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 Hyundai Grand Starex 2011 그랜드 스타렉스 - 사용 설명서 (in Korean)
[x] Cancel search | Manufacturer: HYUNDAI, Model Year: 2011, Model line: Grand Starex, Model: Hyundai Grand Starex 2011Pages: 308, PDF Size: 21.02 MB
Page 10 of 308

안내
1-7
경고등 및 표시등
에어백 경고등
ABS 경고등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등
비상경고등 /방향지시등
전조등 상향 표시등
엔진 오일 압력 경고등
브레이크 경고등
자동 변속기 위치 표시등
충전 경고등
도어 열림 경고등
테일게이트 열림 경고등
연료 부족 경고등
엔진 경고등
차체 자세 제어 장치 (VDC) 작동
표시등
차체 자세 제어 장치 (VDC) 작동
정지 표시등
예열 표시등 (디젤차량 )
연료필터 수분 경고등 (디젤차량 )
시동 대기 표시등 (LPG 차량 )
오버드라이브 오프 표시등
(LPG차량)
※ 경고등 및 표시등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4장 ,
「 계기판
」을 참조하십시오.
VDC
O/D
OFF
VDC
OFF
이모빌라이저 경고등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ECO)
표시등ECO
TQ-1-안내.indd 72012-01-16 오후 3:41:15
Page 181 of 308

5
시동 스위치 ............................................................................................... 5-2
시동 스위치의 조명 ......................................................................... 5-2
시동 스위치 위치 ............................................................................. 5-2
엔진 시동 및 정지 ........................................................................... 5-4
엔진 시동 방법 .................................................................................. 5-4
엔진 정지 방법 .................................................................................. 5-9
수동변속기 ....................................................................................... 5-10
수동변속기 작동 ............................................................................. 5-10
올바른 운전 요령 ........................................................................... 5-11
자동변속기 ....................................................................................... 5-12
자동변속기 작동 ............................................................................. 5-12
올바른 운전 요령 ........................................................................... 5-16
제동 장치 ....................................................................................... 5-18
브레이크 ........................................................................................... 5-18
주차 브레이크 ................................................................................. 5-19
ABS(Anti-Lock Brake System) ...............................................5-21
차체 자세 제어 장치(VDC) .......................................................... 5-22
올바른 제동 요령 ........................................................................... 5-25
경제적 운행 ................................................................................... 5-25
안전 운행 ....................................................................................... 5-26
험로에서의 주행 ............................................................................. 5-26
차 바퀴가 빠져 헛도는 경우 ....................................................... 5-27
커브길 주행 시 ................................................................................ 5-28야간 주행
.......................................................................................... 5-29
악천우 시의 주행 ........................................................................... 5-29
고속도로 주행 ................................................................................. 5-30
여름철 운행 ..................................................................................... 5-31
겨울철 운행 ................................................................................... 5-32
눈 또는 빙판길 주행 ..................................................................... 5-33
스노우 타이어 ............................................................................. 5-33
타이어 체인 ................................................................................. 5-33
터보 장착 차량 운행(디젤차량) ................................................. 5-36
터보 차저 장착 차량 점검 사항 .................................................5-36
차동기어 잠금장치(LD) 장착 차량 운행 .................................. 5-37
운행 시 유의사항 ........................................................................... 5-37
시동 및 주행
5장 목차
TQ-5-시동및주행.indd 12012-01-16 오후 3:52:46
Page 198 of 308

시동 및 주행
5-18
̰ 브레이크
•
브레이크를 작동 시킬 때 수회에 걸쳐 작동시
키십시오.
안정된 성능은 물론 후속차에 제동상황을 미 리 알려 주게 되어 추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내리막 길에서 브레이크를 장시간 사용하면
성능이 저하되므로 반드시 엔진브레이크와 함
께 사용하십시오.
•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을 때나 ABS 장착 차
량은 브레이크 페달을 펌프질 하듯이 밟지 마
십시오.
1TQA3029
•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에서는 타이어가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급격한 엔진 브레
이크는 피해 주십시오
.
차량 조향력을 잃게 되어 위험할 수 있 습니다 .
•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해 보다 많은 힘을 필요로
하고 제동거리도 증가하므로 주행 중 엔
진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
• 브레이크 페달 밑으로 깡통
, 종이 등 이
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브레이크 페달 작동을 방해하여 위험합 니다 .
• 브레이크 페달 위에 발을 올려 놓고 주
행하지 마십시오
. 비정상적인 브레이크
온도 상승을 유발 , 브레이크 패드 (또는
라이닝
(사양 적용시)) 의 과도한 마모 , 제
동거리의 증가를 가져옵니다 .
경 고
제동 장치
• 가파르거나 긴 언덕길을 내려올 때 계속
적인 브레이크 사용은 브레이크 과열 및
브레이크 장치의 일시적인 고장을 야기
할 수 있으므로 저단기어
(엔진 브레이
크 )를 사용하십시오 .
• 브레이크 장치가 젖을 정도로 깊은 물이
있는 곳을 주행하는 것은 정상적인 브레
이크 작동을 방해합니다
. 브레이크 장치
가 젖어 제동효과가 떨어졌을 때는 브레
이크를 건조시키기 위해 안전거리를 유
지한 상태에서 정상적인 브레이크 작동
시까지 수회 가볍게 브레이크를 밟으십
시오 . 물이 고인 곳을 주행했을 때나 세
차 후에는 브레이크 성능을 점검하십시오 .
• 페달을 잘못 밟을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가 분명치 않
으면 운전하지 마십시오
. 브레이크 페달
대신 가속 페달을 밟으면 사고가 일어나
심각한 부상을 입거나 또는 사망 할 수
있습니다 .
경 고
TQ-5-시동및주행.indd 182012-01-16 오후 3:52:52
Page 201 of 308

시동 및 주행
5-21
̰ ABS(Anti-Lock Brake System)
(사양 적용시)
ABS 장치는 급제동시나 미끄러운 도로에서 제동
시 , 구르던 바퀴가 잠기면서 노면 위에서 미끄러
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스티어링 휠의 조향성능을
유지시켜 주는 장치입니다.
일반적인 주행 조건에서 ABS는 일반적인 브레이
크 장치의 작동과 같습니다.
ABS 가 장착된 차량으로 주행할 때는 도로조건이
나 교통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운전하십시오. • 급제동시 브레이크 페달을 힘껏 밟고 차가 완
전히 정지할 때까지 계속 밟고 계십시오.
이 경우 절대로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거 나 펌프질 하듯이 밟지 마십시오.
• ABS 차량은 급제동시에도 스티어링 휠 조향
이 가능합니다.
• ABS 가 작동될 때 브레이크 페달을 통해 전달
되는 다소의 진동과 소음은 정상적인 것입니
다.
• ABS 차량은 젖은 포장도로나 얼음길 또는 다
져진 눈길에서 일반 브레이크 차량보다 더 빨
리 정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높은 속도로 주
행하지 마십시오. •
ABS 차량일 지라도 , 여전히 충분한 제동거리
는 필요합니다. 항상 앞차와 안전거리를 유지
하십시오.
• ABS 장착 차량이라도 옆으로 미끄러지는 위
험을 방지할 수는 없습니다.
• 또한 자갈길이나 깨끗하지 않고 평평하지 않
은 도로 또는 막 쌓인 눈길에서는 일반 브레이
크 차량보다 제동거리가 더 길어질 수 있습니
다.
• 선회 할 때는 항상 감속 주행하십시오. ABS 장
착 차량도 과속으로 인한 사고는 방지할 수 없
습니다.
• 빙판길과 같은 미끄러운 도로를 주행할 때 브
레이크를 계속 밟고 있으면 ABS가 계속 작동
하여 ABS 경고등이 켜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을 안전한 곳에 정차 시
킨 후 엔진을 정지시켰다가 재시동하여 ABS
경고등이 소등되는지 점검하십시오.
• 운행 중에 ABS 경고등이 계속 점등 또는 점멸
하면 ABS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빨
리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
에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이런 경우라도 일반적인 브레이크 기능은 작 동됩니다. •
ABS 경고등은 시동 스위치
「ON
」한 후
3초 동
안 점등 됩니다. 이 시간은 자가 진단 시간이고
ABS 가 정상이면 경고등은 소등됩니다. 만약
계속 점등 되어 있으면 ABS장치에 이상이 발
생한 것입니다. 가능한 빨리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점검을 의뢰
하십시오.
• 엔진 시동 후 출발 시 저속에서 미약한 ABS 자
체 진단음이 들릴 수 있습니다. 이것은 ABS가
정상 작동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상
이 아닙니다.
• 배터리가 방전되어 엔진을 점프 스타트 할 때
는 엔진 회전이 불안정하고 동시에 ABS 경고
등이 점등 또는 점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배터리의 전압 부족에 의한 것이므로 배터리
전압이 회복된 후 주행 하십시오.
• 타이어 주위를 청소할 때는 각 휠에 장착되어
있는 차속 감지 장치 및 배선 등에 손상을 입
히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ABS 는 고속도로 , 좋은 조건의 도로에서 최대의
브레이크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설계되었습니
다. 나쁜 조건의 포장도로에서 ABS는 브레이
크 효과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항상 기후나 도
로조건에 적합한 안전한 속도로 주행하십시오.
TQ-5-시동및주행.indd 212012-01-16 오후 3:52:53
Page 202 of 308

시동 및 주행
5-22
̰ 차체 자세 제어 장치(VDC)(사양 적용시)
차체 자세 제어 장치(
VD C)는 미끄러지기 쉬운 노
면에서 구동되는 바퀴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발진하기 쉽게 하고 선회 가속시의 적절한 구동력 , 조종력을 확보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 차속
및 조향각 센서등 각종 센서들로부터 운전자의
조종 의도를 판단하고 4개의 바퀴에 개별적인 제
동력을 적절히 배분하여 제동시 및 가속시 , 또한
커브를 돌 때 차량의 앞 ,뒤 ,좌 ,우 모든 방향에 대
한 차체의 자세를 제어하여 보다 안정된 조종력
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
V
D C : Vehicle Dynamic Control
▶ VDC 작동
● 작동 가능 상태
• 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키면 표시
등이 약 3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
된 후 자동으로 VD C 작동 가능 상
태가 됩니다.
• 엔진 시동 후
「V
D C OFF
」 버튼을
0 .5 초 이상 눌러 VD C 작동을 정지
시킨 상태(
VDC OFF 표시등 점등)에서
는 한번 더 「V
D C OFF
」 버튼을 눌
러 계기판에 VD C 작동 정지 표시
등(
VDC OFF)이 소등되면 차체 자세 제
어 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됩
니다.
• 엔진 시동 후 출발 시 저속에서
미약한 VD C 자체 진단음이 들릴
수 있습니다. 이것은 VD C가 정상
작동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
로 이상이 아닙니다.
-
OTQ057010
• ABS
경고등과 브레이크 경고등이 동시
에 점등한 경우 , 제동력의 전·후륜 배분
기능도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급제동시
차량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습니다 .
경고등이 점등되면 고속주행이나 급제 동을 피하고 곧바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점검
및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
• 안전한 운행을 위해서
ABS 장치에 너무
의존하지 마십시오 . 그리고 다음과 같은
주행에 대해서 ABS장치는 안전을 보장
할 수 없습니다 .
- 운전미숙 , 잘못된 판단 또는 과속이나
안전거리 미확보 등과 같은 안전수칙
을 지키지 않는 무모한 주행 등 .
- 빗길과 같은 수막으로 인한 타이어 마
찰력이 현저히 감소되는 상황에서의
고속주행 등 .
경 고
TQ-5-시동및주행.indd 222012-01-16 오후 3:52:54
Page 204 of 308

시동 및 주행
5-24
• 차량검사시 속도계 시험기로 속도를 측정할
때 VD C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으면 VD C 기능
이 작동하여 속도의 상승억제가 작용됨에 따
라 속도계가 불량으로 나와 불합격 판정을 받
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V
D C OFF
」 버튼을 눌
러 VD C 작동을 정지하십시오.
• V D C 작동 가능인 상태에서
「V
D C OFF
」 버튼을
눌러 VD C 기능이 정지되어도 ABS 및 제동성
능에는 전혀 이상이 없습니다.
● B타입
시동을
「ON
」 으로 하면 점등되고
VD C장치에
이상이 없으면 약 3초후 소등됩니다.
작동 표시등은 VD C가 작동될 때 점멸하고 ,
V D C 작동 가능상태에서 VD C 장치에 이상이
있거나 장치 보호를 위한 기능 일시 정지 시
점등됩니다.
작동 정지 표시등은 「V
D C OFF
」 버튼을 눌러
V D C 장치를 해제 시켰을 때 점등됩니다.
▶ VDC OFF(작동 정지) 사용 방법
• 차량 검사 시
차량 검사 시에는 시동 스위치 「ON
」 상태에서
「 V
D C OFF
」 버튼을 한번 눌러 (
VDC
OFF 표시등 점
등) VD C 기능을 정지시킨 후 차량검사를 실시
하고 검사 완료 후에는 「V
D C OFF
」 버튼을 다
시한번 눌러 VD C 작동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하
십시오.
• 차량 운행 시
일상적인 차량 운행 시에는 가능한 VD C 작동
가능 상태로 운행하십시오.
주행 중 VD C 작동 가능 상태에서 작동 정지
(
VDC OFF)상태로 변환시키고자 할 때에는 직선 평
탄로에서 정속 주행을 하며 「V
D C OFF
」 버튼을
누르십시오.
특히 , V D C 작동 상태( VD C 표시등 점멸)에서는
절대로 「V
D C OFF
」 버튼을 누르지 마십시오.
VD C 작동 상태에서 VD C 기능을 정지시키면
갑작스런 차량의 미끄러짐으로 인하여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V DC 작동 상태에서는
「V
DC O FF
」 버튼을
누르지 마십시오 .
미끄러운 노면을 급가속 또는 선회가속 중
에 「V
DC O FF
」 버튼을 눌러 V
DC 기능을 정
지시키면 갑작스런 차량의 미끄러짐으로
인하여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행 중 V DC 작동 가능 상태에서 작동 정지
(
VDC OFF) 상태로 변환시키고자 할 때에는 직선
평탄로에서 정속 주행을 하며 「V
DC O FF
」
버튼을 누르십시오 .
경 고
커브길, 눈이 쌓인 도로 , 동결로에서는 V DC
기능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말고 안전운행
에 유의 하십시오 .
특히 V DC 작동 표시등이 점멸하는 경우나
노면이 미끄러지기 쉬운 상태 또는 커브길
에서는 가속하지 말고 서행하십시오 .
경 고
TQ-5-시동및주행.indd 242012-01-16 오후 3:52:54
Page 206 of 308

시동 및 주행
5-26
̰ 험로에서의 주행
•
요철이 심한 도로에서 양 바퀴가 동시에 움푹
들어간 곳에 빠지면 차체가 지면에 접촉하게
됩니다. 이러한 도로에서는 차 바퀴를 볼록한
곳에 올려 놓으면서 주행 하십시오.
• 비포장도로 , 눈길 , 빙판길 , 진흙탕 길을 주행
할 때는 속도를 낮추고 제동거리를 충분히 확
보하십시오. 급하게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지
마십시오.
• 제동시에 , 차가 멈출 때까지 브레이크 페달을
펌프질 하듯이 가볍게 위 아래로 밟으십시오.
( ABS 장착 차량 제외)
1TQA3002
• 항상 지정된 타이어 공기압을 유지하십시오.
• 급정차를 피하기 위하여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하십시오. 연료의 절감은 물론 브레이크
패드(또는 라이닝
(사양 적용시))의 과마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브레이크 페달에 발을 올려놓고 운행하지 마
십시오. 연료의 과소모는 물론이고 브레이크
의 손상을 가져옵니다.
• 적절한 휠 얼라인먼트는 연료를 절감시키고 ,
타이어가 빨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 정기적으로 검사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부품
의 수명이 증가하고 비용도 절감됩니다. 주행 중에는 차량상태에 항상 주의하여 이상이
있다고 생각되면 즉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여
점검 및 정비를 하십시오.
또 원인이 불분명하거나 수리가 곤란할 때는 가
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연락하십시오. •
차량의 주행 속도는 안전속도 이내로 , 주위의
차량 속도에 맞추어 차량 흐름이 자연스럽게
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차선을 변경할 때는 미리 방향지시등을 켜고
그 차선을 주행하는 다른 차량에 방해되지 않
도록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한 후 안전하게
차선을 변경하십시오.
• 경적음은 꼭 필요시만 사용하십시오.
• 운전할 때는 보행자를 소중히 생각하여 서로
에게 양보하는 보다 즐거운 운행이 되도록 하
십시오.
• 주행 중에 경고등이 점등되면 즉시 안전한 장
소에 정차하여 점검하십시오.
• 출발은 천천히 하고 , 급출발 , 급가속 , 급제동을
삼가십시오.
1VQA3015
안전 운행
TQ-5-시동및주행.indd 262012-01-16 오후 3:52:54
Page 279 of 308

정기 점검
7-41
• 차량 출고 시 제공된 타이어 및 휠과 다
른 사이즈 또는 타입의 타이어와 휠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 차량의 안전주행에
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조향력의 상실 및
전복에 따른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반드시 모든 타이어와 휠은
동일 사이즈 , 동일 타입 , 동일 트레드 , 동
일 제조사 , 동일 부하 용량의 타이어를
사용하십시오 .
불가피하게 비포장 도로에서 이종 타이 어를 장착해서 운행하게 될지라도 고속
도로에서 운행을 해서는 안됩니다 .
• 타이어 또는 휠 교체 시에는 반드시
4륜
의 타이어 또는 휠을 동시에 교체하십시오 . 다른 타이어 또는 휠로 일부만 교체
하는 경우 차량의 조향 성능 및 승차감
에 심각하게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경 고
•
ABS(사양 적용시)시스템은 휠 회전 속
도를 비교하여 작동하며 , 타이어의 사이
즈는 휠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 다 . 타이어를 교체할 경우 4개 타이어 모
두 출고 시와 동일한 규격의 타이어를
사용하십시오 . 다른 사이즈의 타이어를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 ABS
(사양 적용
시)
, VDC(사양 적용시)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경 고• 타이어 교환 후 일정거리를 주행하고 휠 너트
(또는 휠 볼트)의 조임 상태를 점검하십시오.
• 타이어 접지면에 남은 홈의 깊이가 일반도로
1 .6mm 이하 , 고속도로 2.4mm 이하일 경우 타
이어를 교환하십시오.
완전 마모 또는 잘못 조립된 타이어를 장착
하여 주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 완전
마모된 타이어는 브레이크 성능을 감소시
키고 조향의 정확성 및 구동력을 저하시킵
니다 . 완전 마모된 타이어가 파열되기 전에
반드시 타이어를 교체하십시오 .
경 고
TQ-7-정기점검.indd 412012-01-16 오후 3:5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