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Ioniq Electric 2016 아이오닉 Electric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341 of 879

5-80
시동 및 주행
▶기능 작동
•자동 감속제어는 고속도로 본선에 위치한
단속 카메라에 대해서 동작합니다.
•자동 감속제어는 내비게이션에서 과속단
속카메라 안내 설정이 된 카메라만 대상
으로 제어합니다. (과속단속카메라 안내
설정 방법은 내비게이션 취급설명서를 참
고하십시오.)
•내비게이션의 과속단속 카메라 설정에 따
른 동작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 고정식 카메라 : 안내 설정
- 이동식 카메라 : 안내 해제
고정식 카메라, 고정식 이동형 카메라 대
상으로 자동 감속제어를 수행하며, 이동
식 카메라 대상으로는 자동 감속제어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동작 상황별 상태 표시
•동작 대기 상태 - 흰색 NAVI 켜짐
•동작 중 - 「안전구간 제어 중」 문구 표시,
녹색 NAVI 켜짐 또는 카메라 심
볼 표시
주 의
•모든 상황에서 운전자의 동작에 우선권
이 있습니다.
•운전자가 계기판 내 사용자 설정 메뉴를
통해 설정한 경우에만 고속도로 안전구
간 자동감속 기능이 동작합니다.
•과속단속과 관련된 카메라에 대해서만
기능이 동작하며 운전자가 내비게이션
설정에서 카메라 안내를 해제할 경우 해
당 종류의 카메라에 대해서는 자동 감속
기능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전방의 선행차 여부와 선행차의 주행 상
태에 따라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속
기능이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OAE056083OAE056083
OAE056084OAE056084
OAE056085OAE056085
00동작 대기 상태동작 대기 상태
00동작 중동작 중
00동작 중동작 중

Page 342 of 879

5-81
시동 및 주행
5
주 의
•내비게이션 자체 안내시점과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속 기능의 시작/종료 시
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구간 과속단속구간은 잔여 구간 평균 주
행 목표 속도에 따라 단속 속도 이하로
주행할 수 있습니다.
•구간 과속단속구간에서는 운전자가 엑
셀 페달을 밟아 가속하지 않는 이상 제한
속도 이상으로 가속하지 않습니다.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이동식 과속단속
구간의 경우 과속단속 안내 시점이 지난
후 일정구간 속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속 기능이 동
작하여 자동 감속하는 동안에도 차량속
도가 제한속도보다 높을 경우 내비게이
션에서 경보가 울립니다.
•고속도로가 아닌 도시고속도로/국도/일
반도로에 위치한 단속카메라에 대해서
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주 의
•고속도로 주행 중 도시고속도로/국도/일
반도로 등으로 진입하여 도로 종류가 바
뀌는 경우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속
기능이 자동으로 꺼지므로 운전자는 주
의하여 운전해야 합니다.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속 기능이 동
작 불가능한 상태일 경우 계기판 내 사
용자 설정 메뉴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국내를 제외한 해외지역에서는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속 기능 동작이 제한됩
니다.
•계기판 속도와 내비게이션 속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속 기능 동작
중,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아 가속할
경우, 운전자 의지에 따라 가속한 것이므
로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속 기능에
의해 감속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속 기능 동작
중, 운전자가 가속한 후,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면 제한속도를 만족시키기 위해
급감속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속 기능이 동
작 중, 감속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므
로 전방을 주시하여 필요한 경우 운전자
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적절하게 감속
하십시오.
경 고

Page 343 of 879

5-82
시동 및 주행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속 기능의 동
작 여부와 상관없이 운전자는 전방을 주
시하며 운전해야 하고 도로교통법을 위
반하지 않을 의무가 있습니다.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속 기능은 전
적으로 내비게이션이 제공하는 도로정
보에 의존하며 차량 제조사는 운전자의
도로 교통법 위반행위나 사고에 대하여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내비게이션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에는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속 기능
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경 고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속 기능은 아
래와 같은 경우에 오작동 하거나 작동하
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내비게이션에 과속 단속 지점 및 구
간 정보가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 되
지 않았을 경우
-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GPS 데이터
또는 지도 데이터의 오차에 따라 실
제 도로와 다를 경우
- 내비게이션이 경로탐색, 동영상 재
생, 음성명령, 핸즈프리 기능 등의 여
러 기능을 한꺼번에 수행하여 과부하
가 걸려 지도 정보를 미수신 할 경우
- 주행 중 경로 재탐색을 할 경우
- 터널 등에서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 운전자가 탐색된 경로로 주행하지 않
거나 운전자가 목적지를 재설정하여
경로가 재탐색 또는 삭제되는 경우
경 고
- 운전자가 고속도로 휴게소에 진입할
경우 안내경로와 주행경로가 다르고
경로 재탐색이 자동으로 일어나지 않
을 경우
- 고속도로 상황에 따라 일부 구간의
제한 속도가 변경된 경우
- Android Auto나 Car Play와 같은
스마트폰의 미러 링크 기술이 작동
될 경우
- 상하부 도로 및 인접한 도로가 나란
히 위치하는 경우
경 고

Page 344 of 879

5-83
시동 및 주행
5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실제 운전자의 의지
와 다르게 작동 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상황 1 : 설정 경로(분기선 이탈) 와 주행
경로(본선 유지)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설정한 경로(분기선 이탈)에 제한 속도
정보가 없으므로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
동감속 기능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하지
만, 설정한 경로가 아닌 고속도로 본선을
유지하여 주행 할 경우 고속도로 안전구
간 자동감속 기능은 작동을 시작합니다.
이때, 제한속도 정보 지점과 거리, 현재
차량속도에 따라 급제동 할 수 있습니다.
경 고
OAE056111OAE056111
▶상황 2 : 설정 경로(본선 유지) 와 주행 경
로(분기선 이탈)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설정한 경로(본선 유지) 제한 속도 정보
에 의해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속 기
능은 작동합니다. 하지만, 고속도로 분
기선으로 진입하여 경로 이탈이라고 판
단 할 경우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감
속 기능은 작동 하지 않습니다. 이때, 원
하지 않는 감속 제어가 일시적으로 발
생 할 수 있습니다.
경 고
▶상황 3 : 설정 경로가 없을 경우
설정 경로가 없는 경우 고속도로 본선
유지 기준으로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
감속 기능은 작동함으로, 상황 2와 동일
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 고
OAE056112OAE056112OAE056113OAE056113

Page 345 of 879

5-84
시동 및 주행
•항상 지정된 타이어 공기압을 유지하십시오.
•급정차를 피하기 위해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하십시오. 연료의 절감은 물론 브레이크
패드의 과마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페달에 발을 올리고 운전하지 마십
시오. 주행가능거리가 짧아지며 브레이크에
손상을 가져옵니다.
•적절한 휠 얼라이먼트는 연료를 절감시키고,
타이어가 빨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정기적으로 검사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부품수명이 증가하고 비용도 절감됩니다.
연료 소모량은 주로 운전자의 운전습관에 따라
달라집니다. 차를 운전할 때 다음 사항을 준수하
여 연료비 및 수리비를 절감하십시오.
•정차 중에는 시동을 끄십시오.
•경제속도로 운전하십시오.
•고속 운전을 할 때는 창문을 열고 운전하지
마십시오. 연료 소비량이 증가합니다.
•급발진, 급가속, 급제동을 삼가십시오.
•정차 후 가속할 때는 천천히 가속하면 주행가
능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횡 바람과 역 바람이 불 때는 천천히 운전하
십시오.
•차량은 항상 정비가 잘된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에어컨 및 히터는 필요할 때만 사용하십시오.
•도로조건이 좋지 않은 길은 피하는게 좋습니
다. 비포장도로 주행 시 하부부품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항상 주의하십시오.
•불필요한 화물을 싣지 마십시오.
경제적 운전 안전 운전
주행 중에는 차의 상태에 항상 주의하여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즉시 안전한 장소에 세워 두고
점검를 하십시오. 또 원인이 불분명하거나 수리
가 곤란할 때는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나
블루핸즈에 연락하십시오.
•차의 주행 속도는 안전 속도 이내로 하고, 주
위의 차량 속도에 맞추어 차량 흐름이 원활하
게 이루어질 수 있게 조절하십시오.
•차선을 변경할 때는 미리 방향 지시등을 켜고
그 차선을 주행하는 다른 차량에 방해되지 않
도록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한 후 하십시오.
•경적음은 꼭 필요할 때만 울리십시오.
•운전자는 보행자를 세심히 배려함으로써 보
다 즐겁고 안전한 운전을 하도록 하십시오.
•주행 중에 경고등이 켜지면 즉시 안전한 장소
에 세워 두고 점검하십시오.
•급출발, 급가속, 급제동을 삼가십시오.

Page 346 of 879

5-85
시동 및 주행
5
0험한 길에서의 주행
•험로를 주행할 때는 돌이나 나무 뿌리 등에
의하여 손상을 입을 수가 있으니 주의하여 주
행하십시오.
•요철이 심한 도로에서 양쪽 바퀴가 동시에 움
푹 들어간 곳에 빠지면 차체 바닥이 지면에
닿게 됩니다. 이러한 도로에서는 볼록한 곳을
따라 주행 하십시오.
•비포장도로, 눈길, 빙판길, 진흙탕 길을 주행
할 때는 속도를 낮추고 제동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십시오. 급하게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
지 마십시오.
•눈길이나 진흙탕 길, 모랫길에서는 2단 기어
를 사용하여 천천히 속도를 높이십시오. 차
바퀴가 헛돌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얼음이나 눈, 모래에 빠졌을 때는 모래를 깔
거나 타이어 체인을 감거나, 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물건을 바퀴 밑에 받쳐 놓아 바퀴가
굴러갈 수 있는 상태를 마련해 주십시오.
미끄러운 도로를 주행할 때 갑자기 저단으
로 변속하면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차의
속도를 갑자기 바꾸면 타이어가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 미끄러운 길에서 저단 변속을
할 때는 주의하십시오.
경 고 0차 바퀴가 빠져 헛도는 경우
•물 웅덩이나 진흙, 모래, 눈 등에 차 바퀴가 빠
져 헛도는 경우, 보다 잘 빠져나올 수 있게 스
티어링 휠을 좌우로 빨리 움직이십시오.
•이때 차량을 갑자기 가속하지 마십시오.
그러면 바퀴가 헛돌게 되어 더 빠지게 되고,
차가 프레임(바디)까지 묻힐 수 있습니다.
「D」(주행) 와 「R」(후진)로 번갈아 변속하면서
가속 페달을 부드럽게 밟아 빠져나오십시오.
•필요하면 납작한 돌이나 나무 또는 이와 비슷
한 물건들을 타이어 밑에 놓아 미끄러지지 않
도록 하고, 차량을 앞뒤로 반복적으로 움직여
서 빠져나오십시오.
몇 번의 시도에도 탈출을 하지 못할때는 조작을
중지하고 견인하십시오.

Page 347 of 879

5-86
시동 및 주행
•차가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에서 차 바퀴
가 헛돌면 타이어가 과열·폭발하여 주변
에 있는 사람이 다칠 수 있으므로, 차 바
퀴가 빠지면 빠져나오기 어렵다고 판단
되는 지역은 운전하지 마십시오.
•빠져나온 직후에 차가 갑작스럽게 움직
임으로 말미암아 예기치 못한 사고가
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주위가 안전한
지 충분히 확인한 후 빠진 곳에서 탈출
을 시도하십시오.
•가속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는 감속기 변
속단의 위치를 변경하지 마십시오. 위험
합니다.
경 고
•타이어가 빠져 헛도는 경우, 빠져 나오
기 위해 타이어 밑에 물건을 대어 놓고
시동을 걸 때, 타이어 주위에 사람이 서
있지 않도록 하시고 바퀴 회전이나 갑작
스런 움직임에 대비하여 안전하다고 판
단될 때만 실시하십시오.
타이어 밑에 대어 놓았던 물건이 튀어
나오거나 타이어 회전 또는 갑작스런 움
직임으로 제2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
며, 이는 심각한 상해나 목숨을 앗아갈
수도 있습니다.
경 고 0커브길 주행
커브길을 주행할 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거나
기어를 변속하지 말고, 미리 속도를 줄인 후, 가
능한 한 차체를 똑바로 유지하면서 도십시오.
0야간 주행
야간 운전은 주간 운전보다 훨씬 많은 위험이 도
사리고 있으므로 다음의 운전 요령을 숙지하십
시오.
•야간 주행을 할 경우 마주 오는 차와 서로 교
차할 때는 전조등을 하향으로 향하게 하여 상
대방이 눈부시지 않도록 하십시오.
•비가 내리면 전조등의 빛이 노면에 흡수되거
나 젖은 장애물에 반사되어 앞이 잘 보이지
않게 됩니다. 항상 주의하십시오.
•속도를 줄여 차 간격을 충분히 유지하십시오.
가로등이 없을 때는 시야를 확보하기가 더욱
어렵습니다.
•전조등은 수시로 닦아서 깨끗이 관리하고 전
조등 각을 적절하게 조절하십시오.

Page 348 of 879

5-87
시동 및 주행
5
0악천후 시의 주행
•비나 눈이 내릴 때는 특히 차가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급브레이크 조작을 하지 마십시오.
•브레이크 장치가 젖을 정도로 물이 깊은 곳은
피해서 주행하십시오. 브레이크 장치가 젖으
면 제동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물이 고인 곳
을 주행하거나 세차한 후에는 반드시 브레이
크 성능을 점검하십시오. 물기 있는 도로를
주행한 후에는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천천히 운전하는 동안 여러 번에 걸쳐 브레이
크를 밟아 건조시키십시오.
•안개가 끼었거나 그 밖의 기상 상태로 인하여
시계가 나쁠 때는 차의 조명을 켜고 속도를
충분히 낮추어 운전 하십시오.
•폭우가 내릴 때는 시야를 확보하기가 더 어려
워 제동 거리가 더 많이 필요하므로 천천히
운전하십시오.
•와이퍼 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관리하십시오.
•와이퍼에 줄무늬가 생기거나 유리창이 잘 닦
이지 않으면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하십시오.
•타이어의 상태가 좋지 않은데 젖은 길이나 빗
길에서 급정차하면 타이어가 미끄러져 사고
가 날 수 있습니다. 타이어 상태를 항상 양호
하게 관리하십시오.
0고속도로 주행
•운전전 점검을 하십시오.
특히 냉각수, 타이어 공기압 등을 점검하십시오.
•안전벨트는 반드시 착용하십시오.
•고속도로 진입 시는 방향지시등을 켜고 가속
차선에서 충분히 가속한 후 본선 차량의 속도
에 맞춰 진입하십시오.
•차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스티어링 휠을
천천히 조작하십시오.
•터널 출구 부분을 나올때 횡풍을 받아 차체가
흔들리는 일이 있으면 침착하게 속도를 줄이
고 진로를 수정하십시오.
•고속도로에서 벗어날때는 미리 출구를 잘 확
인 하시고 방향지시등을 켜십시오.
출구를 지나쳐 버리게 되면 다음 인터체인지
까지 주행하십시오. 당황하여 급제동을 하게
되면 대단히 위험합니다.
•급제동은 미끄러질 위험이 있으므로 매우 위
험합니다.
•노면이 젖어 있을 때는 타이어가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속도를 낮추십시오.
•고속 주행시 브레이크 페달을 많이 사용하면
브레이크 장치가 과열되어 브레이크의 기능이
나쁘게 되거나, 브레이크액이 기화되어 브레
이크의 효과가 없게 되므로 매우 위험합니다.
회생제동 브레이크와 함께 효과적으로 사용하십
시오.
•장마철이나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 등을 통과
할 때는 특별히 주의하십시오. 타이어 중앙부
분(타이어 휠 허브)이 잠길 정도로 수위가 높
으면 운전하지 마십시오. 물을 통과할 경우는
천천히 서행하고 물속에서는 제동성능이 제
대로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적당한 제동
거리를 유지하십시오. 물을 통과한 뒤에는 차
를 서행하면서 브레이크를 부드럽게 몇번 밟
아 브레이크를 건조시키십시오.
0여름철 운전
냉각수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라디에이
터에 흙, 먼지, 벌레 등 오물이 끼지 않도록 점검
하십시오.
라디에이터가 불결하면 냉각효과가 떨어져 모터
과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age 349 of 879

5-88
시동 및 주행
겨울철 운전
•타이어 체인, 창문닦이, 유리창 성에 제거기,
모래나 소금부대, 경고판 그리고 야삽과 점프
케이블 등의 비상장비를 갖고 다니십시오.
•부동액 및 와셔액의 농도를 점검하십시오.
•배터리와 케이블 상태를 점검하십시오. 날씨
가 추우면 배터리 용량이 저하되어 시동이 걸
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추운 날씨에는 여름과 달리 주의가 더욱 필요
합니다. 다음사항을 운전전 점검시에 추가로
점검하십시오.
1. 차의 밑부분 둘레에 있는 얼음 덩어리를
부품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제거하십시오.
2. 차량 시동을 걸고 각종 페달이 평상시처럼
움직이는지 확인하십시오.
3. 앞·뒤 유리의 얼음이나 눈은 제거하십시
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가 유리에 얼어
붙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십시오.
•냉각수는 자사 순정 부동액과 물을 적정 비율
로 혼합하여 사용하십시오. 냉각수의 비율은
너무 높거나 낮아도 효과가 없습니다.
(7장, 「냉각수 점검」의 혼합비율 참조)
0눈 또는 빙판길 주행
•눈길, 빙판길을 주행할 때는 스노우 타이어
또는 규격에 맞는 타이어 체인을 장착하시고,
급발진, 급가속, 급제동을 삼가십시오.
음지와 양지의 도로조건은 서로 다릅니다. 오르
막길 보다는 내리막길에 더욱 주의 하십시오.
•눈길이나 빙판에서는 타이어의 접지력이 약
해지므로 가속 페달이나 스티어링 휠을 거칠
게 조작하면 위험합니다.
•내리막길에서 회생제동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방향조작에 도움이 됩니다.
오르막길에서는 한번 멈추면 발진하기가 어
려우므로 차간거리를 유지하여 서행하도록
하십시오.
▶스노우 타이어
차에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할 경우, 동일 사이
즈의 타이어인지를 확인하고 차량마다 타이
어가 견딜 수 있는 중량이 다르므로 규격에 맞
는 타이어인지를 확인하십시오. 모든 기상조
건에서 차량 조향성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는 스노우 타이어를 네바퀴에 모두 장착 하십
시오.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고 건조한 도로
를 주행하면, 원래 사양의 타이어 보다 마찰력
이 작아 제동 거리가 길어질 수 있으니 주의하
십시오.
또, 날씨가 맑은 경우에도 항상 조심하면서
운전하십시오.
스노우 타이어의 규격과 형태는 차량의 표
준 타이어와 동등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차량의 안전성과 조향성능에 악영향
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경 고

Page 350 of 879

5-89
시동 및 주행
5 ▶타이어 체인
• 래디얼 타이어는 구조상 옆면이 얇기 때
문에 체인을 사용하면 손상될 우려가 있
으므로 되도록이면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
하십시오. 알루미늄 휠 장착 차량은 체인
을 사용하면 휠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
로 체인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불가피하게 사용해야 할 경우는 순정부품
을 사용하십시오.
와이어 체인 12mm 이하를 사용하십시오.
OAEE056015OAEE056015
•본 차량은 앞바퀴가 구동되는 전륜구동
차량입니다. 따라서 타이어 체인을 장착할
때는 반드시 앞바퀴에 장착하십시오.
•체인을 장착한 후에는 천천히 운행하십시
오. 체인이 차체나 샤시에 닿는 소리가 들
리면 즉시 차를 멈추고 체인을 조이십시
오. 소리가 나지 않을 때까지 감속하고 눈
이 없는 도로 주행시는 바로 체인을 풀어
체인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타이어 규격에 맞는 체인을 사용하여 차
체를 보호하십시오.
본 차량에 부적합한 체인을 사용할 경우에
는 차체를 손상시키므로 반드시 적절한
체인을 사용하시고 장착은 체인 제작사에
서 제공하는 설명서를 참조하여 차체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눈길,
빙판길 외에는 체인의 사용을 삼가시고,
체인 장착시에는 체인 제작사에서 추천하
는 규정속도 이하 또는 30km/h 이내로 주
행 하십시오.
주 의
•일반 체인 장착 시 체인과 서스펜션 부
품인 너클과의 간섭으로 체인 연결 고리
가 손상될 수도 있으니 반드시 KS규격
및 SAE의‘S’급 규격을 만족하는 체인을
사용하십시오.(체인 두께 12mm 이하
사용)
• 체인 규격이 맞지 않거나 잘못 장착한 경우
는 차량의 제동 라인, 서스펜션, 차체 및 바퀴
등을 훼손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체인이 차량을 때리는 소리가 들리면 즉
시 차를 멈추고 다시 조이십시오.
• 타이어 체인을 장착하고 0.5~1km 정도
주행한 후에는 차체 손상 여부 및 안전
을 위하여 체인의 장착 상태를 확인해야
하며, 느슨할 경우에는 다시 조이십시오.

Page:   < prev 1-10 ... 301-310 311-320 321-330 331-340 341-350 351-360 361-370 371-380 381-390 ... 880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