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Blue City 2016 블루시티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61 of 166
시동 및 주행
5-31
▶배터리의 손질
기온이 내려 갈수록 배터리 성능도 저하되므
로 배터리는 항상 완전 충전 상태로 유지 하십
시오.
AFRVOM159AFRVOM159
▶에어 탱크 물배출
운전 종료후 드레인 코크를 열어 탱크에 고여
있는 응축수를 압축 공기와 함께 배출시켜 주
십시오.
동결될 우려가 있습니다.
▶주행전의 점검
한랭시에는 다음 항목을 운행전 점검에 추가
하여 실시해 주십시오.
1. 차의 아래를 살펴보고 하체에 부착된 얼음
조각을 부품에 손상을 주지않도록 주의하
여 제거해 주십시오.
2. 엔진의 시동시에 가속 페달의 작동이 원활
한지 확인해 주십시오.
3. 와이퍼 블레이드가 유리에 얼어 붙어 있는
지 점검해 주십시오.
4. 눈길 운행시 펜더 뒷쪽에 부착된 눈이 얼
어 붙어 조향 핸들의 작동이 나쁘게 될 수
있습니다.
OCYHYB5-009OCYHYB5-009OCYHYB5-008OCYHYB5-008
Page 62 of 166
시동 및 주행
5-32
▶겨울철 주차요령
•옥외에 주차시는 차의 앞방향이 해가 뜨는
방향으로 주차해 주십시오.
•와이퍼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와이
퍼암을 세워 놓으십시오.
•주차는 평지에 하시고 고임목을 설치 하십
시오.
OCYHYB5-011OCYHYB5-011
•도로 상태에 따라 예기치 못한 상황(사고
및 기타)에 대비하여 바퀴가 구르지 않는
방향으로 조향 핸들을 돌려 주십시오.
•휠하우스 내측에 눈이 붙었을때는 야간에
빙결되어 조향 핸들이 회전되지 않을 염려
가 있으므로 제거해 놓으십시오.
▶도어 동결시의 처리
도어가 동결된 경우는 무리하게 열려고 하면
도어 주위의 고무가 벗겨지거나 갈라질 수가
있으므로 뜨거운 물로 얼음을 녹여 주십시오.
녹인뒤 수분을 완전히 닦아주십시오.
OCYHYB5-010OCYHYB5-010
시동시에는 반드시 변속 레버를 중립위치로
하십시오.
차가 갑자기 움직여 사고 발생 할 우려가 있
습니다.
경 고
Page 63 of 166
시동 및 주행
5-33
▶타이어 체인
● 스노우 타이어
차에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할 경우, 동일 사이
즈의 타이어 인지 확인하고 차량마다 타이어
가 견딜 수 있는 중량이 다르므로 규격에 맞는
타이어인지 확인하십시오.
모든 기상조건에서 차량 조향성의 균형을 맞
추기 위해서는 스노우 타이어를 각 바퀴에 모
두 장착하십시오.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고
건조한 도로를 주행하면, 원래 사양의 타이어
보다 마찰력이 작아 제동 거리가 길어질 수 있
으니 주의하십시오.
또, 날씨가 맑은 경우에도 항상 조심하면서 운
전하십시오.
● 타이어 체인
•후륜 구동 차량이므로 타이어 체인은 뒷 타
이어에 장착하십시오.
•타이어 규격에 맞는 체인을 사용하여 차체
를 보호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차량에 부적합한 체인을 사용할 경우에
는 차체를 손상시키므로 반드시 적절한 체
인을 사용하시고, 장착은 체인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설명서를 참조하여 차체에 손상
이 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눈길, 빙판길 외에는 체인의 사용을 삼가시
고, 체인 장착시에는 체인 제작사에서 추천
하는 규정속도 이하 또는 30km/h 이내로
주행하십시오.
•급커브, 급브레이크 등의 과격한 주행은 가
급적 피하십시오.
•래디얼 타이어는 구조상 옆면이 얇기때문
에 체인을 사용하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
로 가능한 스노우 타이어를 사용하십시오.
알루미늄 휠 장착 차량은 체인을 사용하면
휠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가능한 스노
우 타이어를 사용하십시오.
스노우 타이어의 규격과 형태는 차량의 표
준 타이어와 동등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차량의 안전성과 조향성능에 악영향
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경 고
주 의
•일반 체인 장착시 체인과 서스펜션 부품과
의 간섭으로 체인 연결고리가 손상 될 수도
있으니 반드시 KS 규격을 만족하는 체인
(수출지역은 그 지역 규격에 맞는 체인)을
사용 하십시오.
•체인 규격이 맞지 않거나 잘못 장착한 경우
는 차량의 제동라인, 서스펜션, 차체 및 바
퀴들을 훼손 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 하십시
오. 체인이 차량을 때리는 소리가 들리면 즉
시 차를 멈추고 다시 조여 주십시오.
•타이어 체인을 장착하고 약 50m 정도 주행
한 후 차체손상 여부 및 안전을 확인해야
하며 느슨할 경우 다시 조여 주십시오.
Page 64 of 166
시동 및 주행
5-34
OCYHYB5-012OCYHYB5-012
0운전중의 주의
•주행중 시동 스위치를 「ON」 이외에는 절대로
돌리지 마십시오.
•출발전 안전 벨트를 착용하여 주십시오.
•운행중에 조향 핸들을 최대한 돌린 채로 10초
이상 있지 마십시오. 파워 스티어링 펌프의
수명이 단축됩니다.
•급하게 조향 핸들을 조작하거나, 급브레이크
를 피해 여유를 가진 안전운행을 하십시오.
•급선회나 지그재그 운전은 차량이 전복될수
가 있어 대단히 위험합니다.
OPY057033OPY057033
•전륜 타이어에는 체인을 사용하지 마십
시오.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십시오.
•노상에서의 타이어 체인 장착은 교통이
복잡하지 않고 평탄한 곳에서 실시하십
시오.
•비상 경고등 및 비상 삼각대 등을 이용하
여 후방 차량에 충분한 주의를 주고, 안
전한 상태에서 실시해 주십시오.
•튀어나온 곳 또는 음푹 패인 곳을 주행하
거나 급격한 핸들의 조작은 타이어 체인
의 손상과 차체에 심한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운전하십시오.
경 고
주 의
전륜 타이어에는 체인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십시오. 불가피하게 전
륜 타이어에 체인을 장착 할 경우는 타이어 크
기와 동일한 크기가 체인을 장착해 주십시오.
타이어 체인 장착후 조향시에 회전 부분이 간
섭될 수 있습니다. 시동을 걸고 정차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핸들을 끝까지 완전히 돌려 확
인 하십시오.
운행 중에는 핸들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완전히 돌리지 마십시오.
Page 65 of 166
시동 및 주행
5-35
•운행중 경고등이 점등되었을 때는 즉시 안전
한 장소에 정차하고 조치를 취하여 주십시오.
•각부의 잡소리, 진동, 가속상태, 냄새, 조향 핸
들 조작 및 브레이크 작동상태등 이상을 느끼
면 즉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고 이상유무를
점검하여 주십시오.
•운행중 만일 엔진의 시동이 정지된 경우는 당
황하지 말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서 감속
하여 안전한 장소로 정차한 후 점검해 주십시
오. 또 조향 핸들이 상당히 무겁게 되므로 강
한 힘으로 조작하여 주십시오.
OCYHYB5-013OCYHYB5-013
▶험로, 악천후 시의 운전
자갈길이나 진창길등은 저단 기어로 가속 페
달을 일정하게 밟고 도중에서 기어 변속이나
가속은 피해 주십시오. 요철도로에서는 속도를
낮추고 차체 아래에 충격을 입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오.
OCYHYB5-014OCYHYB5-014
▶비의 경우는
비로 도로면이 미끄러울때에 급브레이크를 걸
면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주의 해주십시오.
비가 오기 시작할 무렵에는 제일 미끄러지기
쉬워 위험합니다. 커브를 돌면서 브레이크를
걸면 미끄러져 방향을 잃게 됩니다.
OCYHYB5-004OCYHYB5-004
Page 66 of 166
시동 및 주행
5-36
0고속도로의 운행
고속도로에서는 평범한 운전 실수도 대형사고로
연결됩니다.
•운행전 유의하여 점검을 실시해 주십시오.
특히 타이어, 냉각수, 연료, 엔진 오일, 팬 벨트
에 대해서 충분히 점검을 실시해 주십시오.
•계속적인 고속 주행은 엔진 이외에도 무리가
생깁니다. 여유를 갖고 주행 하십시오.
또 속도감이 없게 되므로 항상 속도를 확인하
십시오.
OCYHYB5-016OCYHYB5-016
▶안개의 경우는
미등 및 안개등을 점등시키고 중앙선 혹은 앞
차의 미등을 표시로 하여 저속으로 주행하여
주십시오.
OCYHYB5-015OCYHYB5-015
▶눈(빙결로)의 경우는
타이어 체인이나 스노우 타이어 등을 사용하
십시오.
※ 산악지역을 주행할 때는 도로정보에 주의
하여 빨리 체인이나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
하십시오.
속도를 낮춰 급브레이크를 밟지 않는 것도 좋
은 운전임을 명심하십시오.
OCYHYB5-012OCYHYB5-012OCYHYB5-012OCYHYB5-012OCYHYB5-012OCYHYB5-012
주 의
안개 낀 지역에서는 서행 운행하시고 안개 지
역을 벗어날 경우는 안개등을 꼭 꺼주십시오.
반대편 차량에 눈부심유발로 사고가 날 수도
있습니다.
Page 67 of 166
시동 및 주행
5-37
•급하게 조향 핸들을 조작하거나, 급브레이크는
대단히 위험하므로 절대로 피해 주십시오.
•차간 거리는 충분히 유지하십시오. 차간거리
는 적어도 운행속도와 동일한 거리만큼 유지
하십시오. 80km/h에서는 80m이상입니다.
•고속일수록 연료가 많이 소모됩니다. 속도를
줄이고 연료는 여유를 두고서 운행하십시오.
100km/h운행시의 연비는 40km/h 운행시의
약 1.5~1.7배 정도가 더 소비됩니다. 고속도
로는 80km/h정도로 운행하는 것이 경제적인
운행입니다.
OCYHYB5-017OCYHYB5-017
•고속 운행시 커브길은 충분히 속도를 낮춰 주
십시오. 고속 급선회하는 일은 대단히 위험합
니다.
•비가 올 때 고속주행하면 타이어가 노면으로
부터 뜨게되어 (하이드로 플래이닝 현상)조향
핸들이나 브레이크가 전혀 효과가 없게 되는
수가 있습니다. 꼭 속도를 떨어 뜨리고 운전
하여 주십시오.
알아두기
하이드로 플래이닝 현상(Hydro planing)
자동차가 물이 고인 노면을 고속으로 주행
할 경우 물의 저항으로 타이어가 부상하여
엷은 수막 위를 활주하는 현상입니다.
0경제적인 운전
안전하고 경제적인 운전을 위해 다음 사항을 유
의해 주십시오.
•운행전 점검, 정기점검을 꼭 실시하십시오.
•웜업 운전을 실시하십시오.
수온계의 바늘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정도까지
웜업을 실시해 주십시오.
•가속시의 변속은 엔진을 최고 회전수까지 올
리지 말고 재빨리 실시하십시오.
OCYHYB5-018OCYHYB5-018
Page 68 of 166
시동 및 주행
5-38
•공회전, 급출발, 급가속은 삼가하십시오.
•타코미터의 초록색 범위내에서 운행하여 주
십시오.
•적당한 속도에 이르면 가속 페달을 가능한 한
일정하게 유지하십시오.
가감속의 반복은 특히 연료를 많이 소모시킵
니다. 차간거리를 충분하게 유지하여 주행하십
시오.
•올바른 타이어 공기압으로 운행하십시오.
•불필요한 물건은 싣지 마십시오.
•하이브리드 효과를 극대화 하기위해서는 급
출발 및 급가속을 삼가하십시오.
OCYHYB5-019OCYHYB5-019
최고속도 제한장치는 11인승 이상 승합차 및 차
량 총 중량이 3.5톤을 초과하는 화물자동차, 특수
자동차에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장치이며, 법에서
정하는 최고속도(승합자동차: 110km/h, 화물자
동차, 특수자동차: 90km/h)이하로 제한하는 장치
입니다.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줄이고, 연비 향상 및
차량 정비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차량 속도가 제한속도에 도달하면 가속페달을
밟아도 더 이상 속도가 올라가지 않으므로 무
리하게 가속 페달을 밟지 마십시오.
최고속도 제한장치는 법규에 따른 의무 장
착 장치로서 임의로 해제하는 경우 법의 저
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경 고
OPY056054OPY056054
최고속도 제한장치
Page 69 of 166
6
비상시 응급 조치
6장 목차
주행중 경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비상경고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고장이 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엔진시동이 안걸릴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배터리 방전시 점프 스타트 요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전기장치 고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퓨즈박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퓨즈 박스 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퓨즈의 교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퓨즈 박스 커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메인 퓨즈 박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엔진 오버히트 (과열시) ........................................................6-7
잭의 설치 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타이어 펑크시의 조치 ...........................................................6-9
O.V.M 공구 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잭 사용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0
잭 에어빼기 작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2
타이어의 교환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3
휠 너트의 재조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5
스페어 타이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6
견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7
견인 트럭으로 견인시 .....................................................6-17
견인차가 아닌 일반차량으로의 견인시 ............................6-17
와이어 각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9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6-20
고장이 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0
노상에서 주행중 고장이 난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0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비상 삼각대) .............................6-21
건널목에서 시동이 꺼진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1
주행중 시동이 꺼진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2
사고 및 차량 화재시 응급조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2
비상용 망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3
폭설시 행동요령 ................................................................6-24
Page 70 of 166
비상시 응급 조치
6-2
주행중 경고고장이 나면
0비상경고등
고장이나 펑크 등 긴급시 노상 주차할때 다른차
에 알려주기 위해 사용합니다.
레버를 위로 당겨 올리면 방향지시등이 모두 점
멸됩니다. 다시 레버를 위로 당겨 올리면 소등됩
니다.
만일 차량이 고장이 난 경우는 당황하지 말고 뒷
차에 주의하면서 서서히 속도를 줄이고 다른 차
에 교통의 방해가 안되고 시계가 양호한 안전한
장소에 차를 세웁니다.
•비상 경고등을 점멸시킵니다.
•고장 표시판을 세워 놓습니다.
•고속도로 경우 100m 후방에, 일반도로 경우
70m이상 후방에 고장 표시판을 세워 놓습니다.
•흰 천 등을 눈에 띄는 곳에 달아 둡니다.
※ 고장 표시가 없으면 뒷 차에 추돌될 수가 있습
니다. 차를 세운뒤 꼭 고임목으로 고정시켜 주
십시오.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도 있습니다.
자신이 수리가능 할 때는 다른 차의 통행에 주의
하여 작업해 주십시오.
수리가 불가능할 때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및
블루핸즈에 연락하여 주십시오.
OPY047048OPY047048OCYHYB2-006OCYHYB2-006
고속도로 100m고속도로 100m일반도로 70m일반도로 70m
주 의
•엔진이 회전하고 있지 않을때 장시간 사용
하면 배터리 방전을 일으켜 엔진의 시동을
걸 수 없습니다.
•비상시 이외 사용은 삼가 하십시오. 다른차
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위 또는 터널안에서 정차 또는 수
리는 대단히 위험합니다.
경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