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Blue City 2016 블루시티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31 of 166

5
시동 및 주행
5장 목차
시동 스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시동 스위치 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조향 핸들의 고정을 풀 경우 ...............................................5-2
엔진 시동 및 정지 ................................................................5-3
엔진 시동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하이브리드 모터 시동 조건 ................................................5-4
엔진 정지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IDLE STOP(아이들 스탑) ....................................................5-7
웜업 운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가속 페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변속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AMT(자동화 수동) 변속기 .................................................5-9
주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1
운전방법 ........................................................................5-11
브레이크 페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5
브레이크 페달 밟는 요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5
주행중의 브레이크 사용법 ...............................................5-16
보조 브레이크 연동 장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8
리타더 브레이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8
ABS 시스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9
ABS 경고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9
EBS 시스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1
브레이크 마찰재 수명증대를 위한 운전 요령 .......................5-23
디스크 브레이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3
주차브레이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3
언덕길 발진 보조 장치 ........................................................5-25
엔진시동 끄기, 주정차 ........................................................5-27
엔진 점검시 시동 및 끄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8
엔진 크랭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8
안전운전요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9
야간 주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9
여름철 운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9
겨울철 운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0
운전중의 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4
고속도로의 운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6
경제적인 운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7
최고속도 제한장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8

Page 32 of 166

시동 및 주행
5-2
0시동 스위치 위치
▶LOCK
핸들이 고정되는 위치
시동 키를 뽑아 핸들이 고정될 때까지 돌려주
십시오. 핸들이 고정되어 도난 방지가 됩니다.
▶ACC
엔진의 작동이 정지되는 위치
꼭 아이들링 상태에서 「ACC」 위치로 해주십시오.
▶ON
엔진 회전중 위치
모든 전기장치가 작동됩니다.
▶START
엔진의 시동을 걸 때 위치
엔진의 시동을 건 후 키에서 손을 떼면 자동적
으로 「ON」 위치로 돌아갑니다.
▶키를 빼는 방법
키를 「LOCK」위치로 하고 나서, 키를 안쪽으로
1~2mm 누르고 난 후 키를 빼냅니다. 다음에
조향 핸들을 서서히 움직여 고정합니다.
CO40AO1E-1ACO40AO1E-1A
0조향 핸들의 고정을 풀 경우
풀때는 조향 핸들을 가볍게 좌우로 돌리면서 키
를 「LOCK」에서 「ACC」까지 돌려 주십시오.
주행 중일때는 「ON」위치 이외로 절대 돌리지 마
십시오.
시동 스위치
LOCKLOCK
ACCACC
ONON
STARTSTART
EG30020B-AEG30020B-A

Page 33 of 166

시동 및 주행
5-3
0엔진 시동 방법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하게 체결을 한 후 변속 레
버의 중립상태 여부를 확인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시동키를 「ON」에 유지하십시오.
하이브리드 준비 표시등(READY)이 점등되면 엔
진시동을 거십시오.
하이브리드 준비표시등(READY)가 점등 되지 않
고 하이브리드 시스템 체크등 [HEV CHECK]이
계속 점등될 경우는 엔진으로 시동을 걸 수 있습
니다. 이때는 엔진경고등「」의 소등을 확인하
고 엔진시동을 거십시오. 시동후에도 HEV 작동
등이 점등되지 않으면 차량 점검이 필요합니다.
엔진 시동 및 정지
알아두기
엔진 경고등이 점등되는 시간은 고압연료
차단밸브가 완전히 개방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약2~3초간 소요됩니다.
•주행중「ACC」이나 「LOCK」위치로 돌리
면 시동이 정지됩니다. 전기 계통의 고장
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각 계기, 게이지,
스위치, 램프가 작동되지 않아 대단히 위
험합니다.
• 「LOCK」위치에서 실수로 키를 빼면 조
향 핸들이 고정이 되어 대단히 위험합니
다.
경 고
주 의
•가솔린엔진 시동 동력발생 시간을 1초라고
할 경우 CNG엔진 시동 동력발생은 약2초
정도로 길게 하십시오.
•처음 시동을 실패할 경우 30초정도의 여유
를 가진후 반복하십시오.
•시동시 가속 페달을 밟지 않아도 됩니다.
•기어변속 레버 위치가 중립 이외의 단에서
는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Page 34 of 166

시동 및 주행
5-4
0하이브리드 모터 시동 조건
•하이브리드 제어 시스템 관련 고장이 없는 경우 :
하이브리드 시스템 준비 표시등 「READY」 점
등 상태
•외기온도가 모터동작 가능 온도 이상일 경우
•변속 레버가 N(중립) 위치일 경우
•고전압배터리 충전상태가 모터동작 가능 조
건일 경우
1. C N G 차량은 시동 전에 액화된 CNG를 엔진
에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 일정한 압력이 형
성되면 시동을 걸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1-1. 엔진 시동 스위치를 「ON」위치로 하면 계
기판의 표시등(READY)이 점등됩니다.
단, 시동 스위치 「OFF」 후 짧은 시간 내에
다시 「ON」 시에는 점등되지 않을 수도 있
습니다.
1-2. 반드시 계기판의 시동대기 표시등
(READY)이 점등된 후에 엔진 시동을 거
십시오.
1-3. 시간이 지난 후 시동을 걸면 시동이 지연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엔진 시동 스위
치를「OFF」 한 후에 상기 과정을 통해 다
시 시동을 거십시오.
초기 시동이 걸리면 정상 공회전수보다 약간 상
승한 후 정상으로 됩니다.
(정상 공회전으로 되는 시간은 냉각수온도에 따
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웜업시 가속 페달을 밟아 엔진회전수를 올리지
마시고 웜업후 정상화된 후 운행을 하시면 엔진
에 무리가 없습니다. 웜업 운전시 연소된 연료가
배기관을 통하여 흰색으로 배출되는 것은 수증기
이며 정상 상태입니다.
C6GB엔진 600±50

Page 35 of 166

시동 및 주행
5-5
2.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ON」 위치, 변속 레버
「N」(중립) 위치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계
십시오.
3. 시동 스위치를 「START」위치까지 돌리고 키에
서 손을 떼십시오.
아주 추운 날씨(-18℃ 이하) 또는 며칠 동안 차
량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는 가속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로 엔진이 따뜻하게 될 때까지 기다
리십시오.
엔진이 차가운 상태이거나 뜨거운 상태라도
가속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시동을 거십
시오.
4. 출발할 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 밟은 상태
에서 변속 레버를 원하는 위치로 놓으십시오.
5.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시킨 다음, 브레이크 페
달에서 발을 떼어 차량이 서서히 움직이는 것
을 확인하신 후에 가속 페달을 밟아 천천히 출
발하십시오.
※ 엔진 시동 시 유의 사항
•하이브리드 시스템 준비표시등(READY) 점
등 상태에서 하이브리드 모터로 시동 불가능
한 상황일 경우 엔진 시동 모터로 시동을 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엔진시동이 걸릴 때 까
지(최대 10초) 시동스위치를 “START”위치
까지 돌리십시오.
•HCU 탈거 또는 하이브리드 시스템 준비표시
등(READY) 소등 상태에서는 엔진 시동 모터
로 시동이 걸립니다.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 초기 rpm이 높을 수
있습니다.
•엔진이 정상 작동 온도에 이를 때까지 엔진
소음이 날 수 있으며 브레이크의 제동거리가
다소 길어 질 수 있습니다.
•안전운행을 위하여, CNG 연료의 누출
여부는 매일 운행전에 점검/확인하십시
오. (연료의 누출이 확인되거나 냄새가
날 경우, 반드시 정비후 운전하시기 바랍
니다.)
•엔진 시동후 가속 페달을 조작하여 워밍
업 시키지 마십시오.
경 고

Page 36 of 166

시동 및 주행
5-6
0엔진 정지 방법
1.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
고 계십시오.
2.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변속 레버를
「N」(중립) 위치로 하십시오.
3.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
크를 작동시켜 놓으십시오.
4. 시동 스위치를 「LOCK」 위치까지 돌려 키를 빼
십시오.
주 의
•시동 스위치를 10초 이상 「START」 에 위치
시키지 마십시오. 엔진이 꺼지거나 한번에
시동되지 않을 때는 「LOCK」 위치에서 30
초간 기다린 후 재시도 하십시오.
•엔진이 시동되어 있을 때는 시동 스위치를
「START」로 하지 마십시오. 스타터가 손상
될 수 있습니다.
•고속 공회전을 삼가십시오.
10분이상 고속 공회전시 배기장치에 손상
을 줄 수 있습니다.
•차량 주행 중에 시동이 꺼지더라도 변속 레
버를 조작하지 마십시오.
브레이크를 밟을 때는 교통이나 도로 조건
이 허용된다면, 차량이 완전히 멈추기 전에
변속 레버를 「N」(중립)위치에 두고 시동 스
위치를 「START」 위치까지 돌려서 재시동
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주위가 밀폐되어 환기가 잘 되지 않는 공
간에서 장시간 엔진 시동을 걸어 두지 마
십시오. 배기가스에 의해 중독될 위험이
있습니다.
•엔진 rpm(회전수)이 높은 상태에서 브
레이크를 해제하면 차가 갑자기 움직일
수 있으므로 엔진 rpm이 안정될 때까지
기다려 출발하십시오.
•절대 가속 페달을 밟으면서 시동을 걸지
마십시오. 차가 갑자기 움직이게 되어 사
고의 원인이 됩니다.
경 고

Page 37 of 166

시동 및 주행
5-7
※ 엔진 정지시 유의 사항
•엔진 정지 직전에 고속 공회전을 삼가십시오.
•경사가 있는 곳에 주차 시킬 때는 변속 레버
를 무단변속기 차량은 「P」(주차) 위치로, 수동
변속기 차량은 오르막 길에서는 「1단」, 내리
막 길에서는 「R」(후진)로 놓고 타이어에 고임
목을 설치 하십시오.
•무단변속기 차량의 경우 주, 정차시 변속 레
버가 「P」(주차) 위치에 확실하게 변속되어 있
지 않으면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 의해 차량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주의 하십시오.
IDLE STOP(아이들 스탑)은 주행 중 차량이 신호
대기나, 정지할 경우 연료 소비를 줄이고 배기가
스를 저감 시키기 위해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켰
다가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면 자동으로 재시
동되는 기능입니다.(공조 시스템은 블로워만 작
동) 이들 조건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차량이 정지할 때 엔진이 정지하는 경우
- 차량은 일정속도 이상의 속도로 일정 시간
이상 운행 후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로
차량이 정지하면 엔진이 정지합니다.
▶차량이 정지할 때 엔진이 정지하지 않는 경우
- 엔진 냉각수 온도가 낮은 경우
- 엔진 냉각수 또는 흡기온도가 높은 경우
- 하이브리드 시스템 냉각수 온도가 높은 경우
- 고전압 배터리 충전량이 낮은 경우 충전을
위해 엔진은 계속 작동합니다.
- 일사량 및 외기온도가 높아 에어컨 스위치
3단 작동이 필요한 경우
- 24V 배터리 전압이 낮은 경우
- 브레이크 에어압력 경고등이 점등되는 경우
- 급경사에서 정차 시
- 핸들을 일정각도 이상 회전 시켰을 경우
- 엔진에서 금지 요청이 있을 경우
- 경사각 센서 이상 시
- 쿨링 시스템 고장 시
- 인버터 경고 시
※ 상기의 여러가지 사유로 차량 정지시 아이들
스탑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며, 문제현상은
아닙니다.
IDLE STOP(아이들 스탑)
급경사로에는 차량을 주차시키지 마십시오.
차량이 움직여 예기치 않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 고
IDLE STOP(아이들스탑) 상태에서 절대로
운전석을 비우지 마십시오. 재시동 되어 심
각한 사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38 of 166

시동 및 주행
5-8
▶차량이 정지한 후 엔진이 재시동 되는 경우
- 브레이크 페달 및 주차브레이크 레버가 해제
된 경우
- 변속 레버를 R(후진)로 조작한 경우
- 24V 배터리 전압이 낮은 경우
- 엔진 냉각수 또는 흡기 온도가 높은 경우
- 하이브리드 시스템 냉각수 온도가 높은 경우
- 시동키를 재조작하는 경우
- 가속 페달을 밟을 경우
시동이 걸리면 냉각수 온도계의 바늘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위치까지 웜업 운전을 실시해 주십시오.
•엔진 공회전(IDEL) 스위치를 돌려서 엔진의
회전이 가장 안정되는 낮은 회전수로 조정합
니다.
•웜업 운전시간의 단축이나 횐색연기가 지나
치게 나올 때는 엔진 공회전(IDEL) 스위치로
엔진회전을 약간 올립니다.
•웜업 운전후는 꼭 정상적인 공회전으로 되돌
립니다.
웜업 운전
급가속 및 급감속의 반복은 특히 연료를 많이 소
모시키므로 차간 거리를 충분하게 유지하면서 주
행해 주십시오.
가속시의 변속은 엔진의 회전이 최고 회전에 이
를 때까지 페달을 밟지말고 빨리 떼어 주십시오.
적당한 속도가 된다면 가속 페달은 가능한 한 일
정하게 유지 하십시오.
OPY057007OPY057007
가속 페달
장시간 운전석을 비울 경우는 반드시 시동
키를 뽑아 휴대하십시오. 잠시 자리를 비울
경우는 시동키가 「OFF」 위치에 있는지 항상
확인하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재시동되어
대형 사고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경 고
차고등 환기가 안되는 곳에서는 웜업운전을
하지 마십시오. 배기가스에 의해 사람, 동물
등이 질식사할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39 of 166

시동 및 주행
5-9
0AMT(자동화 수동) 변속기
AMT 변속기는 전진 6단 후진 1단으로 되어 있습
니다.
기어단의 선택은 레버의 위치, 차속, 가속 페달의
위치 등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변속 됩니다.
또한, M(수동 모드)를 선택하면 수동으로 변속단
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변속단의 표시는 계기판의 멀티 디스플레이에 표
시 됩니다.
※ 변속 레버는 「R」(후진), 「N」(중립), 「D」
(Drive), 「M」(Manual)로 구분되며, 조작시에
는 노브상단의 버튼을 깊숙이 누른 상태로만
가능합니다.
▶각 위치의 기능
•R(Reverse) : 후진
차량을 후진 시킬 때 사용 합니다.
반드시 차량을 완전히 정지시킨 후 「R」(후진)
위치로 변속 하십시오.
OCYHYB36OCYHYB36
변속기
•N(Neutral) : 중립
엔진 시동을 걸때 사용합니다.
변속기의 기어가 체결되지 않은 중립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며 교통체증 등에 의한 일시 정
지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 의
「R」(후진) 위치로 변속할 때나 「R」(후진) 위치
에서 다른 위치로 변속하고자 할 때는 차량을
완전히 정차 시키고, 「N」(중립) 위치로 변속 하
십시오. 차량이 움직이고 있는 도중에 「R」(후
진) 으로 변속 시키면 변속기가 손상될 수 있습
니다.
주 의
주행 중에는 「N」(중립) 위치로 변속하지 말아
주십시오. 엔진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게 됩
니다.

Page 40 of 166

시동 및 주행
5-10
•D(Drive) : 주행
통상 주행시 사용하며, 1단에서 6단 까지 변속
패턴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속됩니다.
95km/h 이상 차속에서 절대로 「2단」 또는 「1단」
으로 변속하지 마십시오. 변속기 내부의 기어
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PWR : 파워(Power) 스위치
엔진의 여유출력이 필요한 경우 변속시기를
늦추어 언덕길 주행이나 다른 차량을 추월할
때 사용합니다.
•LSS : 매뉴버링(Maneuvering)모드
저속 운전이 필요한 경우 사용하며 가속 페달
을 밟아도 엔진 회전(RPM)은 일정속도가 되
면 변하지 않습니다.
•M (Manual Mode) : 수동 모드(M, +, -)
수동으로 원하는 변속단을 선택할 때 사용합
니다.
변속 버튼을 「M」에 놓고 현재 변속단 보다 높
은 단수를 원할 때는 +, 낮은 단수를 원할 때는
- 를 선택 하십시오.
※ 특정 RPM에서는 부품 보호를 위하여 변속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OCYHYB37OCYHYB37
주 의
•주행 중 잠시 멈출 경우, 브레이크 페달을
확실히 밟지 않으면 차량이 움직일 수 있으
니 주의하십시오.
•오르막 길에서 멈춘 후 출발 시 변속 레버가
주행상태「D」(주행)에 있어도 가속페달 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으면 차량이 뒤로
밀릴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여 주십시오.
•다음 변속 조작을 할 때는 안전을 위해 브
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조작하는 습
관을 가지십시오. 「N」→「D」, 「N」→「R」
•출발에서 후진, 후진에서 전진으로 변속할
때는 꼭 차가 멈추고 나서 실시해 주십시오.
움직이고 있는 도중에 「R」로 변속하면 변속
기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주 의
필요시 이외는 사용을 삼가하십시오. 연료소모
과다 및 변속기의 내구성이 감소 될 수 있습니다.
주 의
일반 주행 중에는 사용하지 마십시오.

Page:   < prev 1-10 11-20 21-30 31-40 41-50 51-60 61-70 71-80 ... 170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