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Avante 2013 아반떼 MD - 사용 설명서 (in Korean)
Manufacturer: HYUNDAI, Model Year: 2013, Model line: Avante, Model: Hyundai Avante 2013Pages: 371, PDF Size: 13.87 MB
Page 141 of 371

비상시 응급 조치
6-13
4. 차량 후방에 자동차용정지 표지판을 세워 통
행하는 차량에 주의를 주십시오 .
반드시 비상 경고등을 켜십시오 . 특히 고속도
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에서는 차량 후방 (주간
100 m, 야간 200 m)에 고장차량을 확인할 수 있
는 자동차용정지 표지판을 설치하십시오 .
5 . 임시 타이어 , 잭과 잭 핸들 및 공구를 준비하십
시오 .
7JBA6021
6. 교체할 타이어의 대각에 있는 타이어에 고임
목을 괴십시오 .
• 타이어를 교체하는 동안 움직임을 방지
하기 위하여 항상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
히 걸고 교체되는 바퀴의 대각선 바퀴에
고임목을 괴십시오 .
• 타이어가 교체되는 동안 절대 엔진시
동을 걸지 마십시오 .
차량의 갑작스런 움직임으로 사고가
나서 다칠 수 있습니다 .
경 고
1JBA6504고임목
엔진룸 하부에 잭이나 고임목 등으로 차량을
괴이지 마십시오 . 언더커버 및 엔진 부품이 파
손될 수 있습니다 .
주 의
MD-6-비상시 응급 조치(2).indd 132012-07-05 오전 11:45:28
Page 142 of 371

비상시 응급 조치
6-14
8. 타이어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는 렌치를 이용
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각각 한번씩 돌려 푸
십시오 . 이때 너트를 완전히 풀어 분리하지 마
시고 너트를 푸는 순서는 대각으로 하십시오 .9
. 교체해야 할 타이어에서 가장 가까운 잭 포인
트 아래에 잭을 위치시키십시오 .
( 「잭
사용법
」
참고 )
• 잭이 미끌어지지 않도록 확실하게 잭을 받
치십시오 .
또한 기름이 묻어 있을 경우에는 깨끗이 닦
고 잭을 받치십시오 .
• 잭이 확실하게 끼워졌는지를 확인하고 잭
을 올리십시오 .
OMD060009
7. 휠 ·너트 부위에 커버가 있는 차량 (사양 적용
시 )은
「 -
」
드라이버를 홈에 끼워 커버를 분리 하
십시오 .
OMD0600061JBA6025
MD-6-비상시 응급 조치(2).indd 142012-07-05 오전 11:45:29
Page 143 of 371

비상시 응급 조치
6-156-15
11. 휠 너트를 풀고 펑크난 타이어를 떼어 내십시
오 .
12 . 임시 타이어를 위치시키고 손으로 너트를 끼
운 후 약간씩 조이십시오 .
13 . 잭핸들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려 타이어를
지면으로 내리십시오 .
장시간 잭업을 할 때는 안전을 위해 각목
등으로 보강하여 차량을 지탱하십시오 .
차량이 잭에서 떨어지면 심하게 다칠 수
있습니다 .
경 고
14. 휠 너트를 그림의 순서로 2 ~ 3회에 걸쳐 규정
토크로 조이십시오 .
※
체결토크 : 9~ 11 kg·m
15 . 잭과 잭핸들 및 각종 공구를 정해진 위치에
다시 보관하십시오 .
휠 너트를 조일 때 발로 밟아서 조이지 마십시
오 . 볼트 , 너트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
주 의
10. 잭에 잭핸들과 휠 너트 렌치를 결합하여 타이
어가 지면에서 떨어질 때까지 (최대 30 mm)
올리십시오 .
바퀴의 너트를 풀기전에 안전하게 잭업 되었
는지를 확인하십시오 .
OMD060008OTF060007
MD-6-비상시 응급 조치(2).indd 152012-07-05 오전 11:45:29
Page 144 of 371

비상시 응급 조치
6-16
• 너트는 기존의 너트나 동일한 것으로 사용
하십시오 .
• 타이어를 교체했을 때는 약 1 ,000 km 주행
후 다시 한번 휠 너트를 조여 풀림이 없는
지를 점검하십시오 .
• 타이어를 교체한 후 주행 중에 스티어링 휠
이 흔들리거나 차체에 진동이 생길 때는타
이어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것이므로 타이어
의 균형을 맞추십시오 . 맞춘 후에도 불균형
상태가 계속될 때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정비를 의뢰하십시
오 .
주 의
• 바퀴 하나가 지면에서 떨어지면 잭으로
부터 차체가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반드
시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겨 놓고 , 교
체 타이어 대각방향의 타이어에 고임목
을 괴십시오
• 타이어 교체는 반드시 경사없는 평탄하
고 안전한 장소에서 실시하십시오 .
• 체결 토크가 적절하지 못할 경우 제동시
브레이크 떨림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
타이어 이탈 사고의 원인이 될 수있습니
다 .
• 차량의 예비 (또는 임시 (사양 적용시 )) 타
이어를 교체할 경우 항상 바른 자세로 교
체하시기 바랍니다 . 허리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경 고
다른 종류의 타이어를 혼용해 사용하거나
규정 사이즈 이외의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
은 차의 안전성을 저해하므로 절대로 피하
십시오 .
경 고
• 한번에 규정 토크로 조여 주지 말고 여러 번으 로 나눠서 조이십시오.
타이어를 고정시켜 주는 너트의 조임상태는 매우 중요합니다. 조임상태에 대해 자신이 없
으면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임시 타이어를 장착한 후에는 가능한 빨리 공
기압을 점검하시고 필요하면 규정 압력으로 조정하십시오.
(8장, 「타이어 및 휠」의 공기압 제원 참조)
타이어를 장착할 때 부착 부위가 더러우면 너
트가 이완되는 원인이 되므로 타이어가 닿는
모든면을 청소하고 나서 장착하십시오 .
또한 휠 너트의 나사부가 마모되어 있으면 디
스크 휠에 변형이나 균열이 일어나므로 교체
하십시오 .
주 의
MD-6-비상시 응급 조치(2).indd 162012-07-05 오전 11:45:29
Page 145 of 371

비상시 응급 조치
6-17
• 임시 타이어를 장착한 후 신속히 가까운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서 규정된 일반 타이어로 교체하여 운행하
십시오 . 임시 타이어로 장거리 운행을 삼가
십시오 .
• 임시 타이어를 장착했을 경우 , 타이어 체인
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
• 임시 타이어는 각 차량에 맞게 특수 설계되
었으므로 , 다른 차량에의 사용은 금하십시
오 .
주 의
• 임시 타이어를 탈거후 재장착 시에는 확실
히 고정하십시오 .
만약 장착 후 유동이 있는 경우는 재장착하
거나 ,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에서 점검을 받
으십시오 .
• 임시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할 때는 장착방
향을 반드시 준수하여 장착하십시오 .
• 임시 타이어를 손이나 발로 흔들어 흔들림
이 없이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확인하십시
오 .
• 눈길이나 빙판길을 운행해야 하는 경우에
임시 타이어는 뒷쪽 타이어에만 장착하십
시오 .
앞타이어 펑크 시 뒷타이어를 앞쪽으로 이
동 후 뒷타이어에 임시 타이어를 장착하십
시오 .
• 임시 타이어 장착 시 주행속도 60 km/h( 최
고속도 8 0 km/h) 및 공기압 60 psi 를 반드
시 지키십시오 .
주 의
▶ 임시 타이어 장착시
임시 타이어는 장착 타이어의 펑크 등 긴급 상
황이 발생하였을 때 일반 타이어로 교체할 수
있는 곳까지 이동할 동안에 사용하는 타이어
로 , 일반 타이어 대비 중량과 부피가 적어 차량
연비를 향상시키고 일반인들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반면 일반 타이어에 비해 내구 성능 및
주행 성능이 떨어져 장거리 및 고속 주행을 해
서는 안되며 반드시 비상시에만 사용하도록
하십시오 .
MD-6-비상시 응급 조치(2).indd 172012-07-05 오전 11:45:29
Page 146 of 371

비상시 응급 조치
6-18
• 서스펜션 구속 방식으로 견인하면 범퍼와
하부 부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
• 구동되는 앞바퀴를 땅에 대고 차량 뒷부
분을 들어올려 견인하면 변속장치가 손
상될 수 있습니다 .
• 견인할 때 범퍼 및 하부부품 손상에 주의
하십시오 .
주 의
HXD03
̰ 견인 트럭으로 견인 시
만일
견인이 필요하다면 되도록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 또는 견인 전문 업체
를 이용하십시오 .
견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견인차량을 이용하여
차량 전체를 들어올리는 상차 견인으로 견인하는
것이며 , 만약 두 바퀴를 이용하여 견인 시에는 구
동되는 바퀴인 앞바퀴를 들어 올려 타이어 구속
방식으로 견인할 수도 있습니다 .
견인되기 전에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변속레
버를 중립 (N) 위치에 놓으십시오 .
차량 견인
HXD02돌리
상차 견인 타입
타이어 구속 견인 타입
OMC045012
OMD060010
̰ 탈부착 견인 후크(앞)
1
. 화물칸 내 하단부에 있는 견인 후크를 준비 하
십시오 .
2 . 앞쪽 범퍼의 홀 커버 아래쪽을 눌러 분리하십
시오 .
3 . 견인 후크를 홀에 넣어 오른쪽으로 돌려 체결
하십시오 .
4 . 분리는 체결의 역순으로 하십시오 .
MD-6-비상시 응급 조치(2).indd 182012-07-05 오전 11:45:31
Page 147 of 371

비상시 응급 조치
6-19
̰ 견인차가 아닌 일반차량으로의 견인시
1
. 견인 후크에 로프를 단단히 고정 시키십시오 .
차량 다른 부위에 연결하여 견인 할 경우 차체
손상 및 변형의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차량
후방의 견인 후크에 연결하십시오 .
주 의
̰뒤
OMD060007
OMD060011
̰앞
• 견인
후크는 일시적인 짧은 거리의 견인
및 구난할 때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
시 견인의 목적은 없습니다 .
용도 이외로 사용할 경우 사고의 우려가
있습니다 .
• 견인을
할 때에는 매우 주의하십시오 .
비상용 견인 고리와 견인 로프 또는 체인
에 과도한 하중을 줄 수 있는 갑작스러운
출발이나 난폭한 운행을 피하십시오 . 견
인 고리와 견인 로프 또는 체인이 파손되
어 심하게 다치거나 차량이 손상될 수 있
습니다 .
경 고
2. 로프는 5 m 이내로 하고 중앙에 흰천 (약 30 cm
너비 )을 묶어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십시오 .
3 . 변속 레버를
「 N
」(
중립 ) 위치에 놓으십시오 .
4 . 스티어링 휠이 잠기지 않도록 시동을
「ACC
」
위치에 놓으십시오 .
5 .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십시오 .
6 . 견인 중에는 로프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고 ,
강한 충격이나 횡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7 . 견인할 때 운전자 상호간에 연락을 하면서 스
티어링 휠을 잡고 견인차량과 같은 방향으로
조향을 하십시오 .
5m 이내
OTD069011
MD-6-비상시 응급 조치(2).indd 192012-07-05 오전 11:45:32
Page 148 of 371

비상시 응급 조치
6-20
바퀴가 진흙 , 모래 또는 차량 자체의 힘으로
는 빠져 나올 수 없는 상태에 있을 때 비상
견인 고리를 이용하여 차량을 견인하고자
할 경우 견인 고리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져
견인 고리 , 로프 또는 체인이 파손되어 심각
한 차량 손상이나 부상이 날 수 있습니다 .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
또는 견인 전문 업체에 의뢰하십시오 .
경 고
자동변속기 차량은 자동변속기 오일이 누유가
없을때만 일반 차량으로의 견인이 가능합니다 .
오일 누유가 없는지 확인하십시오 . 오일 누유
가 발생한 상태에서 일반차량으로의 견인은
변속기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
주 의
• 견인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무리하
게 견인을 계속하려고 하지 마시고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 또
는 견인 전문 업체를 이용하십시오 .
• 가능한 차량 앞쪽으로 똑바로 향하여 견
인하십시오 .
• 견인할 때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계
십시오 .
경 고
※ 견인 시 유의 사항
• 바퀴가 진흙 , 모래 또는 도랑 등 차량 자체의
힘으로 빠져 나올 수 없는 상태에 있을때 절대
임의로 견인하지 마십시오 .
• 견인하는 차량보다 무거운 차량의 견인은 피
하십시오 .
• 브레이크 제동 성능이 평소보다 나빠지므로
제동시에는 브레이크 페달을 평소보다 세게
밟으십시오 .
• 파워 스티어링 휠 장착 차량은 파워 스티어링
휠 장치가 작동되지 않게 되어 스티어링 휠 조
작이 상당히 부드럽지 않기 때문에 평소보다
스티어링 휠을 세게 조작하십시오 .
• 긴 경사길을 내려올 때는 브레이크가 과열되
어 제동 성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자주
차량을 정지하여 브레이크 온도를 식히십시오 .
• 자동변속기 차량은 위급시 짧은 거리 (견인속
도 : 15 km/h 이내, 견인거리 1 .5 km 이내 )를 제
외하고는 일반차량으로의 견인을 하지 마십시
오 .
변속기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
MD-6-비상시 응급 조치(2).indd 202012-07-05 오전 11:45:34
Page 149 of 371

비상시 응급 조치
6-21
※
평상시에 소화기의 장착 위치 및 사용법을 미
리 확인하여 화재 발생시 신속한 조치를 취하
십시오 . 소화기가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
도록 관리 요령에 따라 정기적으로 점검하십시
오 . 소화기 관리 요령 및 주의 사항은 소화기에
부착된 안내문을 참고하십시오 .
※
소화기 사용방법
1 . 바람을 등지고 안전핀을 제거하십시오 .
2 . 노즐을 화재의 근원으로 향하게 하십시오 .
3 . 레버를 움켜 쥐고 빗자루로 쓸듯이 방사하
십시오 .
̰ 사고 발생 시
사고를 일으키거나 사고를 당한 경우는 인명 안
전을 고려해 다음 조치를 취하십시오 .
1 . 후속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른 차량에 방해
가 되지 않는 안전한 장소 (도로 옆 , 공터 등 )에
차를 세우십시오 .
2 . 부상자가 발생했을 경우 응급처치를 하고 경
찰서 및 119 에 연락하여 도움을 요청하십시
오 .
3 . 경찰관 및 119 구급대원 등이 도착한 후에는
지시에 따르십시오 .
4 . 경미한 사고라도 반드시 의사의 진단을 받으
십시오 .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사고차로부터 연료
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 이때는 인화 , 폭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을 정지 시키고 현
장에서는 담뱃불 등의 화기를 멀리하십시
오 .
경 고
사고 및 차량 화재 시 응급조치
̰ 차량 화재 시
즉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여 엔진을 정지 시킨
후 소화기 등으로 진화하십시오 . 진화 등의 응급
조치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사람들의 접근을
막고 소방서 및 경찰서에 연락하여 필요한 조치
를 취하십시오 .
안전을 위해 항상 소화기를 차 안에 비치하십시
오 .
소화기는 인근 소방기구 판매업소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
1JBA1007
MD-6-비상시 응급 조치(2).indd 212012-07-05 오전 11:45:34
Page 150 of 371

비상시 응급 조치
6-22
1. 엔진을 정지시키고 연료 공급 버튼 (1 )을 눌러
( 표시등 소등 ) 연료의 공급을 차단시키십시오 .
2 . 승객을 대피시키고 연료 충전 밸브 (녹색 )(2) 및
연료 취출 밸브 (적색 )(3)를 잠그십시오 .
3 . LPG 에 불이 붙었을 때는 소화기를 이용하여
불을 끄십시오 .
• 분말 소화기
• 탄산가스 소화기
• 하론 소화기
이상의 응급조치를 하지 못할 상황이라면 사람
들의 접근을 막고 경찰서나 소방서에 연락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십시오 .
̰ LPG
차량 화재 시 응급조치
OMD020020
OMD020021
OMD020022
MD-6-비상시 응급 조치(2).indd 222012-07-05 오전 11:4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