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Blue City 2016 블루시티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141 of 166

정기 점검
7-49
0에어 압력조절기
공기탱크 압력을 9Bar에서 2Bar로 감압 조절시
켜 감압된 공기압력은 웨스터 게이트 터보차져
액츄에이터를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합니다.
압력게이지를 확인하여 2Bar±0.1를 유지하십시오.
압력게이지 지침이 2Bar를 초과하여 벗어날 경
우는 레버를 돌려서 2Bar로 조정하십시오.
0연료 압력 센서(NGTP)
용기(실린더)내의 가스 압력이 엔진제어장치
(ECU)로 전송되고, 엔진제어장치는 전송된 신호
를 계기판에 신호로 전송합니다. 연료량을 엔진
제어장치에서 판단하여 부족할 경우 경고등을 점
등시킵니다.
0열교환기
고압의 가스를 8Bar의 저압으로 감압시 가스팽
창으로 인하여 가스 온도가 내려가므로 이를 데
워주기 위해 엔진 냉각수가 순환됩니다.
OCY073005OCY073005
0연료량 조절 밸브
•연료량 조절밸브(Fuel Metering Valve)는 가스
압력/온도센서와 5개의 인젝터로 구성됩니다.
•가스압력/온도센서는 연료량 조절밸브의 가
스상태를 측정하며 엔진 제어장치(ECU)에서
계산된 연료량은 5개의 인젝터를 통해 믹서
로 분사됩니다.
•연료량 조절밸브는 전용 세척기로 매 6개월
또는 5만km 마다 필요시 청소를 하고 20만
km 마다 교환 하십시오.
OCY073007OCY073007
인젝터인젝터
가스압력/온도센서가스압력/온도센서

Page 142 of 166

정기 점검
7-50
0연료/공기 혼합기(MIXER)
공기와 CNG가스를 연소에 적합하게 혼합하는
장치입니다.
OCY073008OCY073008
① 전자 드로틀보디
② 흡기온도, 흡기압력 센서
③ 드로틀 전단 입력(PTP) 센서
0전자드로틀 보디
CNG엔진에 적용되는 전자드로틀밸브는 DC모
터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가속 페
달을 밟는 (신호)정도에 의해 엔진 연소실에 흡입
되는 혼합기량을 조절합니다
0흡기온도(MAT) 흡기압력(MAP) 센서
흡입매니폴드에 장착된 흡기온도(MAT) 흡기압
력(MAP) 센서에서는 흡입된 공기량의 온도와 압
력을 측정하며 엔진제어 장치에서는 이 값으로
흡입된 공기량을 계산하여 그에 따른 연료량을
제어합니다.
0드로틀 전단입력(PTP) 센서
가감속 운전 시에 안정된 엔진제어를 위해 전자
드로틀 전단부에서 공기압력을 측정합니다.
OCY073009OCY073009
33
22
11

Page 143 of 166

정기 점검
7-51
0냉각 수온 센서(ECT)
냉각수온도 센서는 냉각수 온도를 감지 측정하고
그 값은 엔진제어 장치로 입력됩니다. 엔진 과열
시 엔진 제어장치에 의해 계기판에 있는 엔진 과
열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OCY073011OCY073011
0점화 코일 / 스파크 플러그
① 점화 코일
② 스파크 플러그
▶점화 코일
배터리의 전압을 고전압으로 발생시켜, 점화
플러그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정기점검표에
따라 점검/교환해야 합니다.
점화 코일 조임토크 : 0.8~1.2kgf.m
OCY073013OCY073013
11
22
▶스파크 플러그 점검/교환
스파크 플러그는 엔진의 성능에 중요한 영향
을 미치므로 점검일람표에 따라 점검/교환해
야 하며 또한 엔진실화 연비저하 가속성능이
약해지는 등의 현상이 발견될 때도 탈거하여
간극등을 점검하여 간극이 0.6mm 이상일 경
우 교환하십시오. 스파크 플러그가 불량하면
유해배출 가스량이 증가하고 엔진부조 현상
이 발생합니다.
OCY073013OCY073013
점검주기 조임토크
매 5만km마다 교환 2.0~2.5kgf.m

Page 144 of 166

정기 점검
7-52
주 의
•스파크 플러그는 순정부품을 사용하십시오.
•엔진 시동이 안될 때 가스의 메인스위치 및
밸브를 확인하십시오.
•스파크 플러그 교환시 나사부에 안티시즈
를 도포하십시오. 안티시즈 도포시 플러그
끝단 탭부에 묻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안티시즈: 록타이트 771 상당품
0습도센서
대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여 엔진의 각운전 영역
에서 공연비를 보정 할수 있도록 컴퓨터(ECU)에
신호를 전달 합니다.
OCY073016OCY073016
0산소 센서(UEGO)
▶전단 산소 센서
배기가스내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며 엔진의 각
운전 영역에서 설정된 공연비로 운전될 수 있
도록 연료량을 제어합니다.
OEG076008OEG076008
OCY075054OCY075054
00전단 산소 센서전단 산소 센서
00후단 산소 센서후단 산소 센서

Page 145 of 166

정기 점검
7-53
0웨스터 게이트 조절밸브
웨스터 게이트 조절밸브는 터보차져로 가해지는
공기압을 제어하여 저속, 고속에서 최적의 터보
차져 성능을 낼 수 있도록 합니다.
0부스터 모니터 센서
터보차저로 가해지는 공기압을 실제로 측정하여
웨이스트 게이트 조절밸브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합니다.
OCY073020OCY073020
웨이스트게이트웨이스트게이트
조절밸브조절밸브
부스트 모니터 센서부스트 모니터 센서
▶후단 산소 센서
촉매 후단에 장착되어 촉매 전단 산소 센서와
산소농도를 비교 하여 촉매를 모니터링 합니다.
주 의
산소 센서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로는 절
대로 운행하지 마십시오. 엔진 부조 및 엔진 출
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주 의
가속도 센서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로는
절대로 운행하지 마십시오. 엔진 부조 및 엔진
출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0가속도 센서
요철 도로와 같은 비포장 도로에서 차량의 상하
진동을 감지하여 컴퓨터(ECU)에 신호를 전달하
여 엔진의 연료의 실화 오감지를 방지합니다.

Page 146 of 166

정기 점검
7-54
0블로바이 시스템
연소시 발생되는 블로바이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
하지 않고 분리하여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은 오일
팬으로 드레인되고 블로바이가스는 흡기측으로 재
유입 됩니다.
OCY073022OCY073022
0전자식 엔진 제어 장치
C6GB엔진은 엔진 본체에 엔진 제어장치가 있습
니다.
OCY073024OCY073024
블로바이 시스템블로바이 시스템

Page 147 of 166

정기 점검
7-55
각종 램프의 위치
※ 전구교환시 맨손으로 반사경 또는 전구를 만지지 마십시오. 장갑이나 패키징을 사용하십시오.
손에 묻은 그리스, 오일 등의 불순물이 전구에서 발생되는 열에의해 증발되어 반사경 기능을 손상 시킬수 있습니다.
특히, 발열량이 많은 헤드램프 전구 취급시 주의하십시오.
1. 방향 지시등
2. 안개등
3. 헤드램프
4. 측면 방향 지시등
5. 정지등, 미등
6. 후진등
7. 방향 지시등
8. 번호판등
9. 휠 램프
10. 차폭등
OCYHYB40OCYHYB40
0초저상

Page 148 of 166

정기 점검
7-56
※ 전구교환시 맨손으로 반사경 또는 전구를 만지지 마십시오. 장갑이나 패키징을 사용하십시오.
손에 묻은 그리스, 오일 등의 불순물이 전구에서 발생되는 열에의해 증발되어 반사경 기능을 손상 시킬수 있습니다.
특히, 발열량이 많은 헤드램프 전구 취급시 주의하십시오.
1. 방향 지시등
2. 안개등
3. 헤드램프
4. 측면 방향 지시등
5. 정지등, 미등
6. 후진등
7. 방향 지시등
8. 번호판등
9. 휠 램프
10. 차폭등
OCY076003OCY076003
0표준버스

Page 149 of 166

정기 점검
7-57
주 의
전구는 비규격품 사용시 화재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규격품 전구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주 의
• 헤드라이트 전구는 비규격품을 사용시 화
재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규격품 전구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 헤드라이트 안개등 등의 램프는 우천시 주
행과 세차등의 조건하에서 흐려질 수 있습
니다. 이것은 램프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따른 것으로 우천시 창 유리가 흐려지는 것
과 동일현상입니다. 따라서 기능상의 문제
는 없으나, 단 렌즈 내면에 큰 물이 들어간
경우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및 블루핸즈
에 문의해 주십시오.
램 프 종 류수량용량(W)
헤드램프안쪽 2 75
바깥쪽 2 70
방향지시등 2 21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방향지시등 2 21
정지등, 미등 2 21/5
후진등 2 21
안개등 2 70
측면방향지시등 2 21
사이드 마크 램프 8 5
차폭등 4 21
번호판등 4 5
출입구등앞도어 1 21
중간 도어 1 21
램 프 종 류수량용량(W)
실내등



운전석 1 21
자가용,직좌 4
20표준저장 6
시내저상(고급화버스)9
휠램프 2 21
화물칸 3 5
행선지등프론트 2 20
리어 3 12
계기판 조명등 3 6

Page 150 of 166

정기 점검
7-58
배출가스 규제(CNG)
0유해 배출가스 관리
▶유해 배출가스
엔진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
생되는 배출가스 중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
치는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매
연 등은 법적 규제치를 두어 관리, 규제하고
있습니다. 허용기준 초과시는 개선 명령 및
과태료 부과 등 법적 제재를 받게 되오니 올
바른 정기 점검 및 정비 내용을 준수하여 차
량 관리 하십시오.
●수시점검 및 정기검사의 배출 허용 기준
▶유해 배출가스 예방을 위한 관리사항
연소실내의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각종
불완전한 요인에 의해 완전 연소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됩니다. 유해 배출가스는 차량의
정비상태, 특히 엔진 상태의 양호 여부에 직접
적인 영향을 받으므로 차량의 생산 또는 검사
과정에서 완전하게 조정되었다 하더라도 운
행함에 따라 엔진의 상태가 변화되어 유해가
스 배출량이 증가됩니다.
이의 예방을 위해 필수적으로 이행되어야 할 사
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사에서 실시 요망하는 차량 점검사항을 철
저히 이행하십시오.
•정기 점검이나 고장진단 수리시에는 자사 직
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정비
를 받으십시오.
•엔진 점검 정비시 또는 배출가스 측정시 약5
분정도 엔진 시동을 걸어 엔진이 정상가동 온
도(85~95℃)로 가열된 상태에서 점검 및 측
정하십시오.
• 외기가 높을때 가능한 한 장시간의 저속 엔진
가동을 삼가하여 주시고 배출 가스 측정이나
점검시에는 여러번 가속한 후 시행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 차량이 완전한 상태로 점검 및 정비 되었어도
매 10,000km 주행시마다 정기적인 점검 정
비를 받으십시오.
항 목기 준비고
일산화탄소 2.5% 이하
무부하 검사탄화수소 400ppm 이하
공기과잉률 1± 0.1 이내

Page:   < prev 1-10 ... 101-110 111-120 121-130 131-140 141-150 151-160 161-170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