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Grandeur 2016 그랜저 HG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141 of 240

정기 점검
7-7
자동차는 시간이 경과하고 주행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그 기능이 노화됩니다.
당사에서 추천하는 정기 점검 주기표에 따라 점
검 정비하여 차량의 수명을 연장하고 주행중의
갑작스런 고장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에서 벗어나
십시오.
(「정기 점검 주기표」 참조)
점검 정비를 할 때는 반드시 자사 순정부품을 사
용하시고 차량에 대한 특별한 지식과 장비를 갖
춘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
시하십시오.
만일, 순정부품을 사용하지 않거나 자사 직영 서
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가 아닌 곳에서 점검 정
비하여 발생하는 클레임은 보증수리 기간이라도
보증수리를 받을 수 없으므로 주의하십시오. 자
세한 사항은 보증서를 참고하십시오.
또한, 자동차 관리법에 따라 자동차 소유자는 자
동차 신규등록일로 부터 해당 기간이 경과되면
반드시 점검 및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0운전자 의무 준수 사항
•잘못된 점검 정비는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본 취급설명서에 기재된 점검 정비 방법은
비교적 운전자가 손쉽게 할 수 있는 항목입
니다.
그러나, 보증기간 내라도 운전자의 잘못된
점검 정비로 인한 클레임은 보증수리를 받
을 수 없음에 유념하십시오.
기재된 점검 정비 방법이 어렵고 이해되지
않으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
즈에 점검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물 또는 왁스 등 액체성 물질로 엔진룸을
청소할 경우 차량의 전기계통에 이상을 초
래하여 정상적인 차량운행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액체성 물질로 엔진룸을 청소하
지 마십시오.
주 의점검 정비를 할때는 반드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십
시오.
경 고
점검 정비

Page 142 of 240

정기 점검
7-8
0점검 정비 시 주의 사항
•경사가 없는 평탄한 장소에서 실시하십시오.
•시동 「OFF」 또는 「ACC」로 한 후 변속레버를
「P」(주차)에 위치시킨 후 주차 브레이크를 작
동시켜 놓으십시오.
•엔진 시동 상태에서 점검을 해야 할 때가 아
니면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십시오.
•점검 정비는 환기가 잘 되는 장소에서 실시하
십시오.
•차량 밑에서 작업할 때는 반드시 리프터를 사
용하십시오.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하고 점검 정비하십
시오.
•배터리, 점화 케이블, 전기 배선에는 전류
가 흐르고 있다는 것에 유념하여 퓨즈, 메
인퓨즈가 단선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엔진 룸 점검이나 정비를 할 때 엔진 커버
상단 또는 연료 관련 부품 위에 무거운 물
건을 올려 놓거나 무리한 힘 또는 충격을
가하지 마십시오.
•연료 계통(연료 라인 및 연료 분사장치) 정
비 시에는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
는 블루핸즈에서 실시하십시오.
• 점검 정비를 할 때 엔진 커버를 임의로 탈
거한 상태에서 장시간 주행하지 마십시오.
•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타이어 교체 및 하부 정비를 위해 리프트를
통해 차를 올릴 때, 매립식은 사용하지 마십
시오. 또한 지주식(2 post 타입)을 사용 할
때는 리프트 암에 사이드 실 몰딩부가 간섭
되지 않도록 위치 조정 후 사용하십시오.
주 의
•엔진부를 점검할 때는 반드시 엔진을 정
지시키고 엔진이 식은 후에 실시하십시
오. 그렇지 않으면 화상을 입을 수 있습
니다.
• 엔진을 시동시키고 밀폐된 장소에서
점검 정비할 경우 배기가스에 중독될
수 있으니 반드시 환기하십시오.
• 잭으로 차량을 받친 상태에서 차량 밑으
로 들어가지 마십시오.
잭으로 부터 차량이 미끄러지면 심각한
부상을 당할 수 있습니다.
• 연료장치나 배터리 근처에서는 불꽃
을 멀리 하십시오. 화재의 위험이 있습
니다.
경 고

Page 143 of 240

정기 점검
7-9
•엔진 시동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
에는 옷자락, 시계, 반지 등은 제거하여
위험을 사전에 방지 하십시오. 구동벨트,
냉각팬에 손, 옷자락, 머리카락, 공구등
이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 배터리의 「-」 단자를 연결할 때는 주의
하십시오. 「-」 단자에 「+」 케이블을 연결
하거나 「+」 단자에 「-」 케이블을 연결하
지 마십시오.
•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 엔진룸 점검시 주변에 화기를 가까이 하
지 마십시오.
연료와 와셔액, 각종 오일류 증발가스 인
화로 화재 위험이 있습니다.
경 고
•배터리, 점화 케이블, 전기 배선을 다룰
때는 미리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하십
시오.
전류가 흐르고 있어 감전될 수
있습니다. 냉각팬이 전기적으
로 제어되는 차량은 엔진이 작동하지 않
은 상태에서도 냉각팬이 작동할 수 있습
니다.
냉각팬의 작동은 심각한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엔진 시동 상태에서 점
검 정비해야 하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
하고 반드시 시동 스위치에서 키를 빼십
시오.
GDI 엔진의 경우 배터리 “-” 단자를 분리
하지 않으면 냉각팬이 작동할 수도 있으
니 주의하십시오.
경 고

Page 144 of 240

정기 점검
7-10
일상 점검
일상 점검이란 자동차를 운행하는 사람이 매일 차량을 운행하기 전에 행하는 점검을 말하며 이는 안전 운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점검이고 운전자의 의무이기
도 합니다. 반드시 실시하십시오.
점검 항목 점 검 내 용
이상 유무 확인· 전일 운전시 이상이 있던 부분은 정상인가
엔진룸을 열고
엔 진
· 시동이 용이하고 연료, 엔진오일, 냉각수가 충분한가
· 누수, 누유는 없는가
· 구동벨트의 장력은 적당하고 손상된 곳은 없는가
변 속 기· 누유는 없는가
기 타· 브레이크액, 와셔액 등은 충분하고 누유는 없는가
차의 외관에서
엔 진· 배기가스의 색깔은 깨끗하고 유독가스 매연의 배출이 없는가
완 충 스 프 링· 스프링의 연결부위에 손상, 균열이 없는가
바 퀴
· 타이어의 공기압은 적당한가
· 타이어의 이상마모 또는 손상은 없는가
· 휠너트(또는 볼트)의 조임은 충분하고 손상은 없는가
램 프· 점멸이 확실하고 파손되지 않았는가
등 록 번 호 표· 번호표가 파손되지 않았는가

Page 145 of 240

정기 점검
7-11
점검 항목 점 검 내 용
차의 외관에서
엔 진· 연료는 충분하고 시동은 용이한가
스티어링휠· 흔들림, 유동이 없는가
· 조작이 용이한가
브레이크
· 페달의 유격과 잔류간극이 적당한가
· 브레이크의 작동이 양호한가
·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량은 적당한가
변속기· 변속레버의 조작이 용이한가, 심한 진동은 없는가
실외미러 / 실내미러· 비침 상태가 양호한가
경음기· 작동이 양호한가
와이퍼· 작동이 양호하고 와셔액은 충분한가
각종계기 및 스위치· 작동이 양호한가

Page 146 of 240

정기 점검
7-12
정기 점검
차량을 주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아닌 곳에서 사용했다면 통상 조건의 점검
주기를 따르십시오.
그러나 만약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사용했다면 가혹 조건의 점검 주기를 따
르십시오.
1. 짧은 거리를 반복해서 주행했을 때
2. 엔진 내 모래나 먼지 유입이 많을 경우
3. 공회전을 과다하게 계속 시켰을 때
4. 교통 체증이 심한 곳을 주행하는 경우
5. 험한 길(모래자갈길,눈길,비포장길)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6. 산길, 오르내리막길 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7. 경찰차, 택시, 상용차, 견인차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8. 고속주행(170km/h이상)의 빈도가 높은 경우
9. 잦은 정지와 출발을 반복으로 주행 할 경우
10. 소금, 부식물질 또는 한랭지역을 운행하는 경우
위와 같은 조건에서 차량을 운행했다면, 정기 점검 주기보다 더 자주 점검,
교체, 보충하여야 합니다.
0통상조건
다음의 통상조건 점검주기는 주행거리에 따른 주기를 기본으로 하였으나,
일부 부품은 주행거리와 함께 시간경과에 따라서도 점검 또는 교체해야 하
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거리/시간 병기 항목은 차량의 주행거리와 경과시간 중 먼저 도
래하는 시점에 해당 부품의 점검이나 교체를 해야 하므로 주의하십시오.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구동벨트
•가솔린엔진의 밸브 간극(일부 차종에 한함)

Page 147 of 240

정기 점검
7-13
일일 점검 항목
□ 각종 오일 누유, 냉각장치의 누수 여부 점검
□ 냉각수량 점검 및 교체 (최초교체 : 20만km 또는 10년, 최초 교체후
매 40,000 km 또는 매2년 마다 교체)
□ 배터리 상태 점검
□ 브레이크 액 점검
□ 시동 불능 시(재시동 3회 이내 제한) 점검*5
□ 앞 바퀴 정렬 상태 점검(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및 조정)
□ 엔진 부조 시 점검*5
□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점검
□ 연료라인 및 연결부 누유 점검
□ 연료량 점검(연료부족 경고등 점등시 즉시 주유)*1
□ 연료호스, 연료 주입구 캡 점검
□ 증발가스 호스 점검
□ 브레이크 페달 유격(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및 조정) 점검
□ 타이어 공기압, 마모상태 점검
10,000km 점검 항목
□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 배기 파이프(머플러) 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 에어클리너 필터 점검
□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 주차 브레이크 행정 점검
□ 타이어 위치 교환
□ 현가 장치 (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점검
□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15,000km 점검 항목
□ 각 진공호스 점검
□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교체
□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교체(또는 12개월 경과 시)
12개월 마다 점검 항목
□ 에어컨 냉매 점검
□ 에어컨 작동 상태 점검
*1 검증되지 않은 연료(첨가제 등)은 주유하지 마십시오.
*5 엔진부조나 과도한 재시동시 촉매장치 등 배출가스 관련 부품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
니다.
※ 상기 연료관련 점검/교환 주기는 국내석유사업법에 명시된 경유/휘발유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연료
일 경우 해당됩니다.
※ 점검 : 조정, 보충, 청소 또는 필요시 교환
▶가솔린/LPI

Page 148 of 240

정기 점검
7-14
20,000km 점검 항목
□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 배기 파이프(머플러) 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 브레이크 호스 및 라인의 누유, 파손 여부 점검
□ 에어클리너 필터 점검
□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 주차 브레이크 행정 점검
□ 타이어 위치 교환
□ 현가 장치(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점검
□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30,000km 점검 항목
□ 각 진공호스 점검
□ 각종 전기장치 점검
□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교체
□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 로워암 볼 조인트 청소 점검
□ 배기 파이프(머플러) 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 에어클리너 필터 점검
□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교체(또는 교체 후 12개월 경과 시)
□ 연료 탱크 에어필터 점검(가솔린)*4
□ 연료 필터 점검(가솔린)*2
□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 주차 브레이크 행정 점검
□ 타이어 위치 교환
□ 현가 장치(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점검
□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2 차량의 연료필터 막힘에 의한 출력저하, 시동성 저하, 연료압력 이상등의 문제가 발생시 즉시 필터를
교체하십시오.
*4 연료 탱크 에어필터의 오염시 주유가 안될 수 있으니 반드시 점검하십시오.
※ 점검 : 조정, 보충, 청소 또는 필요시 교환

Page 149 of 240

정기 점검
7-15
40,000km 점검 항목
□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 배기 파이프(머플러) 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 브레이크 호스 및 라인의 누유, 파손 여부 점검
□ 브레이크 액 교체
□ 에어클리너 필터 교체
□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 주차 브레이크 행정 점검
□ 타이어 위치 교환
□ 현가 장치 (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점검
□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50,000km 점검 항목
□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 배기 파이프(머플러) 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 에어클리너 필터 점검
□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 주차 브레이크 행정 점검
□ 타이어 위치 교환
□ 현가 장치(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점검
□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45,000km 점검 항목
□ 각 진공호스 점검
□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교체
□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교체(또는 교체 후 12개월 경과 시)
※ 점검 : 조정, 보충, 청소 또는 필요시 교환

Page 150 of 240

정기 점검
7-16
60,000km 점검 항목
□ 각 진공호스 점검
□ 각종 전기장치 점검
□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교체
□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 로워암 볼 조인트 청소 점검
□ 배기 파이프(머플러) 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 브레이크 호스 및 라인의 누유, 파손 여부 점검
□ 에어클리너 필터 점검
□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교체(또는 교체 후 12개월 경과 시)
□ 연료 탱크 에어필터 점검(가솔린)*4
□ 연료 필터 점검(가솔린)*2
□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 주차 브레이크 행정 점검
□ 캐니스터 점검
□ 타이어 위치 교환
□ 현가 장치 (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점검
□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70,000km 점검 항목
□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 배기 파이프(머플러) 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 에어클리너 필터 점검
□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 주차 브레이크 행정 점검
□ 타이어 위치 교환
□ 현가 장치 (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점검
□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75,000km 점검 항목
□ 각 진공호스 점검
□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교체
□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교체(또는 교체 후 12개월 경과 시)
*2 차량의 연료필터 막힘에 의한 출력저하, 시동성 저하, 연료압력 이상등의 문제가 발생시 즉시 필터를
교체하십시오.
*4 연료 탱크 에어필터의 오염시 주유가 안될 수 있으니 반드시 점검하십시오.
※ 점검 : 조정, 보충, 청소 또는 필요시 교환

Page:   < prev 1-10 ... 101-110 111-120 121-130 131-140 141-150 151-160 161-170 171-180 181-190 ... 240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