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Ioniq 2016 아이오닉 AE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221 of 383
5-24
시동 및 주행
●수동 모드(+, ─ )
•+ (UP)
수동변속기처럼 레버를 「+」 방향으로 한번 밀
어줄때 마다 1속씩 상승하여 6속까지 변속할
수 있습니다. 가속 페달을 밟으면서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 ─ (DOWN)
브레이크를 밟으면 속도에 따라 6속~1속까
지 자동적으로 변속합니다.
또한 레버를 「-」 방향으로 한번 밀어줄 때마다
1속씩 내려갑니다.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브레이
크를 밟으면서 레버를 「-」 방향으로 밀어 1속
씩 내리십시오.
자동 모드자동 모드
-(DOWN)-(DOWN)수동 모드수동 모드
+(UP)+(UP)
OAE056012OAE056012
주행 중 잠시 멈출 경우, 브레이크 페달을 확
실히 밟지 않으면 차량이 움직일 수 있으니
주의 하십시오.
•수동 모드는 1속에서 6속의 전진 변속만
가능하며, 후진 및 주차 시에는 「R」(후진),
「P」(주차)를 선택하십시오.
•변속레버를 「-」(DOWN)측으로 빠르게 2회
조작하면 차속에 따라 3속에서 1속, 4속에
서 2속으로 변속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수동 모드에서 주행 중 차속이 내려가면
자동으로 저단 변속되어 정지시에는 1속
으로 변속됩니다.
•주행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속에 따라
「+」(UP)측으로 조작하여도 변속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엔진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속에 따라 「-」
(DOWN)측으로 조작하여도 변속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 의
•수동 모드(+, -)에서는 수동변속기처럼
적정한 속도나 엔진회전수(rpm)에 따라
서 변속이 되므로, 계기판의 엔진 회전
계를 보며 레버를 이용하여 변속시키십
시오. 그렇지 않으면 더블 클러치 변속
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B타입 계
기판 사양 적용시)
•수동 모드에서 고단으로의 변속은 그때
의 도로조건에 맞추어 엔진회전수가 회
전계의 적색범위에 들어가지 않도록 적
정 시기에 변속을 하십시오.
•급격한 엔진 브레이크 및 급가속은 고장
의 원인이 됩니다. 도로상태 및 주행속
도에 따라 적절한 변속을 하십시오.
Page 222 of 383
5-25
시동 및 주행
5
▶변속레버 잠금 장치(Shift Lock)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레버를 「P」(주차)
위치에서 「R」(후진) 위치로 변속하고자 할
때, 운전자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
레이크 페달을 밟아야만 변속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장치입니다.
「P」(주차) 위치에서 「R」(후진) 위치로 변속하
고자 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1.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계십시오.
2. 시동을 「ON」 상태로 하십시오.
3. 변속레버 버튼을 누르고 변속레버를 다른
위치로 변속하십시오.
•변속레버가 「P」(주차) 위치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반복적으로 밟고 해제하면 변속레
버를 잠그고 해제하는 정상적인 작동음이
들릴 수 있습니다.
• 「N」(중립) 위치에서 「D」(주행) 위치로 변
속 시는 변속레버 잠금 장치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P」(주차) 위치에서 시동
을 거십시오.
•변속레버 잠금 장치(Shift Lock)는 브레이
크 페달을 밟고, 변속레버를 움직여야 잠
금장치가 해제되므로 해제 순서를 반드시
준수 하십시오.
●변속레버가 움직이지 않을 경우
배터리가 방전되었거나 또는 시동 「ON」 상태
가 아니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변속레버
가 「P」(주차)위치에서 「R」(후진) 위치로 조작
되지 않습니다. 이 때는 변속레버 앞쪽에 위
치한 「SHIFT LOCK RELEASE」 버튼(1)을
손가락 또는 키 등의 긴 도구를 사용하여 깊
게 누르면서 변속레버 버튼을 눌러 변속레버
를 움직이면 다른 위치로 조작이 가능합니다.
OAE056011OAE056011
▶SPORT(스포츠) 모드 / ECO(에코) 모드
변속레버를 「S」(SPORT)단에 놓고 운전하면
드라이브 모드가 SPORT 모드로 자동 전환
되며, 변속 레버를 「D」(주행)단에 놓고 운전
하면 ECO 모드로 전환합니다. 모드가 전환
될 때 계기판에 표시됩니다.
●ECO 모드
연비를 향상시키는 모드입니다.
연비개선효과는 개개인의 운전 습관
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SPORT 모드
스포티한 주행을 제공하는 모드입니다.
SPORT 모드에서는 연비가 안 좋아
질 수 있습니다.
(녹색 표시등) (녹색 표시등)
(황색 표시등) (황색 표시등)
Page 223 of 383
5-26
시동 및 주행
0올바른 운전 요령
•엔진 시동은 반드시 변속레버를 「P」(주차) 위
치에 놓은 후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놓고
오른발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시동을 거십
시오.
•변속레버를 움직일 때는 반드시 브레이크 페
달을 밟고, 계기판에 나타나는 각 위치의 표
시등을 확인하면서 원하는 위치로 조작하고
레버를 고정시킨 다음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
을 서서히 떼십시오.
•더블 클러치 변속기 차량은 「R」, 「D」, 「+」, 「-」
의 어느 위치에서나 공회전 상태에서 가속 페
달을 밟지 않아도 차가 움직이려는 경향이 있
으므로 정차 중에는 반드시 브레이크를 밟고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히 작동시키십시오.
•언덕길에서 정차할 때는 가속 페달을 이용하
여 차를 정지시키려 하지 말고 브레이크 페달
을 밟으십시오.
•오르막길에서 서 있을 때는 엔진의 힘을 이용
하여 정차하지 말고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
키거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십시오.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R」(후진) 또
는 어떠한 전진 변속 위치에서도 가속 페달을
밟지 마십시오.
•주·정차 중에 엔진을 지나치게 고속 회전시키
지 마십시오.
•가속 페달을 밟은 채로 「P」(주차) 또는 「N」
(중립)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변속하지 마
십시오. 차가 갑자기 움직여 예기치 않은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주행 중에는 변속레버를 「N」(중립) 위치
로 변속하지 마십시오. 엔진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아 위험하게 됩니다.
•주·정차시 변속레버가 「P」(주차) 위치에
확실하게 변속되어 있지 않으면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 의해 차량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잠시라도 차에서 떠
나 있을 때에는 안전을 위하여 항상 「P」
(주차)에 위치시키고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다음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십
시오.
•언덕길에서 후진 시, 반드시 변속레버를
「R」(후진) 위치에 놓으십시오. 그렇지
않을 경우 시동이 꺼질 수 있어 매우 위
험합니다.
경 고 시동이 「ON」 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수동해제
를 사용한 경우, 재 시동 후에는 변속레버 잠
금장치가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됩니다. 단,
다음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면 즉시 가까운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을 받으십시오.
• 변속레버 잠금장치(Shift Lock) 기능이 작
동하지 않을 때
•시동이 「ON」인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
을 밟았는데도 변속레버가 「P」(주차)위치
에서 「R」(후진) 위치로 움직이지 않을 때
Page 224 of 383
5-27
시동 및 주행
5
▶정지했다가 언덕길로 주행하고자 할 때
정지했다가 언덕길로 올라가려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적재량과 언덕길의 경사도에 따
라 변속레버를 「D」(주행) 또는 수동 모드의
「1단」 위치에 놓으시고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
하십시오.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뗀 후 가속 페달을
서서히 밟으십시오.
•급한 오르막 길에서 정차 후, 출발시 차량
이 뒤로 밀릴 수 있습니다.
▶통상 주행시 급가속을 원하는 경우
「D」(주행) 위치에서는 다른 차량의 추월이 가
능합니다. 가속 페달을 끝까지 밟으면 변속기
는 저단 변속하여 급가속하게 됩니다. 다른
차량을 추월할 때는 추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 차와의 차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십시오.
▶출발하는 경우
1.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채로 변속레버를 조
작하십시오.
2.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어 차량이 서서
히 움직이는 것을 확인하신 후에 가속 페
달을 천천히 밟고 출발하십시오.
「N」(중립) 또는 「P」(주차)에서 다른 위치로
변속할 때는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변속 하십시오.
가속 페달을 밟은 채로 변속하면 차량이 갑
자기 움직여 예기치 않은 사고가 발생할 위
험이 있습니다.
경 고
Page 225 of 383
5-28
시동 및 주행
0브레이크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는 여러 번에 걸쳐
밟으십시오.
브레이크 성능을 좋게 하는 것은 물론 뒤따르
는 차에 제동상황을 미리 알려 주어 추돌사고
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를 장시간 밟으면 브
레이크 성능이 저하되므로 반드시 엔진 브레
이크와 함께 사용하십시오.
•브레이크가 걸리지 않는 차나 ABS를 장착한
차는 브레이크 페달을 펌프질하듯이 밟지 마
십시오.
•본 차량은 전동식 유압펌프로 작동하는 브레
이크 부스터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고장 또는 전원 불안정 등의 이유로 브레이크
부스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페
달이 딱딱하게 느껴지며 제동거리가 길어 질
수 있습니다.
이경우에는 보통 때 보다 더 큰 힘으로 브레
이크 페달을 밟아 차량을 안전한 곳에 정차한
뒤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제동 장치
• 가파르거나 긴 언덕길을 내려올 때 계속
적인 브레이크 사용은 브레이크 과열
및 브레이크 장치의 일시적인 고장을 야
기할 수 있으므로 저단기어(엔진 브레
이크)를 사용하십시오.
•브레이크 장치가 젖을 정도로 깊은 물
이 있는 곳을 주행하는 것은 정상적인
브레이크 작동을 방해합니다. 브레이크
장치가 젖어 제동효과가 떨어졌을 때는
브레이크를 건조시키기 위해 안전거리
를 유지한 상태에서 정상적인 브레이크
작동시까지 수 회 가볍게 브레이크를 밟
으십시오. 물이 고인 곳을 주행했을 때
나 세차 후에는 브레이크 성능을 점검하
십시오.
•페달을 잘못 밟을 수 있으므로 브레이
크 페달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가 분명치
않으면 운전하지 마십시오. 브레이크 페
달 대신 가속 페달을 밟으면 사고가 일
어나 심각한 부상을 입거나 또는 사망
할 수 있습니다.
경 고 •아래와 같은 경우 브레이크 전동 유압 펌프가
작동하는 소리 또는 모터 작동음이 일시적으
로 들릴 수 있으나 고장이 아닙니다.
- 브레이크를 반복하여 밟는 경우
-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
았다 놓을 경우
- 운전석 도어를 열 경우
•아래와 같은 경우 브레이크 페달이 비정상적
으로 느껴질 수 있으나 고장이 아닙니다.
- 페달을 빠르게 밟는 경우
- 페달을 연속적으로 여러 차례 밟는 경우
- 제동 중 ABS가 작동할 경우
Page 226 of 383
5-29
시동 및 주행
5
▶디스크 브레이크 마모 표시
• 이 차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
습니다.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되어 새 패드로 교
체할 시기가 되면 앞 또는 뒤 브레이크에
서 '끽' 하는 소리가 납니다. 브레이크 페달
을 밟을 때 이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
는 블루핸즈에서 브레이크 점검을 받고
패드를 교체하십시오.
특정한 주행 조건이나 날씨 상태에 따라
브레이크를 처음 밟거나 살짝 밟을 때 '끽'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이는 정상적인 현
상으로 브레이크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
니다.
• 브레이크 장치를 수리하는 비용을 절감하
려고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된 상태에서
계속 주행하지 마십시오.
•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할 때는 왼쪽, 오른
쪽 세트로 교체하십시오.
브레이크에서 고주파 경고음(‘끽’하는 소
리)이 나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
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그렇지 않을 경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
아 심각한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경 고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에서는 타이어가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급격한 엔진 브레
이크는 피해 주십시오.
차량 조향력을 잃게 되어 위험할 수 있
습니다.
•「」 (주행가능) 표시등이 꺼진 상태에
서의 제동은 브레이크 성능이 저하되어
제동거리가 길어 지게 되므로 주행 중 엔
진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또한, 「」
(주행가능) 표시등이 꺼진 상태에서 브레
이크 페달을 밟을 경우에는 차량 배터리
가 방전 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페달 밑으로 깡통, 종이 등 이
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브레이크 페달 작동을 방해하여 위험합
니다.
•브레이크 페달 위에 발을 올려 놓고 주행
하지 마십시오. 비정상적인 브레이크 온
도 상승을 유발, 브레이크 패드의 과도한
마모, 제동거리의 증가를 가져옵니다.
경 고
Page 227 of 383
5-30
시동 및 주행
0바른 제동요령
•브레이크를 2~3회에 걸쳐서 밟으면 브레이
크 성능을 좋게 하는 것은 물론 뒤따르는 차
에 제동 상황을 미리 알려주어 추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차가 멈추는데 필요한 만큼의 힘으로 브레이
크 페달를 밟으십시오.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를 계속 밟으면 브레이
크가 과열되어 일시적으로 고장이 날 수 있으
니 저단 기어를 사용하거나 속도를 서서히 줄
이면서 차례대로 저단으로 변속하는 엔진 브
레이크를 함께 사용하여 속도를 줄이십시오.
•빙판길 또는 눈길과 같이 미끄러지기 쉬
운 노면 상태에서는 차량이 회전할 수 있
으므로 사용시 주의하십시오.
• 주차 브레이크를 완전히 작동시켜 놓은
다음 변속레버를 「P」(주차) 위치에 놓으십
시오.
0주차 브레이크
▶작동
•차를 정지시키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 페달을 끝까지
밟아 놓으십시오.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위급상황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제동거리는 정상적인 제동거리보
다 더욱 길어집니다.
OAE056014OAE056014
• 본 차량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 또는
유아나 어린이가 주차 브레이크를 손대
지 못하도록 하십시오.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시킬 경우에는 주, 정차 상태에 따
라 사고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 긴급상황을 제외하고 주행 중에는 절대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지 마십시오. 차량
시스템에 손상을 줄 뿐만 아니라, 주행 안
전성이 불안해 질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228 of 383
5-31
시동 및 주행
5
OAE056013OAE056013
▶작동 해제
•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려면 주차 브레이
크 페달을 한번 더 끝까지 밟은 다음 발을
떼어내십시오.
•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면 변속기의 위치
에 따라 차량이 움직일 수도 있으므로 반
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주
차 브레이크를 해제하십시오.
•출발하기 전에 주차 브레이크를 완전히
해제하고 계기판에서 브레이크 경고등이
꺼졌는지 확인하십시오.
• 주차 브레이크를 완전히 해제하였는데
도 브레이크 경고등이 켜져 있으면 브레
이크 장치에 고장이 발생한 것이므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 시킨 상태에서 운
전하면 브레이크 과열, 브레이크 패드
(또는 라이닝(사양 적용시))의 과도한
마모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경 고 0ABS(Anti-Lock Brake System)
ABS 장치는 차를 급제동하거나 미끄러운 도로
에서 제동할 때, 구르던 바퀴가 잠기면서 노면 위
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차의 진행 방
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의 성능을 유지시켜
주는 장치입니다.
일반적인 주행조건에서 ABS의 제동력은 보통의
브레이크 장치와 같습니다.
ABS가 장착된 차로 운전할 때는 도로조건이나
교통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운전하십시오.
•급제동할 때는 차가 완전히 멈출 때까지 브레
이크 페달을 힘껏 밟으십시오. 이때 절대로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거나 브레이크 페
달을 펌프질하듯이 밟지 마십시오.
•ABS를 장착한 차는 급제동할 때에도 스티어
링휠로 차의 진행 방향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ABS가 작동할 때 브레이크 페달을 통해 전
달되는 다소의 진동과 소음은 정상적인 현상
입니다.
•ABS가 장착된 차는 젖은 도로나 빙판길 또
는 다져진 눈길에서 일반 브레이크를 장착한
차보다 더 빨리 멈출 수 있습니다. 그렇다 해
도 고속으로 주행하지 마십시오.
•ABS가 장착된 차라도, 충분한 제동 거리가
필요합니다. 항상 앞차와 안전거리를 유지하
십시오.
Page 229 of 383
5-32
시동 및 주행
•ABS가 장착된 차량도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
을 방지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자갈길이나 비포장도로 또는 눈이 막 쌓
인 길에서는 일반 브레이크를 장착한 차보다
제동 거리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선회할 때는 항상 감속하여 주행하십시오.
ABS가 장착된 차도 과속으로 인한 사고는
방지할 수 없습니다.
•빙판길과 같은 미끄러운 도로를 주행할 때 브
레이크를 계속 밟고 있으면 ABS가 계속 작동
하여 ABS 경고등이 켜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차를 안전한 곳에 세운 후에
엔진을 껐다가 다시 시동을 걸어 ABS 경고등
이 꺼지는지 점검하십시오.
•운전 중에 ABS 경고등이 계속 켜져 있으면
ABS 장치에 이상이 생긴 것이므로 가능한
한 빨리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나 블루핸즈에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이런 경우라도 일반적인 브레이크 기능은 작
동합니다.
•ABS 경고등은 시동 「ON」 또는 시동 상태에
서 3초 동안 켜집니다.
이 시간은 자가 진단 시간인데 ABS가 정상이
면 경고등이 꺼집니다. 만약 계속 켜져 있으
면 ABS 장치에 이상이 생긴 것입니다.
가능한 한 빨리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엔진에 시동을 건 후 출발할 때 저속에서
ABS 자체 진단음이 미약하게 들릴 수 있습
니다.
이것은 ABS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상이 아닙니다.
•배터리가 방전되어 엔진을 점프 스타트할 때
는 엔진 회전이 불안정하고 동시에 ABS 경고
등이 켜지며 깜빡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배터
리의 전압이 부족해서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배터리의 전압이 회복된 후 주행 하십시오.
•타이어 주위를 청소할 때는 각 휠에 장착되어
있는 차속 감지 장치 및 배선 등에 손상을 입
히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ABS는 고속도로나 상태가 좋은 도로에서 브
레이크 효과를 최대로 발휘하도록 설계되었
습니다. 상태가 좋지 않은 포장도로에서 ABS
는 브레이크 효과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항
상 기후나 도로 상태를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속도로 안전하게 주행하십시오.
•ABS가 장착된 차량이 요철을 통과할 때 브
레이크를 작동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브레이
크가 서서히 내려가는 스폰지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것은 ABS 작동에 의한 정상
적인 현상으로 제동은 정상 작동됩니다.
요철을 통과 시에는 속도를 낮추어 안전 운전
하십시오.
ABS 경고등과 브레이크 경고등이 동시에
켜진 경우, 제동력의 전·후륜 배분기능도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급제동시 차량이 불
안정하게 될 수 있습니다.
경고등이 켜지면 고속주행이나 급제동을
피하고 곧바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
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비를 의뢰하
십시오.
•안전한 운전을 위해서 ABS 장치에 너
무 의존하지 마십시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주행에 대해서 ABS장치는 안전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 운전미숙, 잘못된 판단 또는 과속이
나 안전거리 미확보 등과 같은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는 무모한 주행 등
- 빗길과 같은 수막으로 인한 타이어
마찰력이 현저히 감소되는 상황에서
의 고속주행 등
경 고
Page 230 of 383
5-33
시동 및 주행
5
0차체 자세 제어 장치(ESC)
차체 자세 제어 장치(ESC)는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에서 구동되는 바퀴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
여 발진하기 쉽게 하고 선회 가속할 때 적절한 구
동력, 조종력을 확보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차속
및 조향각 센서등 각종 센서들로부터 운전자의
조종 의도를 판단하고 4개의 바퀴에 개별적인 제
동력을 적절히 배분하여 제동시 및 가속시, 또한
커브를 돌 때 차량의 앞,뒤,좌,우 모든 방향에 대
한 차체의 자세를 제어하여 보다 안정된 조종력
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 ESC는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의 약자
입니다.
▶ESC 작동
●작동 가능 상태
• 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키면 자동
으로 ESC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 엔진 시동 후 ESC 작동 정지 버
튼「」을 눌러 ESC 작동을 정
지시킨 상태(표시등 켜짐)에
서는 한번 더 ESC 작동 정지 버
튼()을 눌러 계기판에 ESC
작동 정지 표시등()이 꺼지
면 차체 자세 제어 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됩니다.
• 엔진 시동 후 출발 시 저속에서
미약한 ESC 자체 진단음이 들
릴 수 있습니다. 이것은 ESC가
정상 작동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상이 아닙니다.
-
OAE056015OAE056015
OAE056016OAE056016
00A타입A타입
00B타입B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