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Super Aero City 2016 슈퍼 에어로시티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261 of 290
정기 점검
7-77
0웨이스트 게이트 조절밸브
웨이스트 게이트 조절밸브는 터보차져로 가해지
는 공기압을 제어하여 저속, 고속에서 최적의 터
보차져 성능을 낼 수 있도록 합니다.
00C6GB 엔진C6GB 엔진
OCY073020OCY073020
OCY073021OCY073021
00C6AF 엔진C6AF 엔진
웨이스트게이트웨이스트게이트조절밸브조절밸브
웨이스트게이트웨이스트게이트조절밸브조절밸브
부스트 모니터 센서부스트 모니터 센서
부스트 모니터 센서부스트 모니터 센서
00초저상초저상
OCY075206OCY075206
주 의
산소 센서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로는 절
대로 운행하지 마십시오. 엔진 부조 및 엔진 출
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주 의
가속도 센서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로는
절대로 운행하지 마십시오. 엔진 부조 및 엔진
출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0가속도 센서
요철 도로와 같은 비포장 도로에서 차량의 상하
진동을 감지하여 컴퓨터(ECU)에 신호를 전달하
여 엔진의 연료의 실화 오감지를 방지합니다.
0후단 산소 센서
촉매 후단에 장착되어 촉매 전단 산소 센서와 산소
농도를 비교 하여 촉매를 모니터링 합니다.
Page 262 of 290
정기 점검
7-78
0블로바이 시스템
▶C6GB엔진
연소시 발생되는 블로바이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
출하지 않고 분리하여 블로바이 가스 내 오일은 오
일 팬으로 드레인되고 블로바이 가스는 흡기측으
로 재유입됩니다.
00C6GB 엔진C6GB 엔진
OCY073022OCY073022
블로바이 시스템블로바이 시스템
0부스트 모니터 센서
터보차저로 가해지는 공기압을 실제로 측정하여
웨이스트 게이트 조절밸브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합니다.
▶D6AF엔진
연소시 발생되는 브로바이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지 않고 브리더 어셈블리로부터 브로바
이 가스내 오일을 제거한 후 싸일렌서로 재유
입 됩니다.
OPY074001OPY074001
00C6AF 엔진C6AF 엔진
블로바이 시스템블로바이 시스템
Page 263 of 290
정기 점검
7-79
0전자식 엔진 제어 장치
•C6GB엔진은 엔진 본체에 엔진 제어장치가
있습니다.
00C6GB 엔진C6GB 엔진
OCY073024OCY073024
OCY073025OCY073025
00C6AF 엔진C6AF 엔진
•C6AF엔진은 전자식 엔진 제어장치가 차량
측의 ECU BOX안에 파워 릴레이와 함께 위
치해 있습니다.
Page 264 of 290
정기 점검
7-80
※ 전구교환시 맨손으로 반사경 또는 전구를 만지지 마십시오. 장갑이나 패키징을 사용하십시오.
손에 묻은 그리스, 오일 등의 불순물이 전구에서 발생되는 열에의해 증발되어 반사경 기능을 손상 시
킬수 있습니다.
특히, 발열량이 많은 헤드램프 전구 취급시 주의하십시오.
1. 방향 지시등
2. 안개등
3. 헤드램프
4. 측면 방향 지시등
5. 사이드 마커 램프
6. 정지등, 미등
7. 후진등
8. 방향 지시등
9. 번호판등
10. 휠 램프
OCY074003OCY074003
전구의 용량 및 교환
주 의
전구는 비규격품 사용시 화재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규격품 전구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Page 265 of 290
정기 점검
7-81
램 프 종 류수량용량(W)
헤드램프안쪽 2 75
바깥쪽 2 70
방향지시등 2 21
리어
컴비네이션램프
방향지시등 2 21
정지등, 미등 2 21/5
후진등 2 21
안개등 2 70
측면 방향 지시등 2 21
사이드 마커 램프 8 5
번호판등 4 5
출입구등앞도어 121중간도어 1
계 기 판수량용량(W)
실내등
승
객
석
운전석 1 21
자가용,
직좌4
20표준저장 6
시내저상
(고급화버스)9
휠램프 2 21
화물칸 3 5
행선지등프론트 2 20
리어 3 12
계기판 조명등 36
주 의
• 헤드라이트 전구는 비규격품을 사용시 화
재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규격품 전구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헤드라이트 안개등 등의 램프는 우천시 주
행과 세차등의 조건하에서 흐려질 수 있습
니다. 이것은 램프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따른 것으로 우천시 창 유리가 흐려지는 것
과 동일현상입니다. 따라서 기능상의 문제
는 없으나, 단 렌즈 내면에 큰 물이 들어간
경우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
즈에 문의해 주십시오.
Page 266 of 290
정기 점검
7-82
매연관리(디젤)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주요한 공해요소는 흑색
연기(매연)로서 이 매연농도가 하기 규정된 규제
치를 초과하는 경우 법적인 제재조치를 받도록
되어 있습니다.
단 과급기(터보차저)나 중간냉각기(인터쿨러)을
부착한 엔진(자동차)의 경우 5%를 가산한(총
25% 이하) 매연농도를 적용 받게 됩니다.
매연농도 측정은 규정된 광투과식 무부하급가속
검사모드로 실시하게 됩니다.
1. 무부하급가속검사모드 측정방법
(1) 엔진은 충분한 예열 상태에서 측정되어야
하며, 에어컨 또는 서리제거장치 등 작동하
지 않아야 합니다.
(2) 예비 무부하급가속
- 배기관내 축적되어 있는 매연을 배출하
기 위한 모드로, 매연 측정 전 반드시 실
시하여야 합니다.
- 측정 대상자동차의 정지가동상태, 기어
중립인 상태에서 급가속하여 최고 회전
속도 도달 후 2초간 회전시키고, 공회전
상태로 5∼6초간 둔다. 이와 같은 과정을
3회 반복 실시합니다.
(3) 측정기의 시료채취관을 배기관의 중앙에
오도록 하고, 5cm(광투과식) 정도의 깊이
로 삽입합니다.
(4) 엔진의 최고 회전속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4초이내로 하고 그 시간 이내
에 시료를 채취하여야 합니다.
2. 매연 농도의 산출방법
- 3회 연속 측정한 매연농도를 산술평균하여
소수점 이하는 절사한 값을 최종측정치로
합니다. 이때 3회 측정한 매연농도의 최대
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5%를 초과하거나
최종 측정값이 운행차 배출허용기준에 부
적합한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1회씩 더 측
정하여 최대 10회까지 측정하면서 매회 측
정시마다 마지막 3회의 측정치를 산출하여
마지막 3회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5% 이내이고, 측정값의 산술평균값도 운
행차배출허용기준 이내이면 측정을 종료
하고 이를 최종 측정값으로 합니다.
- 만약, 10회까지 반복 측정하여도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5%를 초과하거나 마지막
3회(8회, 9회, 10회) 측정값의 산술평균값
이 운행차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면 측정
을 종료하고 이를 최종 측정값으로 합니다.
광투과식
구 분
20% 이하
매연 농도
Page 267 of 290
정기 점검
7-83
(3) 노즐 점검 및 수정
노즐의 변형 및 분무상태 등을 점검하고 필
요시 교환합니다.
(4) 과적재 금지 적재 적량 이상으로 적재하면
엔진에 무리를 주어 매연 증가의 요인됨과
아울러 엔진 수명이 단축됩니다.
(5) 정기점검과 조정 차량의 배출가스를 위하
여 매 10,000km마다 배출가스 점검정비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6) 점검시 매연이 발견되면, 매연발생 원인부
품을 교체하고 엔진 정상상태가 확인되면,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매연필터장
치) 내부에 누적된 이물질(카본)을 자사 직
영서비스 또는 블루핸즈에서 수동재생하
여 배출가스저감장치 문제 발생 여부를 반
드시 확인하십시오. ( D P F 점검 주기, 10만
km 또는 1년)
3. 매연관리 방법
매연의 발생은 에어클리너, 연료필터, 분사노
즐, 엔진의 조정상태, 적재량 등과 밀접한 관계
가 있습니다.
(1) 에어클리너가 막히면 다량의 매연이 발생
되므로 메뉴얼에 따라 엘리먼트를 교환해
야 됩니다.
단 비포장 도로 등 가혹한 조건에서 주행하
는 차량은 오염상태에 따라 주기를 단축하
여 교환을 실시하여 주십시오.
(2) 밸브 간극 및 타이밍 점검 및 조정 밸브 간
극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공기량의 부족을
초래하여 매연이 발생됩니다.
(7) 매연필터장치(DPF)는 일정 거리 주행 후,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아주십시오. 점검 후에는 정기
적으로 매연필터장치(DPF)의 잔류재(ASH
CLEANING) 청소를 실시해주십시오.
※ 사용 엔진오일에 따라 잔류재 청소 주기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잔류재 청소를 실시해 주십시오.
※ 상기사항을 불이행함으로써 발생되는 제재조
치 또는 기타 불이익에 대해서 제작자는 책임
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엔진 점검주기 잔류재 청소
D6GB(그린시티)8만km 또는 1년16만km 또는 2년
D6HC(슈퍼에어로시티)10만km 또는 1년30만km 또는 3년
Page 268 of 290
정기 점검
7-84
•엔진을 10분 이상 빠르게 공회전하거나, 정상
공회전을 20분 이상 하지 마십시오.
•차량 주행중에 절대로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밀어 시동 걸기, 언덕길에서 내려오며 시동걸
기를 하지 마십시오.
•차량의 무리한 고속 주행을 하지 마십시오.
•촉매 장치를 탈거한 상태로 운행하거나 성능
이 다된 촉매장치로 운행하지 말고 철저한 정
기 점검 및 교환을 하십시오.
•엔진이나 배기제어 시스템의 어떤 부품도 개
조 하거나 함부로 변경하지 마십시오.
•이런 주의사항이 지켜지지 않으면 촉매장
치 및 차량 손상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또
한 이로 인해 보증을 받지 못할 수도 있습
니다.
•연료 부족 경고등 점등 후 차량을 계속 주
행하면 촉매장치, 연료 장치 등에 이상이 발
생될 수 있으므로 항상 연료의 양이 충분한
지 확인 하십시오.
주 의
0배출가스 저감장치
다음 사항을 꼭 지키십시오.
•정상적으로 판매되는 연료만 사용하십시오.
•엔진을 항상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시동성능이 좋지 않은
경우 등 엔진 오작동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되면 차량 운행을 하지 마십시오.
•엔진의 갑작스런 출력저하, 비정상적인 소음
유발, 엔진시동의 어려움 및 배기장치계에 이
상 소음이 발생될 때는 즉시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비를 의뢰
하십시오.
•연료가 없을 때가지 주행하지 마십시오.
•저연료 수준으로 차량을 운행하지 마십시오.
연료가 떨어지면 엔진 실화가 일어나서 촉매
장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4. 매연 저감을 위한 운전자 숙지사항
(1) 주행하기 전에 엔진을 충분히 웜업하고 가
능한 한 정속으로 운행하도록 하십시오.
(2) 과적, 과승, 과속을 피하고 부득이 과적, 과
승상태에서 운전해야 할 경우 과다한 가속
페달 사용을 지양하십시오.
(3) 급가속, 급정지를 피하고 운전중 엔진의 회
전수 rpm은 녹색표시 구간의 위치로 하고
또한 적당한 변속 위치를 설정하여 운전하
도록 습관화 하십시오.
(4) 각종 부품과 오일은 반드시 규격품을 사용
하고 각 차량의 취급 설명서를 참고하여 수
시로 점검하십시오.
Page 269 of 290
정기 점검
7-85
•차량을 잔디, 낙엽, 종이, 카펫트, 기름등
과 같은 가연성 물질 위에 주차 또는 정차
시키지 마십시오. 특정 조건하에서 뜨거
운 배기가스나 배기관에 의해 발화 될 수
도 있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수동재생시는 매연의 재생을 위하
여 고열(600℃ 이상)이 발생되오니 반드
시 실외에서 주변 인화물 여부(특히, 건
초)를 확인 후, 실시 하십시오.
•엔진 작동 중 또는 시동을 끈 직후에는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고온이므로 사람
의 신체가 배출가스 저감장치에 닿지 않
게 하십시오. 화상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배출가스 저감장치 주변의 방열판
을 제거하거나 언더실링이나 방청코팅
을 하지 마십시오. 특정 조건에서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탈거 및 소음 과다
발생은 정비 명령 및 고발의 대상이 되
고, 배기관의 고열, 고압으로 인한 화재
및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반드시 정상적인 배기음이 나도록 하십
시오.
경 고 0에어 클리너
에어 클리너는 수시로 점검하여 상태에 따라 교
환하십시오.
배출가스 규제(CNG)
0유해 배출가스 관리
▶유해 배출가스
엔진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
생되는 배출가스 중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
치는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매연
등은 법적 규제치를 두어 관리, 규제하고 있습
니다. 허용기준 초과시는 개선 명령 및 과태료
부과 등 법적 제재를 받게 되오니 올바른 정기
점검 및 정비 내용을 준수하여 차량 관리 하십
시오.
● 수시점검 및 정기검사의 배출 허용 기준
항 목기 준비고
일산화탄소 2.5% 이하
무부하 검사탄화수소 400ppm 이하
공기과잉률 1± 0.1 이내
Page 270 of 290
정기 점검
7-86
0배출가스 제어장치의 관리 및 정비
●스파크 플러그
스파크 플러그가 불량하면 유해 배출 가스량
이 증가하고 엔진 부조 현상이 발생합니다.
규격SIRZKA8D4D
간극 백금타입 0.4㎜
●배출가스 제어 관련 항목
스파크 플러그 매 5만㎞마다 교환
산소센서10만㎞ 점검 , 2년 또는
20만㎞ 교환
컴퓨터 진단기 엔진 경고등 점등시 테스트
0에어 클리너
에어 클리너는 수시로 점검하여 상태에 따라 교
환하십시오.
이의 예방을 위해 필수적으로 이행되어야 할 사
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사에서 실시 요망하는 차량 점검사항을 철
저히 이행하십시오.
•정기 점검이나 고장진단 수리시에는 자사 직
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정비
를 받으십시오.
•엔진 점검 정비시 또는 배출가스 측정시 약5
분정도 엔진 시동을 걸어 엔진이 정상가동 온
도(85~95℃)로 가열된 상태에서 점검 및 측
정하십시오.
•외기가 높을때 가능한 한 장시간의 저속 엔진
가동을 삼가하여 주시고 배출 가스 측정이나
점검시에는 여러번 가속한 후 시행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차량이 완전한 상태로 점검 및 정비 되었어도
매 10,000㎞주행시마다 정기적인 점검 정비
를 받으십시오.
▶유해 배출가스 예방을 위한 관리사항
연소실내의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각종
불완전한 요인에 의해 완전 연소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됩니다. 유해 배출가스는 차량의
정비상태, 특히 엔진 상태의 양호 여부에 직접
적인 영향을 받으므로 차량의 생산 또는 검사
과정에서 완전하게 조정되었다 하더라도 운행
함에 따라 엔진의 상태가 변화되어 유해가스
배출량이 증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