁠 때는 차의 조명을 켜고 속도를
충분히 낮추어 운전 하십시오.
•폭우가 내릴 때는 시야를 확보하기가 더 어려
워 제동 거리가 더 많이 필요하므로 천천히
운전하십시오.
•와이퍼 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관리하십시오.
•와이퍼에 줄무늬가 생기거나 유리창이 잘 닦
이지 않으면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하십시오.
•타이어의 상태가 좋지 않은데 젖은 길이나 빗
길에서 급정차하면 타이어가 미끄러져 사고
가 날 수 있습니다. 타이어 상태를 항상 양호
하게 관리하십시오.
0고속도로 주행
•운전전 점검을 하십시오.
특히 냉각수, 타이어 공기압 등을 점검하십시오.
•안전벨트는 반드시 착용하십시오.
•고속도로 진입 시는 방향지시등을 켜고 가속
차선에서 충분히 가속한 후 본선 차량의 속도
에 맞춰 진입하십시오.
•차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스티어링 휠을
천천히 조작하십시오.
•터널 출구 부분을 나올때 횡풍을 받아 차체가
흔들리는 일이 있으면 침착하게 속도를 줄이
고 진로를 수정하십시오.
•고속도로에서 벗어날때는 미리 출구를 잘 확
인 하시고 방향지시등을 켜십시오.
출구를 지나쳐 버리게 되면 다음 인터체인지
까지 주행하십시오. 당황하여 급제동을 하게
되면 대단히 위험합니다.
•급제동은 미끄러질 위험이 있으므로 매우 위
험합니다.
•노면이 젖어 있을 때는 타이어가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속도를 낮추십시오.
•고속 주행시 브레이크 페달을 많이 사용하면
브레이크 장치가 과열되어 브레이크의 기능이
나쁘게 되거나, 브레이크액이 기화되어 브레
이크의 효과가 없게 되므로 매우 위험합니다.
회생제동 브레이크와 함께 효과적으로 사용하십
시오.
•장마철이나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 등을 통과
할 때는 특별히 주의하십시오. 타이어 중앙부
분(타이어 휠 허브)이 잠길 정도로 수위가 높
으면 운전하지 마십시오. 물을 통과할 경우는
천천히 서행하고 물속에서는 제동성능이 제
대로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적당한 제동
거리를 유지하십시오. 물을 통과한 뒤에는 차
를 서행하면서 브레이크를 부드럽게 몇번 밟
아 브레이크를 건조시키십시오.
0여름철 운전
냉각수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라디에이
터에 흙, 먼지, 벌레 등 오물이 끼지 않도록 점검
하십시오.
라디에이터가 불결하면 냉각효과가 떨어져 모터
과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age 792 of 879
5-88
시동 및 주행
겨울철 운전
•타이어 체인, 창문닦이, 유리창 성에 제거기,
모래나 소금부대, 경고판 그리고 야삽과 점프
케이블 등의 비상장비를 갖고 다니십시오.
•부동액 및 와셔액의 농도를 점검하십시오.
•배터리와 케이블 상태를 점검하십시오. 날씨
가 추우면 배터리 용량이 저하되어 시동이 걸
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추운 날씨에는 여름과 달리 주의가 더욱 필요
합니다. 다음사항을 운전전 점검시에 추가로
점검하십시오.
1. 차의 밑부분 둘레에 있는 얼음 덩어리를
부품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제거하십시오.
2. 차량 시동을 걸고 각종 페달이 평상시처럼
움직이는지 확인하십시오.
3. 앞·뒤 유리의 얼음이나 눈은 제거하십시
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가 유리에 얼어
붙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십시오.
•냉각수는 자사 순정 부동액과 물을 적정 비율
로 혼합하여 사용하십시오. 냉각수의 비율은
너무 높거나 낮아도 효과가 없습니다.
(7장, 「냉각수 점검」의 혼합비율 참조)
0눈 또는 빙판길 주행
•눈길, 빙판길을 주행할 때는 스노우 타이어
또는 규격에 맞는 타이어 체인을 장착하시고,
급발진, 급가속, 급제동을 삼가십시오.
음지와 양지의 도로조건은 서로 다릅니다. 오르
막길 보다는 내리막길에 더욱 주의 하십시오.
•눈길이나 빙판에서는 타이어의 접지력이 약
해지므로 가속 페달이나 스티어링 휠을 거칠
게 조작하면 위험합니다.
•내리막길에서 회생제동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방향조작에 도움이 됩니다.
오르막길에서는 한번 멈추면 발진하기가 어
려우므로 차간거리를 유지하여 서행하도록
하십시오.
▶스노우 타이어
차에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할 경우, 동일 사이
즈의 타이어인지를 확인하고 차량마다 타이
어가 견딜 수 있는 중량이 다르므로 규격에 맞
는 타이어인지를 확인하십시오. 모든 기상조
건에서 차량 조향성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는 스노우 타이어를 네바퀴에 모두 장착 하십
시오.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고 건조한 도로
를 주행하면, 원래 사양의 타이어 보다 마찰력
이 작아 제동 거리가 길어질 수 있으니 주의하
십시오.
또, 날씨가 맑은 경우에도 항상 조심하면서
운전하십시오.
스노우 타이어의 규격과 형태는 차량의 표
준 타이어와 동등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차량의 안전성과 조향성능에 악영향
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경 고
Page 793 of 879
5-89
시동 및 주행
5 ▶타이어 체인
• 래디얼 타이어는 구조상 옆면이 얇기 때
문에 체인을 사용하면 손상될 우려가 있
으므로 되도록이면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
하십시오. 알루미늄 휠 장착 차량은 체인
을 사용하면 휠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
로 체인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불가피하게 사용해야 할 경우는 순정부품
을 사용하십시오.
와이어 체인 12mm 이하를 사용하십시오.
OAEE056015OAEE056015
•본 차량은 앞바퀴가 구동되는 전륜구동
차량입니다. 따라서 타이어 체인을 장착할
때는 반드시 앞바퀴에 장착하십시오.
•체인을 장착한 후에는 천천히 운행하십시
오. 체인이 차체나 샤시에 닿는 소리가 들
리면 즉시 차를 멈추고 체인을 조이십시
오. 소리가 나지 않을 때까지 감속하고 눈
이 없는 도로 주행시는 바로 체인을 풀어
체인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타이어 규격에 맞는 체인을 사용하여 차
체를 보호하십시오.
본 차량에 부적합한 체인을 사용할 경우에
는 차체를 손상시키므로 반드시 적절한
체인을 사용하시고 장착은 체인 제작사에
서 제공하는 설명서를 참조하여 차체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눈길,
빙판길 외에는 체인의 사용을 삼가시고,
체인 장착시에는 체인 제작사에서 추천하
는 규정속도 이하 또는 30km/h 이내로 주
행 하십시오.
주 의
•일반 체인 장착 시 체인과 서스펜션 부
품인 너클과의 간섭으로 체인 연결 고리
가 손상될 수도 있으니 반드시 KS규격
및 SAE의‘S’급 규격을 만족하는 체인을
사용하십시오.(체인 두께 12mm 이하
사용)
• 체인 규격이 맞지 않거나 잘못 장착한 경우
는 차량의 제동 라인, 서스펜션, 차체 및 바퀴
등을 훼손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체인이 차량을 때리는 소리가 들리면 즉
시 차를 멈추고 다시 조이십시오.
• 타이어 체인을 장착하고 0.5~1km 정도
주행한 후에는 차체 손상 여부 및 안전
을 위하여 체인의 장착 상태를 확인해야
하며, 느슨할 경우에는 다시 조이십시오.
Page 794 of 879
5-90
시동 및 주행
•노상에서 타이어 체인 장착시는 교통이
복잡하지 않고 평탄한 곳에서 실시하십
시오. 비상경고등 및 비상용 삼각판 등
을 이용하여 후방 차량에 충분히 주의
를 주고 안전한 상태에서 실시하십시오.
•체인을 장착하면 차량의 조향성능에 악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체인 제작사가 추천하는 규정속도 이하
또는 30km/h 이내로 주행하십시오.
•도로상의 돌출부나 구멍 등 위험한 도
로 운전 및 과격한 회전등은 차량이 튈
수 있으므로 삼가십시오.
•체인 규격이 맞지 않거나 규격대로 장착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차량이 훼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향성 및 안전성
에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규격
에 맞는 체인을 장착하십시오.
경 고매우 추운 날씨의 주·정차 시 주차 브레이크를 작
동시켜 놓으면 브레이크 장치가 얼어 붙어버릴
우려가 있으므로 주차 브레이크는 가능한 작동
시켜 놓지 않는 방법으로 주차하십시오. 경사없
는 평지에 「P」(주차)로 변속하고 타이어에는 고
임목을 받쳐 차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십시오.
•주차할 때는 차의 앞부분을 바람이 부는 반대
쪽으로 향하게 하십시오.
•도어나 충전 도어가 얼어서 열리지 않을 때는
도어나 충전 도어의 주위를 두드리거나 더운
물을 부어 얼어붙은 것을 녹이십시오. 부은
물을 방치하면 또 얼게 되므로 완전히 닦아
내십시오.
Page 795 of 879
1
비상시 응급 조치
주행 중 경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비상경고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주행 중 고장이 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교차로/건널목에서 시동이 꺼진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주행 중 펑크가 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주행 중 시동이 꺼진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노상에서 주행 중 고장이 난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비상 삼각대) ...............................6-3
차량 시동이 안걸릴 때 ..........................................................6-4
비상 시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보조 배터리(12V) 방전 시 점프 스타트 요령 . . . . . . . . . . . . . . . . . . . . . .6-4
오버히트(과열 시) ................................................................6-6
타이어 공기압 경보 시스템(TPMS) ......................................6-7
타이어 공기압 확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저압 타이어를 감지하였을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타이어 공기압 경보 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경우 . . . . . . . . . . . . . . . . .6-9
타이어를 교체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0
타이어 펑크 시 조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0
타이어 리페어 킷(TMK) ..................................................6-10
차량 견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8
견인 트럭으로 견인 시 ....................................................6-18
탈부착 견인 후크 ...........................................................6-19
견인차가 아닌 일반차량으로의 견인시 ............................6-20
사고 및 차량 화재 시 응급조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2
사고 발생 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2
소화기 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3
폭설 시 행동요령 ...............................................................6-24
6
Page 796 of 879
6-2
비상시 응급 조치
주행 중 경고 주행 중 고장이 나면
0비상경고등
차량의 고장, 예기치 못한 상황 등의 비상시 주위
차량에 경고등을 깜빡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비상경고등은 시동상태와 상관없이 작동하며,
모든 방향지시등이 일제히 깜빡입니다.
비상경고등이 깜빡이는 동안 방향지시등은 작동
하지 않습니다.
0교차로/건널목에서 시동이 꺼진 경우
교차로나 건널목의 한 가운데에서 시동이 꺼졌을
때는 「N」(중립)단으로 변속한 후 주위의 가까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아 차를 밀어내어 안전한
장소까지 이동시키십시오.
0주행 중 펑크가 나면
•주행 중 펑크가 나면 비상경고등을 켠 후 스티
어링 휠을 꼭 잡고 차를 도로 가장자리로 안전
하게 이동시키십시오. 이때 차량의 속도를 낮
추기 위해서 브레이크 페달 보다는 회생제동
브레이크(페들 쉬프트 왼쪽 레버로 회생제동
량 증대)를 이용하십시오. 속도가 떨어지면 가
볍게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정지하십시오.
•동승자는 주행하는 차에 주의하여 내리십시오.
•가능한 경사가 없는 평평한 장소에 정차시킨
후 타이어 교체가 가능하다면, 「타이어 펑크
시 조치」 내용을 참고하여 타이어 리페어 킷
(TMK)을 이용하여 수리한 후 가까운 자사 직
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
으십시오.
•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히 걸고 동시에 펑크난
타이어의 대각선에 위치한 타이어 앞/뒤에
고임목을 괴십시오.
OAEE066013OAEE066013
긴급할 때는 열차에 알려 사고를 방지하십
시오.
경 고
주 의
배터리의 방전과 다른 차량 운전자의 혼돈
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 시에만 사용하십
시오.
Page 797 of 879
6-3
비상시 응급 조치
6
0주행 중 시동이 꺼진 경우
•적절한 조치로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
십시오. 브레이크 작동 상태가 나빠지므로 평
상시보다 브레이크 페달을 힘껏 밟으십시오.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스티어
링 휠 조작이 매우 무거우므로 평소 보다 강
하게 조작하십시오.
0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완전히 밟고, 주차 브레이크 및 회생
제동 브레이크(페들 쉬프트 왼쪽 레버로 회생
제동량 증대)를 사용하여 속도를 줄여서 안전
한 장소에 정차하십시오.
•정차 후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연락하십시오.
브레이크 효과가 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의 주행은 위험하므로 절대로 주행하지 마
십시오.
경 고
0노상에서 주행 중 고장이 난 경우
•주행 중 노상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는 도로변
에 차를 정지시키고 비상경고등을 켜서 제2의
사고를 방지하십시오.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 도로에서는 차량 후
방(주간 100m, 야간 200m)에 고장차량을 확
인할 수 있는 비상용 삼각판을 설치하도록 되
어 있습니다.
OAEE066014OAEE066014
터널에서의 정차는 매우 위험하므로 터널
을 벗어나서 정차하십시오.
경 고
•고장부위를 점검하여 수리 가능할 때는 타차
량 통행에 주의하여 작업하십시오.
수리 불가능할 때는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연락하십시오.
0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비상 삼각대)
▶사용 방법
•차량 출고 시 본 취급설명서와 함께 키트 박
스에 넣어져 지급된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
판(비상 삼각대)를 항상 즉시 사용할 수 있
는 위치(테일게이트내 또는 고객이 원하는
위치)에 보관하십시오.
•도로 교통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고장 자동
차 정지표지판(비상 삼각대)은 주행전에 반
드시 휴대 여부 및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Page 798 of 879
6-4
비상시 응급 조치
ODH063004ODH063004
▶설치 방법
케이스에서 비상 삼각대를 꺼내 좌/우 날개를
올려 삼각형으로 맞추어 서로 교차되게 연결
홈에 고정시키십시오.
비상 삼각대 하단에 위치한 네개의 다리를
좌/우로 펼쳐 넘어지지 않도록하여 차량 후방
(주간 100m, 야간 200m)에 고장 차량을 확인
할 수 있는 비상 삼각대를 설치하십시오.
주 의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비상 삼각대)을 설
치하고자 할 경우 통행 차량에 주의하여 안
전하게 설치하십시오.
차량 시동이 안걸릴 때
보조 배터리(12V)를 점검하십시오.
계속해서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는 긴급 봉사 반
을 불러 응급조치를 받으십시오.
(책자 뒷부분의 「보증수리안내」편을 참고 하십시오.)
0보조 배터리(12V) 방전 시 점프 스타트 요령
비상 시동
•점프 스타트 중에 점프 케이블의 양극
(+)과 음극(-)이 서로 닿지 않도록 하십
시오. 서로 닿을 경우, 불꽃이 튀어 위험
합니다.
•배터리가 작동되는 동안에는 불꽃에 의해
폭발할 수 있는 가스가 발생되므로 배터
리로 부터 불꽃을 멀리 하십시오.
경 고
1VQA40011VQA4001
Page 799 of 879
6-5
비상시 응급 조치
6
•방전된 배터리가 얼었거나 배터리액의
양이 적으면 점프 스타트 시 배터리의 파
열 및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보조 배터리와 방전된 배터리를 점프 케
이블로 연결할 때는 방전된 배터리의 음
극(-) 단자를 직접 연결하지 마시고 배
터리로부터 멀리 떨어진 견고한 금속에
접지 시키십시오. 직접 연결시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배터리에는 부식력이 강한 묽은 황산액
이 있으므로 배터리액이 신체나 옷, 차
체에 묻지 않도록 주의 하고, 신체나 눈
에 묻었으면 즉시 그 부위를 깨끗한 물
로 약 15분 정도 씻어낸 후 전문의사의
진단을 받으십시오.
•보조 배터리는 반드시 12V로 하십시오.
전압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배터리 파
열 및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경 고 5. 타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할 경우는 타 차량
의 시동을 먼저 걸어 몇 분 기다리십시오.
6.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거십시오.
7. 차량 시동이 되면 음극(-)에 연결된 점프
케이블을 먼저 분리한 다음, 양극(+)끼리
연결된 점프 케이블을 분리 하십시오.
배터리 방전 원인이 명백하지 않을 때에는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점프 케이블의 연결 순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는 타차량의 배터리
나 보조 배터리를 점프 케이블로 연결하여 시
동을 걸 수 있습니다.
점프 스타트는 잘못하면 대단히 위험하므로
전문가에게 의뢰 하십시오.
1. 보조 배터리가 12V인지 확인 하십시오.
2. 방전된 차량의 모든 전기장치를 끄십시오.
3. 방전 배터리의 양극(+)(1)과 보조 배터리
의 양극(+)(2)을 점프 케이블로 연결 하십
시오.
4. 보조 배터리의 음극(-)(3)과 방전된 차량의
도장이나 코팅이 되지 않은 차체 금속 부
분(4)을 점프 케이블로 연결 하십시오.
적절한 위치의 트렁크 래치를 찾을 수 없
을 때에는 도장이나 코팅이 되지 않은 차
체(금속부분)에 연결하셔도 됩니다.
차량이 시동될 때 움직이는 부품의 근처나
배터리의 단자에 절대 연결하지 마십시오.
또한, 정확한 배터리 극이나 정확한 접지
를 제외하고는 점프 케이블을 어떠한 곳에
도 닿지 않도록 하고, 연결할 때 배터리에
무리하게 힘을 가하지 마십시오.
주 의
시동되어 있는 동안 배터리가 충전됩니다.
배터리 점프 후에는 일정시간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시동 유지 시간 또는 배터리의 방전 상태에
따라 재시동이 걸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주 의
충전 중에는 절대 점프 스타트를 하지 마십
시오. 차량 제어기가 고장 날 수 있습니다.
Page 800 of 879
6-6
비상시 응급 조치
오버히트는 기온이 높을 때만 발생하는 것은 아
닙니다.
냉각수가 부족할 때, 한랭시 냉각수 중에 부동액
이 들어있지 않을 경우나, 모터 또는 인버터 내부
가 동결되어 냉각수가 순환하지 않을 때도 오버
히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냉각수는 순정 부동액과 물을 적정 비율로 혼합
하여 사용하십시오.
냉각수의 비율은 너무 높거나 낮아도 냉각 성능
이 떨어져 오버히트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럴 경우 다음과 같이 조치하십시오.
1. 비상경고등을 켜고 도로 가장자리로 안전하
게 정차하십시오.
「P」(주차)단으로 변속한 후에 주차 브레이크
를 거십시오.
2. 에어컨을 끄십시오.
3. 냉각수나 뜨거운 증기가 보조탱크에서 흘러
나오면, 모터를 정지시키고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연락하십시오. 냉각수
가 흘러나오지 않으면,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후드를 열어 내부에 통풍이 잘되도록 하여 식
히십시오.
오버히트(과열 시)
4. 충분히 냉각시킨 다음, 냉각수의 양을 점검하
여 부족하면 라디에이터 호스와의 연결부위,
히터 호스와의 연결부위, 라디에이터 워터 펌
프 등의 누수 여부를 확인 하십시오.
누수나 다른 문제가 없다면 냉각수를 보충하
십시오.
• 냉각수는 부동액과 물을 적정비율로 혼합하
여 사용하십시오. 부동액의 비율이 너무 높거
나 낮을 경우는 냉각 성능이 떨어져 오버히트
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7장, 「냉각수 점검」의 혼합비율 참조)
• 오버히트가 자주 있으면 냉각 장치 전체를 점
검 정비 하십시오.
주 의
•냉각수 부족으로 과열되었을 때 급하게
차가운 냉각수를 넣으면 균열이 생길 수
있으므로 천천히 조금씩 보충하십시오.
•차를 세운 뒤 시동을 즉시 끄지 마십시
오. 수온이 급상승 할 수 있습니다.
•냉각팬이 회전하지 않으면 시동을 끄십
시오.
•후드를 열 때 뜨거운 수증기나 물이 뿜
어져 나오거나 후드가 뜨거울 수 있으므
로 주의하십시오.
경 고
라디에이터가 뜨거울 때는 냉각수
보조탱크 캡을 분리하지 마십시
오. 라디에이터가 과열되었을 때
냉각수 보조탱크 캡을 열면 냉각
수가 분출되어 상해를 입을 수 있
습니다.
경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