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Aslan 2016 아슬란 AG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341 of 459
5-70
시동 및 주행
OAG054066OAG054066OAG054067OAG054067
OAG054068OAG054068
00A타입A타입 00A타입A타입
••좌측좌측
00B타입B타입
••좌측좌측
00B타입B타입 ••우측우측
••우측우측 ▶작동조건
•시동 [ON] 상태에서 계기판 「사용자 설정
→ 주행보조 → 후측방 접근 경보」를 설정
하면 시스템이 켜지고 작동 준비상태가
됩니다. 설정을 해제할 경우, 작동을 중지
합니다.
•변속단을 「R」(후진)단으로 변속하고 차량
의 속도가 약 10km/h 이하로 후진시 시스
템이 작동합니다.
▶경보유형
•후측방 감지 범위는 측면 방향으로 약
0.5~20m 입니다.
감지 영역 이내에서 차량이 약 4km/h
~36km/h의 속도로 이동할 때 감지하게
됩니다. 단, 시스템 작동 환경에 따라서 감
지 범위는 달라질 수 있으니, 항상 주위를
살피시기 바랍니다.
Page 342 of 459
5-71
시동 및 주행
5
0후측방 경보 시스템 비작동 조건
•후측방 경보 시스템이 작동중에는 후측
방에 차량이 다가올 때 마다 실외 미러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경보등이 켜집
니다. 이때 실외 미러 또는 헤드업 디스
플레이에 시선을 고정할 경우 차량 주
변 미확인으로 안전운전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후측방 경보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이라
도 신중히 운전하고 차선 변경시 후측
방 경보 시스템에만 의존할 경우 사고발
생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전, 후, 측방의
차량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십시오.
후측방 경보 시스템은 주위 상황 및 주
행 조건에 의해 경보 기능이 작동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항상 주위를 확인하
십시오.
경 고
주 의
•범퍼 교체나 레이더 센서 주변의 페인트
작업 및 수리 시, 시스템 동작 성능이 저
하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의 감지영역은 일반 도로의 표준
도로 폭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차선이
좁은 도로에서는 양쪽 차선을 넘어 주행
중인 차량에 대해 경보할 수 있습니다.
•이와는 반대로 폭이 넓은 도로에서 양쪽
차선에서 주행중인 차량을 감지하지 못
하여 경보를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강한 전자파에 의해 시스템이 해제될 수
있습니다.
•차량 후방 좌우측에서 자차를 향해서 접
근하는 차량이 감지된 경우, 경보음이 울
리고 실외 미러의 경보등이 깜빡이고 LCD
경고창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줍니다.
•후방 좌우측의 움직이는 차량이 감지범위
에서 벗어난 경우, 차량이 자차의 바로 뒤
에 있는 경우, 상대 차량의 진행방향이 자
차를 향하지 않는 경우, 접근 차속이 느려
진 경우 경보는 해제됩니다.
시스템 작동 환경에 따라 경보가 안될 수도
있으니, 반드시 주위를 살피시기 바랍니다.
자차 후방 범퍼의 좌측 또는 우측이 차량 또
는 장애물로 가려진 경우 해당 방향의 감지
성능이 저하됩니다.
Page 343 of 459
5-72
시동 및 주행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경보를 못하거나 오
경보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
합니다.
- 곡선도로, 고속도로 진출입 램프구간, 톨
게이트 등
- 센서 주변 범퍼 표면이 눈, 비, 흙 등에 의
해 오염된 경우
- 센서 주변 범퍼가 외부 물체(스티커 혹은
자전거 거치대 등)에 의해 가려진 경우
- 센서 주변 범퍼에 충격이 가해져서 범퍼가
손상되거나 센서 위치가 틀어진 경우
- 차고높이 변화가 심하게 생긴 경우(타이어
공기압 이상, 트렁크의 과다 적재 등)
- 폭설 또는 폭우 같은 악천 후 날씨의 경우
- 보행자, 동물, 가드레일 및 터널과 같은 도
로 위의 고정된 물체가 인전합 경우
- 도로 및 주변에 비정상적으로 금속 성분이
포함된 경우 (지하철 공사구간 등)
- 버스 및 대형 트럭과 같은 대형 차량이 근
접 주행하는 경우
- 소형 이륜 원동기 혹은 자전거
- 짐이 없는 평평한 트레일러와 같은 차량
- 옆 차량과 동시에 출발하여 가속하는 경우
- 상대 차량이 옆차선에서 옆옆차선으로 이
동하거나 옆옆차선에서 옆차선으로 이동
하는 경우
- 상대 차량의 속도가 매우 빨라서 짧은 시
간에 자차를 추월 하여 지나가는 경우
- 자차가 차선을 변경하는 경우
- 가파른 오르막길, 내리막길이거나 차선 간
의 높이가 다른 도로 환경의 경우
- 상대 차량이 자차 후방에 매우 근접하여
주행하거나 근접상태에서 추월하는 경우
- 범퍼 주변부 온도가 높은 경우
- 차량 후방에 짐칸(트레일러 또는 캐리어
등)을 장착한 경우
- 차량 또는 주차장 기둥 및 벽 등으로 센서
주위가 가려진 경우
- 후진 시, 후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이동
하는 차량
- 사람, 쇼핑 카트, 유모차 등 크기가 작은
이동 물체
- 스포츠카와 같이 차체가 낮은 차량
- 나무나 풀이 무성한 좁은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실외 미러 경보등을 감지하기 어려운 경우
- 실외 미러 표면이 심하게 오염된 경우
- 차량의 윈도우가 심하게 오염된 경우
Page 344 of 459
5-73
시동 및 주행
5 •항상 지정된 타이어 공기압을 유지하십시오.
•급정차를 피하기 위해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하십시오. 연료의 절감은 물론 브레이크
패드의 과마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페달에 발을 올리고 운전하지 마십
시오. 연료소비가 높아지고 브레이크가 손상
될 수 있습니다.
•적절한 휠 얼라이먼트는 연료를 절감시키고,
타이어가 빨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정기적으로 검사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부품수명이 증가하고 비용도 절감됩니다.
OAG054083OAG054083
•급발진, 급가속, 급제동을 삼가십시오.
•정차 후 가속할 때는 천천히 가속하여 연료
를 절약하십시오.
•횡 바람과 역 바람이 불 때는 천천히 운전하
십시오.
•차량은 항상 정비가 잘된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에어컨은 필요할 때만 사용하십시오.
•도로조건이 좋지 않은 길은 피하는게 좋습니
다. 비포장도로 주행 시 하부부품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항상 주의하십시오.
•불필요한 화물을 싣지 마십시오.
OAG054069OAG054069
연료 소모량은 주로 운전자의 운전습관에 따라
달라집니다. 차를 운전할 때 다음 사항을 준수하
여 연료비 및 수리비를 절감하십시오.
•엔진 정차 중에는 엔진을 끄십시오.
•경제속도로 운전하십시오.
•고속 운전을 할 때는 창문을 열고 운전하지
마십시오. 연료 소비량이 증가합니다.
경제적 운전
Page 345 of 459
5-74
시동 및 주행
안전 운전
OAG054070OAG054070
•눈길이나 진흙탕 길, 모랫길에서는 2단 기어
를 사용하여 천천히 속도를 높이십시오. 차
바퀴가 헛돌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얼음이나 눈, 모래에 빠졌을 때는 모래를 깔
거나 타이어 체인을 감거나, 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물건을 바퀴 밑에 받쳐 놓아 바퀴가
굴러갈 수 있는 상태를 마련해 주십시오.
0험한 길에서의 주행
•험로를 주행할 때는 돌이나 나무 뿌리 등에
의하여 손상을 입을 수가 있으니 주의하여 주
행하십시오.
•요철이 심한 도로에서 양쪽 바퀴가 동시에 움
푹 들어간 곳에 빠지면 차체 바닥이 지면에
닿게 됩니다. 이러한 도로에서는 볼록한 곳을
따라 주행 하십시오.
•비포장도로, 눈길, 빙판길, 진흙탕 길을 주행
할 때는 속도를 낮추고 제동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십시오. 급하게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
지 마십시오.
주행 중에는 차의 상태에 항상 주의하여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즉시 안전한 장소에 세워 두고
점검를 하십시오. 또 원인이 불분명하거나 수리
가 곤란할 때는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나
블루핸즈에 연락하십시오.
•차의 주행 속도는 안전 속도 이내로 하고, 주
위의 차량 속도에 맞추어 차량 흐름이 원활하
게 이루어질 수 있게 조절하십시오.
•차선을 변경할 때는 미리 방향 지시등을 켜고
그 차선을 주행하는 다른 차량에 방해되지 않
도록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한 후 하십시오.
•경적음은 꼭 필요할 때만 울리십시오.
•운전자는 보행자를 세심히 배려함으로써 보
다 즐겁고 안전한 운전을 하도록 하십시오.
•주행 중에 경고등이 켜지면 즉시 안전한 장소
에 세워 두고 점검하십시오.
•급출발, 급가속, 급제동을 삼가십시오.
미끄러운 도로를 주행할 때 갑자기 저단으
로 변속하면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차의
속도를 갑자기 바꾸면 타이어가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 미끄러운 길에서 저단 변속을
할 때는 주의하십시오.
경 고
Page 346 of 459
5-75
시동 및 주행
5
0차 바퀴가 빠져 헛도는 경우
•물 웅덩이나 진흙, 모래, 눈 등에 차 바퀴가 빠
져 헛도는 경우, 보다 잘 빠져나올 수 있게 스
티어링 휠을 좌우로 빨리 움직이십시오.
•이때 엔진을 갑자기 가속하지 마십시오.
그러면 바퀴가 헛돌게 되어 더 빠지게 되고,
차가 프레임(바디)까지 묻힐 수 있습니다.
변속기를 「D」(주행) 와 「R」(후진)에 번갈아 두
면서 가속 페달을 부드럽게 밟아 빠져나오십
시오.
•필요하면 납작한 돌이나 나무 또는 이와 비슷
한 물건들을 타이어 밑에 놓아 미끄러지지 않
도록 하고, 차량을 앞뒤로 반복적으로 움직여
서 빠져나오십시오.
몇 번의 시도에도 탈출을 하지 못할때는 조작을
중지하고 견인하십시오.
•차가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에서 차 바퀴
가 헛돌면 타이어가 과열·폭발하여 주변
에 있는 사람이 다칠 수 있으므로, 차 바
퀴가 빠지면 빠져나오기 어렵다고 판단
되는 지역은 운전하지 마십시오.
•빠져나온 직후에 차가 갑작스럽게 움직
임으로 말미암아 예기치 못한 사고가
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주위가 안전한
지 충분히 확인한 후 빠진 곳에서 탈출
을 시도하십시오.
•가속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는 변속기의
위치를 변경하지 마십시오. 위험합니다.
경 고
•물 웅덩이나 진흙, 모래, 눈 등에 차 바
퀴가 빠져 헛도는 경우, 빠져나오기 위
해 바퀴 밑에 물건을 대어 놓고 시동을
걸 때 바퀴의 회전에 의한 사고나 차의
갑작스런 움직임에 대비하여 차 주위에
사람이 서 있지 않도록 하시고 안전하다
고 판단될 때만 빠진 곳에서 탈출을 시
도하십시오.
바퀴 밑에 대어 놓았던 물건이 바퀴의
회전에 의해 튀어나오거나 차가 갑작스
럽게 움직임으로 말미암아 사고가 나서
다른 사람이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347 of 459
5-76
시동 및 주행
OLF054057OLF054057ODH053133ODH053133
0야간 주행
야간 운전은 주간 운전보다 훨씬 많은 위험이 도
사리고 있으므로 다음의 운전 요령을 숙지하십
시오.
•야간 주행을 할 경우 마주 오는 차와 서로 교
차할 때는 전조등을 하향으로 향하게 하여 상
대방이 눈부시지 않도록 하십시오.
•비가 내리면 전조등의 빛이 노면에 흡수되거
나 젖은 장애물에 반사되어 앞이 잘 보이지
않게 됩니다. 항상 주의하십시오.
•속도를 줄여 차 간격을 충분히 유지하십시오.
가로등이 없을 때는 시야를 확보하기가 더욱
어렵습니다.
•전조등은 수시로 닦아서 깨끗이 관리하고 전
조등 각을 적절하게 조절하십시오.
0커브길 주행 시
커브길을 주행할 때는 브레이크를 밟거나 기어
를 변속하지 말고, 미리 속도를 줄인 후, 가능한
한 차체를 똑바로 유지하면서 도십시오.
OAG054071OAG054071
0악천후 시의 주행
•비나 눈이 내릴 때는 특히 차가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급브레이크 조작을 하지 마십시오.
•브레이크 장치가 젖을 정도로 물이 깊은 곳은
피해서 주행하십시오. 브레이크 장치가 젖으
면 제동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물이 고인 곳
을 주행하거나 세차한 후에는 반드시 브레이
크 성능을 점검하십시오. 물기 있는 도로를
주행한 후에는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천천히 운전하는 동안 여러 번에 걸쳐 브레이
크를 밟아 건조시키십시오.
Page 348 of 459
5-77
시동 및 주행
5
OAG054072OAG054072
•안개가 끼었거나 그 밖의 기상 상태로 인하여
시계가 나쁠 때는 차의 조명을 켜고 속도를
충분히 낮추어 운전 하십시오.
•폭우가 내릴 때는 시야를 확보하기가 더 어려
워 제동 거리가 더 많이 필요하므로 천천히
운전하십시오.
•와이퍼 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관리하십시오.
•와이퍼에 줄무늬가 생기거나 유리창이 잘 닦
이지 않으면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하십시오.
•타이어의 상태가 좋지 않은데 젖은 길이나 빗
길에서 급정차하면 타이어가 미끄러져 사고
가 날 수 있습니다. 타이어 상태를 항상 양호
하게 관리하십시오.
0고속도로 주행
•운전전 점검을 하십시오.
특히 연료, 냉각수, 엔진오일, 벨트류, 타이어
공기압 등을 점검하십시오.
•안전벨트는 반드시 착용하십시오.
•고속도로 진입 시는 방향지시등을 켜고 가속
차선에서 충분히 가속한 후 본선 차량의 속도
에 맞춰 진입하십시오.
OAG054073OAG054073
•차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스티어링 휠을
천천히 조작하십시오.
•터널 출구 부분을 나올때 횡풍을 받아 차체가
흔들리는 일이 있으면 침착하게 속도를 줄이
고 진로를 수정하십시오.
•고속도로에서 벗어날때는 미리 출구를 잘 확
인 하시고 방향지시등을 켜십시오.
출구를 지나쳐 버리게 되면 다음 인터체인지
까지 주행하십시오. 당황하여 급제동을 하게
되면 대단히 위험합니다.
Page 349 of 459
5-78
시동 및 주행
OAG054074OAG054074
•장마철이나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 등을 통과
할 때는 특별히 주의하십시오. 타이어 중앙부
분(타이어 휠 허브)이 잠길 정도로 수위가 높
으면 운전하지 마십시오. 물을 통과할 경우는
천천히 서행하고 물속에서는 제동성능이 제
대로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적당한 제동
거리를 유지하십시오. 물을 통과한 뒤에는 차
를 서행하면서 브레이크를 부드럽게 몇번 밟
아 브레이크를 건조시키십시오.
알아두기
엔진 브레이크(Engine Brake)란?
브레이크는 아니지만 엔진의 압축 압력을
이용하여 바퀴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제
동력을 얻는 것 즉 엔진에 브레이크 작용
을 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급제동은 미끄러질 위험이 있으므로 매우 위
험합니다.
•노면이 젖어 있을 때는 타이어가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속도를 낮추십시오.
•고속 주행시 브레이크 페달을 많이 사용하면
브레이크 장치가 과열되어 브레이크의 기능이
나쁘게 되거나, 브레이크액이 기화되어 브레
이크의 효과가 없게 되므로 매우 위험합니다.
엔진브레이크와 함께 효과적으로 사용하십시오.
0여름철 운전
•여름철에는 특히 엔진상태를 항상 점검하십시오.
•냉각수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라디
에이터에 흙, 먼지, 벌레 등 오물이 끼지 않도
록 점검하십시오.
라디에이터가 불결하면 냉각효과가 떨어져
엔진 과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age 350 of 459
5-79
시동 및 주행
5
겨울철 운전
•추운 날씨에는 여름과 달리 주의가 더욱 필요
합니다. 다음사항을 운전전 점검시에 추가로
점검하십시오.
1. 차의 밑부분 둘레에 있는 얼음 덩어리를
부품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제거하십시오.
2. 엔진을 시동하고 각종 페달이 평상시처럼
움직이는지 확인하십시오.
3. 앞·뒤 유리의 얼음이나 눈은 제거하십시
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가 유리에 얼어
붙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십시오.
•타이어 체인, 창문닦이, 유리창 성에 제거기,
모래나 소금부대, 경고판 그리고 야삽과 점프
케이블 등의 비상장비를 갖고 다니십시오.
•부동액 및 와셔액의 농도를 점검하십시오.
•엔진 시동 후에는 적당한 워밍업을 한 후 운
전하십시오. 추운 날씨에 엔진이 냉각된 채
로 운전하면 엔진에 큰 무리가 갑니다.
•배터리와 케이블 상태를 점검하십시오. 날씨
가 추우면 배터리 용량이 저하되어 엔진 시동
이 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엔진오일 점도 수준을 점검하십시오.
OAG064004OAG064004
•오버히트(과열시)는 기온이 높을 때만 발생하
는 것은 아닙니다. 추운 날씨에는 냉각수 중
에 부동액이 들어있지 않을 경우나 농도가 낮
을 때 엔진 내부가 동결되어 냉각수가 순환하
지 않으면 오버히트가 발생하게 됩니다.
•냉각수는 자사 순정 부동액과 물을 적정 비율
로 혼합하여 사용하십시오. 냉각수의 비율은
너무 높거나 낮아도 효과가 없습니다.
(7장, 「냉각수 점검」의 혼합비율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