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Grandeur Hybrid 2016 그랜저 HG HEV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311 of 397

정기 점검
퓨즈/릴레이 라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0
전구의 교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1
전조등, 방향지시등, 차폭등, 안개등 전구의 교체 .........................7-42
옆 방향지시등 전구의 교체 ..............................................7-45
제동등, 미등, 방향지시등, 후진등 전구의 교체 ................7-45
보조제동등 전구의 교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7
실내등 전구의 교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7
차체 손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9
외장 손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9
내장 손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2
배출가스 허용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4
유해 배출가스 ................................................................7-54
운행차 배출가스 허용기준 ...............................................7-54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차량관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5
점화 플러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5
배출가스 제어장치의 관리 및 정비 .....................................7-55
에어클리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6
촉매 변환 장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6

Page 312 of 397

정기 점검
7-3
엔진부의 명칭
OHGH013003OHGH013003※ 본 도안은 설명을 위한 샘플로, 엔진 또는 차량에 따라 위치 및 형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1. 냉각수 보조 탱크
2. 엔진 오일 주입구
3. 브레이크 액 탱크
4. 에어클리너
5. 퓨즈 박스
6. 전기(동력)장치 냉각수
7. 라디에이터 캡
8. 엔진 오일 레벨게이지
9. 와셔액 탱크

Page 313 of 397

정기 점검
7-4
자동차는 시간이 경과하고 주행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그 기능이 노화됩니다.
당사에서 추천하는 정기 점검 주기표에 따라 점
검 정비하여 차량의 수명을 연장하고 주행중의
갑작스런 고장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에서 벗어나
십시오.
(「정기 점검 주기표」 참조)
점검 정비를 할 때는 반드시 자사 순정부품을 사
용하시고 차량에 대한 특별한 지식과 장비를 갖
춘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
시하십시오.
만일, 순정부품을 사용하지 않거나 자사 직영 서
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가 아닌 곳에서 점검 정
비하여 발생하는 클레임은 보증수리 기간이라도
보증수리를 받을 수 없으므로 주의하십시오. 자
세한 사항은 보증서를 참고하십시오.
또한, 자동차 관리법에 따라 자동차 소유자는 자
동차 신규등록일로 부터 해당 기간이 경과되면
반드시 점검 및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0운전자 의무 준수 사항
•잘못된 점검 정비는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본 취급설명서에 기재된 점검 정비 방법은
비교적 운전자가 손쉽게 할 수 있는 항목입
니다.
그러나, 보증기간 내라도 운전자의 잘못된
점검 정비로 인한 클레임은 보증수리를 받
을 수 없음에 유념하십시오.
기재된 점검 정비 방법이 어렵고 이해되지
않으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
즈에 점검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물 또는 왁스 등 액체성 물질로 엔진룸을
청소할 경우 차량의 전기계통에 이상을 초
래하여 정상적인 차량운행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액체성 물질로 엔진룸을 청소하
지 마십시오.
주 의
점검 정비
점검 정비를 할때는 반드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십시
오. 엔진이 갑자기 시동되어 심각한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엔진룸 작업전에 버튼 시
동을 「OFF」 하고 (주행가능 표시
등)가 꺼진 상태를 반드시 확인하십시오.
경 고

Page 314 of 397

정기 점검
7-5
0점검 정비 시 주의 사항
•경사가 없는 평탄한 장소에서 실시하십시오.
•시동 「OFF」 또는 「ACC」로 한 후 변속레버를
「P」(주차)에 위치시킨 후 주차 브레이크를 작
동시켜 놓으십시오.
•엔진 시동 상태에서 점검을 해야 할 때가 아
니면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십시오.
•점검 정비는 환기가 잘 되는 장소에서 실시하
십시오.
•차량 밑에서 작업할 때는 반드시 리프터를 사
용하십시오.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하고 점검 정비하십
시오.
•배터리, 점화 케이블, 전기 배선에는 전류
가 흐르고 있다는 것에 유념하여 퓨즈, 메
인퓨즈가 단선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엔진 룸 점검이나 정비를 할 때 엔진 커버
상단 또는 연료 관련 부품 위에 무거운 물
건을 올려 놓거나 무리한 힘 또는 충격을
가하지 마십시오.
•연료 계통(연료 라인 및 연료 분사장치) 정
비 시에는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
는 블루핸즈에서 실시하십시오.
• 점검 정비를 할 때 엔진 커버를 임의로 탈
거한 상태에서 장시간 주행하지 마십시오.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타이어 교체 및 하부 정비를 위해 리프트를
통해 차를 올릴 때, 매립식은 사용하지 마십
시오. 또한 지주식(2 post 타입)을 사용 할 때
는 리프트 암에 사이드 실 몰딩부가 간섭되
지 않도록 위치 조정 후 사용하십시오.
주 의
•엔진부를 점검할 때는 반드시 엔진을 정
지시키고 엔진이 식은 후에 실시하십시
오. 그렇지 않으면 화상을 입을 수 있습
니다.
• 엔진을 시동시키고 밀폐된 장소에서
점검 정비할 경우 배기가스에 중독될
수 있으니 반드시 환기하십시오.
• 잭으로 차량을 받친 상태에서 차량 밑으
로 들어가지 마십시오.
잭으로 부터 차량이 미끄러지면 심각한
부상을 당할 수 있습니다.
• 연료장치나 배터리 근처에서는 불꽃
을 멀리 하십시오. 화재의 위험이 있습
니다.
• 하이브리드 시스템 점검이 필요할 경우
트렁크 내 서비스 플러그를 분리 후 점검
해야 합니다. 또한 서비스플러그를 분리
후 약 5분정도 기다린 후 실시하십시오.
경 고

Page 315 of 397

정기 점검
7-6
•엔진 시동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
에는 옷자락, 시계, 반지 등은 제거하여
위험을 사전에 방지 하십시오. 구동벨트,
냉각팬에 손, 옷자락, 머리카락, 공구등
이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 배터리의 「-」 단자를 연결할 때는 주의
하십시오. 「-」 단자에 「+」 케이블을 연결
하거나 「+」 단자에 「-」 케이블을 연결하
지 마십시오.
•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 엔진룸 점검시 주변에 화기를 가까이 하
지 마십시오.
연료와 와셔액, 각종 오일류 증발가스 인
화로 화재 위험이 있습니다.
경 고
•브레이크 액이 통과되는 브레이크 부품
이 탈거되거나 교체되었다면 브레이크
부품 내 공기가 잔존하여 제동성능이 저
하될 수 있으므로 올바른 브레이크 계통
공기 빼기를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나 블루핸즈에 점검, 정
비를 의뢰하십시오.
경 고
• 배터리, 점화 케이블, 전기 배선을 다룰
때는 미리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하십
시오.
전류가 흐르고 있어 감전될 수 있습니다.
•냉각팬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차량은 엔진이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냉각팬이 작동할
수 있습니다.
냉각팬의 작동은 심각한 부상
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엔진
시동 상태에서 점검 정비해야
하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
고 반드시 시동 스위치에서 키
를 빼십시오.
경 고

Page 316 of 397

정기 점검
7-7
일상 점검
일상 점검이란 자동차를 운행하는 사람이 매일 차량을 운행하기 전에 행하는 점검을 말하며 이는 안전 운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점검이고 운전자의 의무이기
도 합니다. 반드시 실시하십시오.
점검 항목 점 검 내 용
이상 유무 확인· 전일 운전시 이상이 있던 부분은 정상인가
엔진룸을 열고
엔 진
· 시동이 용이하고 연료, 엔진오일, 냉각수가 충분한가
· 누수, 누유는 없는가
· 하이브리드 스타트 & 제너레이터(HSG) 구동벨트의 장력은 적당하고 손상된 곳은 없는가
변 속 기· 누유는 없는가
기 타· 브레이크액, 와셔액 등은 충분하고 누유는 없는가
차의 외관에서
엔 진· 배기가스의 색깔은 깨끗하고 유독가스 매연의 배출이 없는가
완 충 스 프 링· 스프링의 연결부위에 손상, 균열이 없는가
바 퀴
· 타이어의 공기압은 적당한가
· 타이어의 이상마모 또는 손상은 없는가
· 휠너트(또는 볼트)의 조임은 충분하고 손상은 없는가
램 프· 점멸이 확실하고 파손되지 않았는가
등 록 번 호 표· 번호표가 파손되지 않았는가

Page 317 of 397

정기 점검
7-8
점검 항목 점 검 내 용
차의 외관에서
엔 진· 연료는 충분하고 시동은 용이한가
스티어링휠· 흔들림, 유동이 없는가
· 조작이 용이한가
브레이크
· 페달의 유격과 잔류간극이 적당한가
· 브레이크의 작동이 양호한가
·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량은 적당한가
변속기· 변속레버의 조작이 용이한가, 심한 진동은 없는가
실외미러 / 실내미러· 비침 상태가 양호한가
경음기· 작동이 양호한가
와이퍼· 작동이 양호하고 와셔액은 충분한가
각종계기 및 스위치· 작동이 양호한가

Page 318 of 397

정기 점검
7-9
정기 점검
차량을 주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아닌 곳에서 사용했다면 통상 조건의 점검
주기를 따르십시오.
그러나 만약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사용했다면 가혹 조건의 점검 주기를 따
르십시오.
1. 상온 지역 8km 이내 또는 한랭 지역 16km 이내의 짧은 거리를 반복적으
로 주행하는 경우
2. 공회전을 과도하게 유지하거나 긴 거리를 낮은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
3. 험한 길, 진흙탕길, 비포장길, 자갈길 및 소금기가 있는 지역을 주행하는
경우
4. 소금, 부식 물질 또는 한랭 지역을 주행하는 경우
5. 모래 및 먼지가 많은 지역을 주행하는 경우
6. 외기온 32℃ 이상의 교통 체증이 심한 곳을 주행하는 경우
7. 산길, 오르막내리막길을 반복적으로 주행하는 경우
8. 견인용, 캠핑용으로 사용하거나 지붕위 짐칸을 탑재하여 주행하는 경우
9. 경찰차, 택시, 상용차, 견인차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10. 고속주행(170km/h이상)의 빈도가 높은 경우
11. 잦은 정지와 출발을 반복으로 주행 할 경우
12. 비가 자주 오는 지역을 운행하는 경우
위와 같은 조건에서 차량을 운행했다면, 정기 점검 주기보다 더 자주 점검,
교체, 보충하여야 합니다.
0통상조건
다음의 통상조건 점검주기는 주행거리에 따른 주기를 기본으로 하였으나,
일부 부품은 주행거리와 함께 시간경과에 따라서도 점검 또는 교체해야 하
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거리/시간 병기 항목은 차량의 주행거리와 경과시간 중 먼저 도
래하는 시점에 해당 부품의 점검이나 교체을 해야 하므로 주의하십시오.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하이브리드 스타트 & 제너레이터(HSG) 구동 벨트
※ 제너레이터 : 발전기

Page 319 of 397

정기 점검
7-10
▶배출가스 제어관련 항목
●: 교환, ○ : 점검, 조정, 보충, 청소 또는 필요시 교환
✽1 검증되지 않은 연료(첨가제 등)은 주유하지 마십시오.✽2 밸브 이음 발생 또는 엔진 진동 발생시 조정하십시오.✽3 엔진부조나 과도한 재시동시 촉매장치등 배출가스 관련 부품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주행거리일일점검매10,000km매15,000km매20,000km매30,000km매40,000km매60,000km매80,000km
매100,000km매105,000km매120,000km매140,000km매160,000km점검항목
엔진 오일 및 오일필터○ 매 15,000km 또는 12개월 마다 교환
연료량 점검(연료 부족 경고등 점등시 즉시 주유)✽1○
연료필터○
연료라인 및 연결부 누유○
밸브 간극 점검, 조정✽2 매 90,000km 또는 72개월 마다 점검 및 조정
연료호스, 증발가스 호스, 연료주입구 캡○
연료 탱크 에어필터○
각 진공호스 매 15,000km 마다 점검
에어클리너 필터○●
점화플러그●
캐니스터○
엔진 부조시 점검✽3○
시동 불능시(재시동 3회 이내 제한)✽3○
하이브리드 스타트 & 제너레이터(HSG)구동벨트매 15,000km 또는 12개월 마다 점검
하이브리드 스타트 & 제너레이터(HSG)구동벨트매 105,000km 또는 48개월 마다 교체

Page 320 of 397

정기 점검
7-11
▶일반 점검 항목 ●: 교환, ○ : 점검, 조정, 보충, 청소 또는 필요시 교환
주행거리일일점검매10,000km매15,000km매20,000km매30,000km매40,000km매60,000km매80,000km매100,000km매105,000km매120,000km매140,000km매160,000km점검항목
냉각수량 점검 및 교환○최초 교환 : 20만km 또는 10년, 최초 교환 후 : 매4만km 또는 매2년 마다 교환
각종 오일 누유, 냉각장치의 누수 여부○
배터리 상태○
각종 전기장치 점검○
자동변속기 오일무점검, 무교환
브레이크 액○●
타이어 공기압, 마모상태○
타이어 위치 교환●
브레이크 호스 및 라인의 누유, 파손여부○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캘리퍼○
조향계통 각 연결부,기어박스,부트 손상여부○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휠 너트의 조임상태○
배기 파이프(머플러) 청소 및 조임 상태○
브레이크 페달 유격 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및 수정
현가 장치 점검(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Page:   < prev 1-10 ... 271-280 281-290 291-300 301-310 311-320 321-330 331-340 341-350 351-360 ... 400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