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Ioniq 2016 아이오닉 AE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201 of 383

5-4
시동 및 주행
주 의
다음과 같은 경우, 정상적인 차량주행이 어
려울 수 있습니다.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량보다 사용량이
많을 경우
•에어컨 및 전기장치의 사용이 많을 때, 경사
가 높고 긴 오르막을 EV 모드에서 저속
(15km/h 이하)으로 지속적인 운전을 할 경우
계기판의 SOC(구동용 배터리 충전계)가
매우 낮을 경우에는, 즉시 갓길 또는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여 「P」(주차)단으로 변속 후,
엔진 시동을 켜놓은 채 약 5분 정도 정차하
십시오. 고전압 배터리가 충전되어 정상주
행이 가능합니다.

Page 202 of 383

5-5
시동 및 주행
5
▶ACC
•이모빌라이저가 없는 사양
스티어링 휠이 잠기지 않고 엔진을 시동시키
지 않은 상태에서 일부 전기 장치를 작동할
수 있습니다.
•이모빌라이저 사양
엔진을 시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일부 전기
장치를 작동할 수 있습니다.
▶ON
엔진을 시동시키기 전에 경고등을 점검할 수
있고 엔진 시동 후에는 모든 전기장치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이 위치는 엔진 시동 후에 정상적인 엔진 작
동상태의 위치입니다.
엔진 시동 상태가 아니면, 방전이 될 수 있으므
로 시동 스위치를 「ON」 위치에 놓지 마십시오.
0시동 스위치 위치
▶LOCK
•이모빌라이저가 없는 사양
키를 뽑고 스티어링 휠을 좌우로 조금씩 움직
이면 스티어링 휠이 고정되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기는 위치입니다.
키는 「LOCK」 위치에서만 뺄 수 있습니다.
시동 스위치를 「LOCK」 위치로 돌리고자 할
때는 「ACC」 위치에서 키를 안쪽으로 누른 상
태에서 「LOCK」 위치로 돌리십시오.
•이모빌라이저 사양
키는 「LOCK」 위치에서만 뺄 수 있습니다.
0시동 스위치의 조명
운전석(또는 동승석) 도어를 열면 시동 스위치
주위의 램프가 조명되어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
서 시동 스위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조명은 도어를 닫은 후 일정시간(약 30초)이 지
나거나, 시동 스위치를 「ON」 위치로 돌리면 자
동으로 꺼집니다.
시동 스위치
OAD055082OAD055082OYF059016OYF059016
주 의
「LOCK」 에서 「ACC」 위치로 시동 스위치
가 돌려지지 않으면, 스티어링 휠을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조금씩 움직이면서 시동 스
위치를 돌리십시오.

Page 203 of 383

5-6
시동 및 주행
▶START
엔진을 시동시키고자 할 때 시동 스위치를
「START」 위치까지 돌리십시오.
시동이 되면 바로 키에서 손을 떼고 10초 이
상 「START」 위치에 잡고 있지 마십시오. 키
에서 손을 떼면 시동 스위치는 자동으로 「ON」
위치로 되돌아 갑니다.
•키에는 아래와 같은 열쇠고리를 사용하
지 마십시오. 운전시 무의식 중에 무릎
으로 열쇠고리를 밀면 열쇠고리 무게로
인해 키가 ACC 위치로 되어 엔진이 정
지될 위험이 있습니다.
1. 지갑형 열쇠고리
2. 열쇠고리에 다량의 열쇠 장착
3. 열쇠고리에 무거운 액세서리 부착 등
•운전중에는 열쇠고리가 무릎에 닿지 않
도록 올바른 자세로 좌석에 앉으십시오.
경 고
OAD055083OAD055083
주 의
•엔진 정지 중 시동 스위치를 장시간 「ACC」
나 「ON」의 위치로 하면 배터리가 방전
됩니다.
•엔진이 시동 된 상태에서 시동 스위치를
「START」로 하지 마십시오. HSG (Hybrid
Starter Generator)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알아두기
「」(주행 가능) 표시등은 차량 주행 가
능한 상태를 나타내며 시동 후 주행 준비가
완료되면 뜹니다.
- 켜짐 : 정상 주행 가능 상태
- 꺼짐 : 정상 주행 불가능 상태,
고장 발생시
- 깜빡임 : 표시등이 깜빡일 경우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가까운 직영 서비스센터
에 점검, 정비를 의뢰하
십시오.

Page 204 of 383

5-7
시동 및 주행
5
•주행 중에는 시동 스위치를 「LOCK」 또
는 「ACC」 위치로 돌리지 마십시오. 이
는 브레이크 기능과 방향 제어 능력이
저하되어 사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주행 중 스티어링 휠 사이로 시동 스위
치 또는 각종 스위치를 조작하지 마십시
오. 손이나 팔로 차량을 제어할 수 없게
되어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운전석 주변에 움직일 수 있는 것은 놓
지 마십시오. 운전을 방해할 뿐만 아니
라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경 고 0엔진 시동 방법
1. 엔진 시동전에 우선 안전벨트를 착용하십시오.
2.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히 작동시켜 놓으십시오.
3. 모든 전기 장치를 끄십시오.
4.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와 작동유
격을 오른발로 확인하십시오.
5. 브레이크 페달을 확실히 밟고 계십시오.
•운전석 주변에 페달 작동을 방해할수 있
는 물건(예:깡통, 병, 고정되지 않은 바닥
매트 등)이 있으면 제거하십시오. 정지 하
고자 할 때 브레이크 페달이 밟혀지지 않
는 등 사고가 날 수 있으므로 위험합니다.
•주행 중 급제동, 코너링 등의 상황에서
물건이 바닥으로 떨어지면 페달 작동에
방해가 되어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항
상 안전하게 보관하십시오.
•운전에 집중하지 않으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운전에 방해 될 수 있는 행
동 (오디오 작동 등) 시 조심 하시길 바
랍니다. 안전운전의 1차적인 책임은 고
객에게 있으며 휴대기기 사용은 법적으
로 금하고 있습니다.
경 고

Page 205 of 383

5-8
시동 및 주행
7. 시동 스위치를 「START」위치까지 돌리고
엔진 시동이 걸리면 (최대 10초까지) 키에
서 손을 떼십시오.
아주 추운 날씨(-18℃ 이하) 또는 며칠 동
안 차량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는 가속 페
달을 밟지 않은 상태로 엔진이 따뜻하게
될 때까지 기다리십시오.
엔진이 차가운 상태이거나 뜨거운 상태라
도 가속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시동
을 거십시오.
8. 출발할 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 밟은
상태에서 「」 (주행 가능) 표시등 상태
확인 후 변속레버를 원하는 위치로 놓으십
시오.
9.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시킨 다음,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어 차량이 서서히 움직이
는 것을 확인하신 후에 가속 페달을 밟아
천천히 출발하십시오.
10. 엔진의 온도를 올리기 위해 정차 상태에
서 공회전을 하지 마십시오. 엔진이 적정
한 온도가 될때까지는 적당한 속도로 주
행하십시오. (급가속 또는 급감속을 하지
마십시오.)
6. 변속레버를 「P」(주차) 위치에 놓은 후 브
레이크 페달을 밟고 계십시오.
변속레버 잠금 장치(Shift Lock)가 장착된
차량은 시동 스위치 「ON」 상태에서 브레이
크 페달을 밟아야만 변속레버가 「P」(주차)에
서 「R」(후진) 위치로 움직여 집니다.
주 의
「」(주행 가능) 표시등이 켜지지 않은 상
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반복해서 밟을 경
우 12V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습니다.

Page 206 of 383

5-9
시동 및 주행
5
주 의
•시동 스위치를 10초 이상 「START」에 위
치시키지 마십시오. 엔진이 꺼지거나 한
번에 시동되지 않을 때는 「LOCK」 위치
에서 10초간 기다린 후 재시도 하십시오.
• 엔진이 시동되어 있을 때는 시동 스위치
를 「START」로 하지 마십시오. 스타터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고속 공회전을 삼가십시오.
10분이상 고속 공회전시 배기장치에 손
상을 줄 수 있습니다.
• 차량 주행 중에 시동이 꺼지더라도 변속
레버를 「P」(주차)로 위치시키지 마십시
오. 「P」(주차) 위치에 놓으면 변속기가
고장날 수 있으며, 제동거리가 더 길어
질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를 밟을 때는
평소보다 힘껏 밟으십시오.
만약 교통이나 도로 조건이 허용된다면,
차량이 완전히 멈추기 전에 변속레버를
「N」(중립)위치에 두고 시동 스위치를
「START」 위치까지 돌려서 재시동을 시
도할 수 있습니다.
•주위가 밀폐되어 환기가 잘 되지 않는
공간에서 장시간 엔진 시동을 걸어 두
지 마십시오. 배기가스에 의해 중독될
위험이 있습니다.
•절대 가속 페달을 밟으면서 시동을 걸
지 마십시오. 차가 갑자기 움직이게 되
어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경 고엔진 시동시 유의 사항
•엔진이 정상 작동 온도에 이를 때까지 엔진
소음이 날 수 있으며 브레이크의 제동거리가
다소 길어 질 수 있습니다.
•기온이 낮을 경우 「」(주행 가능) 표시등이
정상조건보다 켜지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
니다.
•「」(주행 가능) 표시등이 깜빡일 경우 이상
이 발생한 것으로 이때는 가까운 자사 직영 서
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알아두기
가상엔진 사운드 시스템(VESS) 이란?
보행자에게 차량접근을 인식시켜 주기 위
한 장치로 저속으로 모터 주행시 엔진 작동
음이 나지 않는 경우에 가상의 엔진 작동음
을 발생시킵니다.

Page 207 of 383

5-10
시동 및 주행
0엔진 정지 방법
1.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
고 계십시오.
2.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
P」(주차) 위치로 하십시오.
3.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
크를 작동시켜 놓으십시오.
4. 시동 스위치를 「LOCK」 위치까지 돌려 키를
빼십시오.
엔진 정지시 유의 사항
•엔진 정지 직전에 고속 공회전을 삼가십시오.
•경사가 있는 곳에 주차 시킬 때는 변속레버를
「P」(주차) 위치로 놓고 타이어에 고임목을 설
치 하십시오.
•주, 정차시 변속레버가 「P」(주차) 위치에 확
실하게 변속되어 있지 않으면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 의해 차량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주의
하십시오.
급경사로에는 차량을 주차시키지 마십시오.
차량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208 of 383

5-11
시동 및 주행
5 0시동 버튼 조명
운전석(또는 동승석) 도어를 열면 시동 버튼이
켜져 야간에나 어두운 곳에서 시동 버튼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조명은 도어를 닫은 후 일정시간(약 30초)이 지
나거나, 모든 도어를 닫고 잠가 경계 상태에 들어
가면 꺼집니다.
시동 버튼
OAE056001OAE056001
0시동 버튼
▶OFF(전원 꺼짐)
엔진 시동(START) 또는 차량 전원(ON) 상태
를 완전히 끄기 위해서는 차량을 멈춘 후 반
드시 변속레버를 「P」(주차) 위치에 두고 시동 버
튼을 누르십시오. 이때, 변속레버를 「P」(주차) 위
치에 두지 않고 시동 버튼을 누르면 시동 버튼
은 「ACC」 상태가 되며 다시 누르면 「ON」 상태
로 반복되어 시동 버튼 「OFF」 상태로 전환되지
않습니다.
OAE056115OAE056115
주 의
엔진 시동(START) 또는 차량 전원(ON)을
완전히 끄기 위해서는 차량 정지상태에서
만 가능합니다. 단, 비상시 주행 중에 시동
을 끌 필요가 있을 때에는 시동 버튼을 2초
이상 길게 누르거나 버튼을 3초 이내에 3회
누르면 시동이 꺼지면서 「ACC」 상태로 전
환됩니다. 이때, 차량이 멈추지 않고 주행
상태라면 변속레버 「N」(중립) 위치에서 브
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 시동 버튼만 눌러
시동을 다시 걸 수 있습니다.

Page 209 of 383

5-12
시동 및 주행
▶ACC(액세서리 전원)
시동 버튼 「OFF」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 시동 버튼을 누르십시오.
일부 전기 장치를 작동할 수 있습니다. 만일
시동 버튼 「ACC」 상태에서 1시간 이상 유지
시는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으
로 시동 버튼 「OFF」 상태로 전환됩니다.
▶ON(차량 전원)
시동 버튼 「ACC」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 시동 버튼을 누르십시오.
엔진 시동 전에 경고등을 점검할 수 있습니
다. 거의 모든 전기 장치를 작동할 수 있으나
엔진 시동 상태가 아니므로 장시간 사용하면
방전될 수 있습니다.
OAE056116OAE056116
(주황색 켜짐)(주황색 켜짐)
OAE056117OAE056117
(파란색 켜짐)(파란색 켜짐)
▶START/RUN(엔진 시동)
시동 버튼 「OFF」, 「ACC」 또는 「ON」 상태에
서 변속레버를 「P」(주차) 위치에 두고 브레이
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시동 버튼을 누르면
바로 시동이 걸립니다.
OAE056115OAE056115
(소등)(소등)

Page 210 of 383

5-13
시동 및 주행
5
주 의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시
동 버튼을 누르면 시동 버튼은 「OFF」 ➡
「ACC」 ➡ 「ON」 ➡ 「OFF」 상태로 반복적
으로 전환될 뿐 시동은 걸리지 않습니다.
•엔진 정지 상태로 시동 버튼을 장시간
「ACC」나 「ON」 상태로 두면 배터리가
방전됩니다.
•주행 중에는 시동 버튼을 누르지 마십시
오. 시동이 꺼질수 있어 브레이크 기능
과 방향 제어 능력이 상실되어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주행 중 스티어링 휠 사이로 시동 버튼
또는 각종 스위치를 조작하지 마십시오.
손이나 팔로 차량을 제어할 수 없게 되
어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운전석 주변에 움직일 수 있는 것은 놓
지 마십시오. 운전을 방해할 뿐만 아니
라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경 고알아두기
「」(주행 가능) 표시등은 차량 주행 가
능한 상태를 나타내며 시동 후 주행 준비가
완료되면 뜹니다.
- 켜짐 : 정상 주행 가능 상태
- 꺼짐 : 정상 주행 불가능 상태,
고장 발생시
- 깜빡임 : 표시등이 깜빡일 경우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가까운 직영 서비스센터
에 점검, 정비를 의뢰하
십시오.

Page:   < prev 1-10 ... 161-170 171-180 181-190 191-200 201-210 211-220 221-230 231-240 241-250 ... 390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