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Ioniq 2016 아이오닉 AE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311 of 383

7-21
정기 점검
7
주 의
•브레이크 액을 보충한 후 브레이크 액이
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뚜껑을 정확히 닫
으십시오. 브레이크 액이 밖으로 흘러나
오면 즉시 닦아내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플라스틱 부품의 손상을 가져옵니다.
•페인트가 손상되므로 브레이크 액이 차
량의 도장부분에 묻지 않도록 하십시오.
•브레이크 액은 서늘하고 그늘진 곳에 보
관해야 하며 공기중에 오랜 시간 노출되
었던 브레이크 액은 품질을 보증할 수 없
으므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다른 종류의 액을 넣지 마십시오.
예를 들어 미네랄 성분의 오일 몇 방울,
엔진오일 등과 같은 것들이 브레이크 시
스템이 들어가면, 브레이크 장치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액 탱크의 액량이 「MAX」 보다
초과되었다면 운전도중 브레이크 액이
흘러 넘쳐서 주변 부품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액 보충시 브레이
크 액량이「MAX」를 초과하지 않게 주의
하십시오.
OAE076009OAE076009
0와셔액 점검 및 보충
와셔액의 양을 점검하여 부족시 보충하십시오.
날씨가 따뜻할 때는 와셔액으로 일반 수돗물이
나 시중에서 판매하는 와셔액을 사용해도 되나,
날씨가 추운 계절에는 외부온도에 따라 빙결되
어 탱크 및 모터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반
드시 겨울용 와셔액을 사용하십시오.
와셔액 점검
주 의
와셔액이 없을 때 와셔모터를 작동하면 모
터가 손상됩니다.
더블 클러치 변속기 오일 점검 및 교체를 할때는
정기 점검 주기에 따라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
시오.
더블 클러치 변속기 오일 점검

Page 312 of 383

7-22
정기 점검
OAE056014OAE056014
0 하이브리드 스타트 & 제너레이터(HSG)
구동 벨트
정기점검 주기표의 점검 및 교체 시기에 따라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벨트 점검
•엔진 냉각수 또는 부동액을 와셔액으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엔진 냉각수가 유리
에 뿌려지면 시야를 가려 위험하고 차체
와 도장에 손상을 줍니다.
•와셔액에는 알코올 성분이 함유되어 있
어 인화성이 강하므로 화염 또는 불꽃을
멀리하십시오.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와셔액에는 유독성이 있으므로 마
시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오.
경 고
주 의
하이브리드 스타트 & 제너레이터(HSG) 벨
트가 낡았거나 손상되었으면 벨트를 반드시
교체하십시오.
그대로 주행하면 오버히트나 배터리 방전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엔진 또는 하이브리드 스타트 & 제너레이
터(HSG)벨트 점검시 시동을 「OFF」 로 하
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HSG 벨트에 의한
엔진 작동으로 심각한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스타트 & 제너레이터(HSG)
엔진 구동벨트로부터 옷자락, 머리카락,
넥타이 등을 멀리하십시오. 위험합니다.
경 고
주차 브레이크 점검
0주차 브레이크 작동 상태 점검
정기 점검 주기에 따라 반드시 안전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 점검을 실시하십시오.

Page 313 of 383

7-23
정기 점검
7
주 의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에서 주행하
면 브레이크 패드의 과다한 마모의 원인이
됩니다.
▶풋 주차 브레이크
• 전·후방에 차량이 없는 상태에서 주차 브
레이크를 밟아 가파른 언덕길에서 제동이
되는지 점검하십시오.
• 평탄하고 안전한 장소에 주차시킨 후, 주
차 브레이크가 완전히 해제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20kg의 힘으로 밟았을
때 4~5회 “딸깍” 하는지 확인하십시오.
주차 브레이크 점검값이 정상범위에서 벗
어나거나 언덕길에서 제동이 되지 않을
때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
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OAE076010OAE076010
0필터의 점검
에어클리너 필터의 상태 불량은 엔진수명의 단
축, 매연의 과다발생, 엔진 출력의 저하 등에 직
접적인 영향을 주는 부품입니다.
정기 점검 주기에 따라 점검, 교체하십시오.
에어클리너 필터를 교체 할 경우에는 세척등을 하
여 재사용하지 마십시오.
특히, 비포장 도로나 먼지가 많은 도로에서 주행
하면 먼지가 더욱 많이 흡입되므로 철저하게 관
리하시고, 통상 조건보다 더 자주 필터를 교체하
십시오.
(「정기 점검 주기표-가혹 조건」 참고)
에어클리너 점검

Page 314 of 383

7-24
정기 점검
0필터의 교체
1. 에어클리너 커버의 클립을 푸십시오
2. 에어클리너 커버를 분리하십시오.
OAE076011OAE076011
3. 에어클리너 필터를 교체하십시오.
4. 분리의 역순으로 장착하십시오.
OAE076012OAE076012
주 의
•에어클리너 필터를 분리한 상태로 주행
하지 마십시오. 이는 과도한 엔진 마모
를 초래합니다.
•에어클리너 필터는 순정부품을 사용하
십시오. 비순정부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엔진 내부 및 센서에 손상을 줄 수 있습
니다.
•미량일지라도 먼지가 계속 엔진에 흡입
될 경우, 먼지가 연마제 역할을 하여 엔
진 수명이 단축됩니다.
•에어클리너 필터의 점검은 수시로 하시
고 상태에 따라 교체하십시오.
• 필터의 손상여부, 고무패킹의 손상여부
를 수시로 확인하십시오.
• 에어클리너 필터 분리시 에어플로우 센
서에 충격을 가하거나 공기 흡입구에 먼
지나 오염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오.
•커버는 확실히 체결하여 먼지가 흡입되
지 않도록 하십시오.

Page 315 of 383

7-25
정기 점검
7
0필터의 점검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는 매 15,000km 마다 정기
적으로 교체하고 대기오염이 심한 도시지역이나
먼지가 많은 비포장도로 등을 장기간 운전하는
경우에는 수시로 점검하여 조기에 교체하십시오.
직접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
로 교체하고 이때 다른 부품에 손상이 가지 않도
록 주의하십시오.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 점검
0필터의 교체
1. 글로브 박스 오른쪽에 있는 고정 실린더(1)를
분리하십시오.
OAE076013OAE076013OAE076014OAE076014
2. 글로브 박스의 양옆에 있는 스토퍼를 분리하
십시오.

Page 316 of 383

7-26
정기 점검
3.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 커버의 양쪽을 누른(1)
상태에서 잡아 당겨(2) 커버를 분리하십시오.
OAE076015OAE076015
4.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를 교체하십시오.
5. 분리의 역순으로 장착하십시오.
주 의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 교체 시 필터의 방향
(

Page 317 of 383

7-27
정기 점검
7
0블레이드의 점검
이물질에 의한 앞 유리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오염은 앞 유리 와이퍼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마찰음이 생길 수 도 있습니다. 오염의 공통적인
원인으로는 벌레, 수액, 일부 상업용 자동 세차기
에 의한 왁스 코팅 칠 등입니다.
만약 와이퍼 블레이드로 앞 유리가 잘 닦이지 않
으면, 앞 유리와 블레이드 고무 표면을 깨끗한 물
과 깨끗한 수건 등을 이용하여 잘 닦아 내십시오.
와이퍼로 앞 유리를 더욱 더 깨끗하게 닦기 위해
서는 앞 유리에 묻어 있는 발수 코팅제, 왁스, 유
분 (먼지털이개로 앞 유리를 닦는 경우 포함) 등
을 주기적으로 상품화 된 유막 제거제를 별도로
준비하여 닦아내면 더욱 더 효과적입니다.
와이퍼 블레이드 점검
1JBA51221JBA5122
와이퍼 블레이드를 더욱 오래 사용하기 위해서
는 먼지가 많은 지역 또는 비포장 지역을 운행 했
거나, 장기간 운행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반드시
깨끗한 물로 앞 유리와 와이퍼 블레이드를 닦으
십시오. 또한 와이퍼를 장기간 미 작동 시 와이퍼
블레이드의 변형으로 인해 심한 떨림 및 소음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 (2회/주)으로 와이퍼
를 작동시키십시오.
앞 유리와 블레이드의 오염물질을 제거 한 후에
도 다음과 같은 현상이 발생되면 안전운행을 위
하여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
즈에서 전문 상담을 하십시오.
•선이 남거나 깨끗하지 않을 때
•소음이 발생하거나 떨릴 때
•잔물이 스며들 때
•장기간 사용하지 않았을 때
•블레이드가 변형되어 부분적으로 유리면과
접촉하지 않을 때
•와이퍼 암 장력이 약할 때
주 의
•앞 유리 세척 시 비눗물 및 합성세제를
이용하면 와이퍼 블레이드가 경화되거
나, 와이퍼 작동 시 마찰이 심해 와이퍼
의 떨림 및 소음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겨울철 앞 유리와 블레이드가 빙결 된
상태로 와이퍼를 작동시키면 블레이드
가 손상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빙결 상
태를 녹인 후 사용하십시오.
•와이퍼 블레이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
하여 휘발유, 등유, 페인트, 신나 또는 기
타 솔벤트 류의 액체 등을 앞 유리에 사
용하지 마십시오.
•시중에 판매되는 유막제거제는 연마제
성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제품에 표시
된 주의 사항을 확인 후 사용하십시오.
•왁스 또는 발수 코팅이 완전히 제거되면
유리표면에 물방울이 맺히지 않고 고르
게 퍼지게 됩니다.

Page 318 of 383

7-28
정기 점검
0와이퍼 블레이드 교체 방법
1. 와이퍼 암을 세우십시오.
OLF074017OLF074017
2. 잠금쇠를 세우고 블레이드를 아래로 내려 분
리하십시오.
3. 새 와이퍼 블레이드를 장착하십시오.
OLF074018OLF074018
OLF074019OLF074019
주 의
•와이퍼 블레이드가 분리된 상태에서 와
이퍼 암이 유리창에 닿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오. 유리창이 파손될 수 있습니다.
•차량 별로 와이퍼 블레이드 사양이 다르
므로 교체시 주의하십시오. 와이퍼가 오
작동하거나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 의
•겨울철 와이퍼 블레이드가 얼어붙은 상
태에서 와이퍼를 작동시키거나 혹은 와
셔액이 없이 와이퍼를 계속 작동하면 약
10초동안 와이퍼가 작동하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이것은 고장이 아니라 와이퍼
모터 내부의 과부하 차단 회로 작동으로
인한 와이퍼 보호 기능입니다.
•앞유리창을 닦을 때는 와이퍼 블레이드
를 밖으로 젖혀 놓은 후 호스 등을 사용
하여 물을 뿌린다음 깨끗한 헝겊으로 닦
아내야 하며 또한 앞유리창 및 와이퍼
블레이드에 왁스 또는 유분이 묻은 경우
에는 와이퍼 작동시 앞유리창이 잘 닦이
지 않게 되므로 헝겊으로 잘 닦아야 합
니다.

Page 319 of 383

7-29
정기 점검
7
최상의 배터리 성능을 위해서는,
•배터리 장착 상태를 확실히 하십시오.
•배터리 윗부분을 깨끗하고 건조된 상태로 유
지하십시오.
•단자와 연결부가 깨끗하고, 꽉 조여 지고, 석
유 젤리 또는 단자 그리스로 코팅하십시오.
•전해액이 흐른 경우 수용액이나 베이킹 소다
등으로 즉시 닦아 내십시오.
•만일 차가 오랜 동안 사용되지 않을 경우, 배
터리 단자를 분리하십시오.
배터리 점검
OAE076016OAE076016
배터리 관련된 작업은 자사 직영 서비스센
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
십시오.
경 고
주 의
배터리를 취급할 때는 다음 사항에 주의하
십시오.
•배터리 단자를 분리할 때는 반드시 「-」
측(어스)부터 분리하시고, 장착할 때는
「-」 측을 최후에 연결하십시오.
•배터리의 효율은 저온에서 현저히 저하
됩니다. 한랭시 차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
을 때는 분리하여 실내에 보관하십시오.
•배터리의 「+」 단자와 「-」 단자를 역으로
접속하지 마십시오. 극성을 역으로 연
결하면 과대 전류가 흘러 알터네이터의
다이오드와 차체 배선이 손상됩니다.
•배터리의 장착이 불완전하면 주행중의
진동으로 케이스와 극판을 손상시킵니
다. 배터리 코드의 단자와 접속부 둘레
에 그리스를 도포하면 산의 침투를 방지
할 수 있습니다.
0배터리 관리 요령
•배터리는 수시로 점검하고, 항상 청결하게 유
지 하십시오. 오염된 채로 방치하면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됩니다.
•배터리를 재충전하거나 점검을 실시하기 전
에, 엔진을 끄고 모든 전기장치를 끄십시오.

Page 320 of 383

7-30
정기 점검
주 의
•배터리는 항상 완전 충전상태로 유지 하
십시오. 특히 한랭 시 비중이 낮으면 동
결되어 배터리 케이스의 파손을 발생시
킬 우려가 있습니다.
•배터리 단자에 물 등의 액체가 묻으면
배터리 성능이 저하 될수 있고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를 기울이지 마십시오.
•차량에 임의로 전기장치(램프류, 블랙박
스, 전기기기 등)를 장착하여 사용할 경
우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으니 절대 장
착하지 마십시오.
•고전압 배터리 뒤쪽 공간에 물건을 적재
하지 마십시오. 차량이 충돌했을 때 배
터리 안전성 및 성능 저하 가능성이 있
습니다.
반드시 규정된 전압의 배터리를 사용하십시
오. 그렇지 않으면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배터리를 다룰때에는 항상 다음
의 지시사항을 주의깊게 숙지하
십시오.
담뱃불과 모든 기타 화염 또는 불
꽃을 멀리 하십시오. 배터리 셀에
는 인화성이 높은 수소가스가 항
상 있고, 이는 불 붙으면 폭발할
수도 있습니다.
배터리 내부에는 점화율이 매우
높은 수소가 항상 존재하여 불꽃
이 점화되면 폭발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는 부식성이 높은 유황성 산
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어린이들 손
에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배터리
산이 피부나 눈, 옷, 페인트 부분에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경 고
전해액이 눈에 들어가면 적어도
15분 동안 흐르는 깨끗한 물로 닦
아내고 즉시 의료 조치를 받으십
시오. 또한 피부에 닿으면 닿은 부
분을 깨끗이 씻어 내십시오. 아프
거나 화상을 입은 감각이 들면 즉
시 의료 조치를 받으십시오.
배터리 가까이에서 작업을 하거
나 충전할 경우에는 눈보호개를
착용하십시오.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을 할때에는 항상 환기를 시
키십시오.
잘못된 배터리 처리는 환경과 사
람의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분
리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처
리하십시오.
경 고

Page:   < prev 1-10 ... 271-280 281-290 291-300 301-310 311-320 321-330 331-340 341-350 351-360 ... 390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