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Ioniq Electric 2016 아이오닉 Electric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481 of 879
45
전기자동차 주행
0주행 가능 표시등
차량이 주행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며 시동 후 주
행 준비가 완료되면 켜집니다.
- 켜짐 : 정상 주행 가능 상태
- 꺼짐 : 정상 주행 불가능 상태, 고장 발생시
- 깜빡임 : 비상 운전 상태
표시등이 꺼지고, 깜빡일 경우 이상이 발생한 것
이므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
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0서비스 경고등
시동을 「ON」 하면 경고등이 켜졌다가 3초 후에
꺼집니다.
전기차 제어 시스템 관련한 센서의 고장이나 액
츄에이터, 에어컨용 전동압축기 등에 이상이 있
을 때 켜집니다.
주행 중에 경고등이 켜지거나 시동 후 꺼지지 않
는 경우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나, 전기차
지정 블루핸즈에 점검,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0파워다운 경고등
다음과 같은 경우, 전기차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
출력이 제한되는 경우에 켜집니다.
- 구동용 배터리의 잔량이 일정량 이하 일때,
전압이 낮아지고 있을 때, 모터나 구동용 배
터리의 온도가 높거나 낮을 때, 냉각 시스템
에 이상이 있을 경우, 정상적인 주행에 문제
가 되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
경고등 및 표시등 (전기차 관련)
WLFH-001WLFH-001WAEE-200WAEE-200WEA-300WEA-300
주 의
•파워다운 경고등이 켜져 있을때는 급가
속이나 급출발을 하지 마십시오.
•구동용 배터리의 잔량이 적을때는 즉시
충전하십시오.
Page 482 of 879
46
0충전 표시등
구동용 배터리 충전 상태를 표시합니다.
충전중일때 적색등이 켜지며,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등이 켜집니다.
0구동용 배터리 잔량
경고등
구동용 배터리의 잔량이 적을 때 경고등이 켜집
니다. 경고등이 켜지면 바로 충전하십시오.
경고등이 켜지면 배터리 잔량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가 20~30km 이내가 되므로 즉시 충전하십
시오. (단,주행가능거리는 주행 조건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전기자동차 주행
0회생제동 경고등
브레이크 계통에 이상이 생겨 회생제동이 작동
하지 않고, 브레이크 성능이 다소 떨어지는 경우
브레이크 경고등과 회생제동 경고등(노란색)이
동시에 켜집니다. 이때는 안전하게 주행 후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나 전기차 지정 블루핸즈에 점
검 및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이 경우 정상 상태보다 브레이크 페달 조작량이
길어 질 수 있으며 제동거리가 길어질 수 있습니
다.
WAEE-201WAEE-201WPSE-303WPSE-303
WAE-205WAE-205WAE-204WAE-204
Page 483 of 879
47
•차량 화재가 발생하면, 전기 화재 전용
의 분말 소화기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화
하십시오. 전기 화재 전용 분말 소화기
가 없을 경우에는 충분한 양의 물을 이
용하여 화재를 진화 하십시오. 소량의
물 또는 부적절한 소화기를 사용하면 전
기 충격으로 인해 상해를 입을 수 있습
니다.
경 고
차량 사고 및 화재 발생 시 응급조치
전기자동차 안전 주의사항
OAEEQ016056OAEEQ016056
•차량 사고가 발생 하였을 경우에는 차량
을 안전한 장소에 이동시킨 후, 고전압
의 전기 누출을 방지하지 위해 차량 시
동을 끄고 보조 배터리(12V)의 단자를
분리하여 전원을 차단하십시오.
•차량 내부나 외부에서 보았을 때 노출
된 전선이 있을 경우 전선을 만지지 마
십시오.
또한, 고전압의 전선(주황색)과 커넥터
그리고 모든 전기 부품 및 장치를 만지
지 마십시오. 전기 충격이 발생하여 상
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경 고
•차량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구동용(고
전압) 배터리가 파손되어 인체에 유해
한 가스 및 전해액이 누출 될 수 있습니
다. 누출된 액체가 피부에 접촉되지 않
도록 주의 하십시오.
가연성 가스 및 유독 가스 누출이 의심
이 되면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고 안
전한 장소로 대피하십시오. 만일 누출된
액체가 눈에 들어가거나 피부에 접촉되
면 즉시 흐르는 물 또는 소금물로 신체
접촉 부위를 세척한 후 의사의 진료를
받으십시오.
경 고
Page 484 of 879
48
•견인이 필요하다면, 네 바퀴를 모두 들
어 올려 견인하십시오. 만약 두 바퀴를
이용하여 견인 시에는 구동되는 바퀴인
앞바퀴를 들어 올려 견인 하십시오.
경 고
•구동되는 앞바귀가 지면에 닿은 상태로
견인을 할 경우 차량 모터에서 전기가
발생하여 모터 부품이 손상 되거나 화재
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배터리 화재 발생한 차량의 경우 2차 화
재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차량 이동
및 견인 시 반드시 소방차와 함께 이동
조치 하십시오.
경 고
전기자동차 안전 주의사항
OAE066019OAE066019
OAEE066015OAEE066015
••상차 견인상차 견인
돌리돌리
돌리돌리
••타이어 구속 견인타이어 구속 견인
••타이어 구속 견인타이어 구속 견인
신속한 화재 진압이 불가능 할 경우 구동
용(고전압) 배터리가 가열되어 폭발할 수
있으니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고 사람들
이 접근하지 않도록 하여 주십시오.
소방서 등 응급기관에 연락하여 전기차
량 화재 임을 알리고 조치를 받으십시오.
•차량이 침수 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시동
을 끄고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고 소방
서 등 응급기관 및 자사 직영 서비스 센
터나 전기차 지정 블루핸즈에 연락하여
조치를 받으십시오.
경 고
Page 485 of 879
49
전기자동차 기타 주의 사항 서비스 플러그
•차량 사고 등으로 도장을 하고 고온 열처리를
할 경우 구동용(고전압) 배터리의 성능이 저
하될 수 있습니다.
고온 열처리가 필요할 경우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나 전기차 지정 서비스 협력사에
문의 바랍니다.
•모터룸 내부 청소 시 고압 세차나 물 세척을
하지 마십시오. 고전압 누전에 의한 감전을
일으킬 수 있고, 부품손상 등 차량의 전기 계
통의 이상을 초래하여 차량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 순정부품을 사용하거나 임의 개조 장착을
하지 마십시오. 전기 동력 시스템의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뒷좌석 중앙 하단부에 구동용 배터리 냉각을
위한 공기 흡입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우
산, 신발 등으로 공기 흡입구 통로가 막히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공기 흡입구에 이물질
을 흘리거나 넣지 마십시오.
OAEE036004OAEE036004
전기자동차 안전 주의사항
OAEEQ016057OAEEQ016057
주 의
화물칸 안에 위치한 서비스 플러그는 절대
로 만지지 마십시오. 서비스플러그는 차량
을 수리할 경우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나 전
기차 지정 블루핸즈에서 배터리 고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함부로 취급할
경우 감전 등 위험할 수 있습니다.
Page 486 of 879
50
친환경 마크
NO.Part Name
Bio Materials Part
1 SKIN-C/PAD MAIN
2SKIN-DR TRIM UPR
3 NON WOVEN - HEADLINER
4THREAD-FLOOR CARPET
5THREAD-FLOOR MAT
6FLOOR CONSOLE - MAIN, REAR
FLOOR CONSOLE - UPPER
7
PILLAR TRIM - FRONT
PILLAR TRIM - REAR
PILLAR TRIM - CENTER LWR
8DOOR SCUFF - FRONT
DOOR SCUFF - REAR
9DOOR TRIM - FRONT LWR, REAR MAIN
10COWL SIDE TRIM
11SKIN-SUNVISOR
12COVERING SHELF
13 REAR TRANVERS TRIM
14LUGG SIDE TRIM
15 SEAT FABRIC
친환경 마크 친환경 부품 적용 리스트
현대차 ‘IONIQ 전기차’ 는 내장재에 친환경 바이
오 플라스틱, 섬유, 보드 등을 사용하였으며, 철
저한 심사와 부품 검증을 통해 바이오 소재 적용
중량 20,450g, 식물유래 탄소(C14) 함량비 9%
인 점에 대해 세계최초로 UL 바이오 환경마크를
차량에 부착하고 있습니다.
이번 환경마크로 ‘IONIQ 전기차’ 는 배기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성에 더해 내장재에
적용된 바이오 소재도 화석연료를 이용한 기존
의 소재와 달리, 광합성을 통해 지속적으로 재생
가능한 식물자원(Biomass)을 이용하였기 때문
에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발생을
억제하고 석유자원 고갈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Page 487 of 879
사람이 다치거나 사망의
우려가 있는 경우의 경고
표시입니다.
경 고 주 의
차량이 고장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는 경우의 주의
표시입니다.
※ 본 취급설명서는 고객 및 차량의 안전과 관련한 심각한 위험과 제품 사용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사전에 알리는 안전경고 표시입니다. 지시사항
은 반드시 숙지하여 지켜주십시오.
경고, 주의표시
경고, 주의가 있는 문장 및 진하게 표시되어 있는 부분은 특히 유
념하십시오.
선택 또는 미장착 사양표시 □□□□ □□
본 취급설명서에는 모든 트림모델 및 선택사양을 포함하여 설명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객님 차량에 장착되지 않은 사양이 설명 될 수 있습니다.
차량 용어 또는 추가 설명
이 필요한 정보 표시입니
다.
알아두기
안전을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하는 금지 표시입니다.
안전 및 차량 손상 경고
Page 488 of 879
내용 찾기 방법 설명
점검방법이어느 장에 있지클러스터이온발생기가어디지...
이 스위치가뭐지?
목차를 활용하세요.
내용으로 찾을 때
그림 목차 (내관도 I ) 를 활용하세요.
명칭을 모를 때
색인(명칭) 목차 활용하세요.
명칭으로 찾을 때
Page 489 of 879
제작결함 안내
자동차제작자등(부품제작자등) : 현대자동차(주)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릉로 12(양재동)
연락처 : 080-600-6000
제작결함 안내 (제50조 관련)
귀하의 자동차 또는 자동차부품에 잦은 고장 등의 문제로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결함이 있다고 판단되면, 자기 및 다른 사람의 안전
을 위하여 즉시 현대자동차(주)와 제작결함조사를 시행하는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소비자 불만사항 등을 접수하여 분석한 후 해당 자동차 또는 자동차부품에 제작결함의 가능성이 있
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작결함조사를 실시하여 해당 제작사에게 제작결함시정(recall) 등의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자동차 또는 자동차부품 결함 등 소비자 불만 접수창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전화 : 080-357-2500
•인터넷 홈페이지 : 제작결함정보전산망(www.car.go.kr)
Page 490 of 879
사고기록장치 세부 안내문 (제30조의2제1항 관련)
이 자동차에는 사고기록장치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사고기록장치는 자동차의 충돌 등 사고 전후 일정시간 동안 자동차의 운행 정보 (주행속도, 제동페달, 가속페달 등의 작동 여부)를 저장
하고,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사고기록정보는 사고 상황을 좀 더 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