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Ioniq Electric 2016 아이오닉 Electric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501 of 879

2-4
안전 및 주의 사항
0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벨트 착용
모든 좌석의 탑승자들은 가까운 거리라도 주행
전에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하십시오.
1. 탑승자가 기대거나 구부리지 않고 좌석에 깊
게 걸쳐 앉아, 등을 등받이에 기대어 똑바로
앉은 상태여야 합니다.
2. 안전벨트의 어깨띠 부분은 가슴 부위를 지나
도록 해야 합니다.
3. 안전벨트가 꼬이거나 짓눌린 상태에서 주행
하지 마십시오.
4. 안전벨트의 골반띠 부분이 부드럽게 골반 부
분을 지나도록 해야 합니다.
5. 안전벨트를 버클에 ‘찰칵’ 소리가 날 때까지
확실하게 밀어 넣으십시오.
탑승자 전원 안전벨트를 착용하십시오.
• 3점식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없는 어린이의
경우는 안전벨트를 직접 사용하지 말고 뒷좌
석에 어린이 전용 보조시트에 앉히십시오.
•주행 중 어린이를 무릎에 앉히거나 팔로 안고
있지 마십시오. 경미한 충돌 사고라 할지라도
어린이를 놓칠 수 있습니다.
• 임신 중의 여성이나 환자는 급정차, 충돌 사
고 등의 경우 복부 등에 강한 힘을 받을 수 있
으므로 의사와 상의하여 사용하십시오.
1O-BELT021O-BELT02
안전벨트 착용운전석 주변은 항상 깨끗이
•운전석 주변은 항상 깨끗하게 유지하십시오.
빈 깡통 등이 페달 밑으로 굴러 들어갈 경우 페
달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어 매우 위험합니다.
•바닥 매트는 페달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너무 두껍지 않으면서 바닥에 고정되
는 제품이어야 합니다.
•실내에는 화물을 좌석높이 이상으로 적재하
지 마십시오.
ODH023003ODH023003O-BELT03-1O-BELT03-1

Page 502 of 879

2-5
안전 및 주의 사항
2
0 기타 주의사항
1. 벨트의 어깨띠를 팔 밑으로 하거나 등뒤로 하
지 마십시오.
2. 안전벨트의 어깨띠가 목이나 얼굴을 지나지
않도록 하십시오.
3. 벨트 하나로 한번에 두 사람 이상이 함께 착
용하지 마십시오.
4.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로 좌석 등받이를 뒤
로 눕히면 만일의 경우, 안전벨트 아래로 신
체가 빠져나와 안전벨트에 목이 걸리거나 심
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ODH023004ODH023004
에어백 관련 주의사항
0에어백은 보조 안전장치입니다.
에어백은 안전벨트에 의한 충격보호기능을 보조
하기 위해 개발된 보조안전장치의 하나입니다.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일지라도 반드시 안전벨트
를 착용해야 충돌이 발생한 경우 에어백이 제공
하는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안전벨트를 착
용하지 않으면 충돌이 발생한 경우 실명, 상해,
사망 등의 신체적 불이익을 입을 수 있습니다.
에어백이 작동될 때는 탑승자의 상체와 에어백
과의 거리가 멀수록 안전하기 때문에 차량운전
전 운전자나 승객은 가능한 한 좌석을 뒤로 이동
시켜 앉으십시오.
0유아/어린이의 에어백 관련 주의사항
OHM028008OHM028008ODH026030ODH026030
ODH026031ODH026031

Page 503 of 879

2-6
안전 및 주의 사항
▶차량운전 상태에서 탑승한 아이들을 안전
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사항을 지
키십시오.
•아이들은 항상 뒷좌석에 앉히십시오.
동승석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은 동승석에 유
아용 보호장치를 설치하지 마십시오. 특히 차
량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설치 시 에어백
작동에 의해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
니다. (그림 참조)
• 약 10-15세 정도(신장에 따라 다름)의 어
린이를 동승석에 앉혀야 할 경우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시키고 가능한 한 좌석을
뒤쪽으로 밀어 에어백과 거리를 멀리하도
록 하십시오.
아이를 안고 타지 마십시오.
특히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서 동승석
탑승시 아이를 안고 탑승하면 더욱 위험
합니다.
• 유아 탑승 시에는 반드시 뒷좌석에 유아
용 보호장치를 장착하여 앉히십시오.
주·정차 중 차내 수면 금지
ODH023005ODH023005
어린이나 유아 및 임산부, 노약자는 동승석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의 동승석에는 절대
앉히지 마십시오. 또한 유아용 보조시트도
장착하여 운전하지 마십시오. 사고시 에어
백 팽창충격으로 안면부상 및 사망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경 고
장시간 주·정차할 때에는 반드시 시동을 끄
십시오.
무의식 중 변속버튼을 누르거나 가속 페달
을 밟아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질식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장시간 주차 및
정차 중에 창문을 닫은 채로 차 안에 계시
거나 수면을 취하지 마십시오. 특히 시동을
걸고 에어컨이나 히터를 켠 상태로 밀폐된
차 안에 오래 있을 경우 질식사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경 고

Page 504 of 879

2-7
안전 및 주의 사항
2
음주·과로 운전 금지
휴식을 취하지 않고 계속 운전하면 졸음이 오게
되어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장시간 운전 할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최소한 2
시간마다 휴식을 취하십시오.
ODH023006ODH023006
•가연성 물질을 싣지 마십시오.
•여름철과 같이 차안의 온도가 급상승하는 경
우에는 밀폐된 차안에 가스라이터 등 인화성·
폭발성 물질을 두지 마십시오. 폭발할 수 있
습니다.
인화성·폭발성 물질 차내 방치 금지
OAEE026002OAEE026002
• 음주 운전은 절대로 하지 마십시오.
음주는 운전자의 판단, 시력과 근육 조
절을 저하시키고, 소량일지라도 운전자
의 반사신경, 인식, 판단에 영향을 미칩
니다. 그렇기 때문에, 운전자 뿐만 아니
라 승객, 상대차량 탑승자의 생명을 위
협할 수 있습니다.
• 약물을 복용하고 운전하는 것은 복용한
약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음주운전 보다
도 위험할 수 있으므로 약물 복용 후에
는 차량을 운전하지 마십시오.
경 고

Page 505 of 879

2-8
안전 및 주의 사항
창문 밖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내밀지 마십시오.
대단히 위험합니다. 특히, 어린이와 함께 탈 경우
는 항상 주의하십시오.
창문 밖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내밀지 말 것
OAEE026003OAEE026003
주행 중에는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브레이크의 성능저하 및 스티어링 휠 조작이 불
가능하게 되어 매우 위험합니다.
주행 중 시동 정지 금지 정차 또는 주차 중 휴대전화 사용 요령
OAEE026004OAEE026004OAEE026005OAEE026005
차내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AVN로 부터 잡음
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AVN의 고장이 아닙
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휴대전화를 AVN에서 될
수 있는 한 멀리 떨어져서 사용하십시오.
차내에서 휴대전화나 무전기 등을 사용할 경우
는 별도의 외부안테나 또는 핸즈프리가 장착된
차량은 핸즈프리를 사용하십시오. 무전기 자체
의 내부 안테나를 사용하시면 차량의 전기 장치
에 영향을 주어 안전운전에 나쁜 영향을 줄 수가
있습니다.

Page 506 of 879

2-9
안전 및 주의 사항
2
주행 중 휴대전화의 사용은 법으로 금지되
어 있습니다.
주행 중 운전자가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
은 매우 위험합니다.
휴대전화는 반드시 차량을 안전한 곳에 주·
정차시킨 후 사용하십시오.
경 고
어린이는 적정 보호구 착용과 함께 뒷좌석에
OAE036028OAE036028
차 안에 어린이만 남겨두면 위험
•차에서 떠날 때는 어린이와 함께 가십시오.
어린이만 차 안에 남겨둘 경우 차 내의 안전
과 관련된 장비를 만져 의외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차안의 온도가
올라가고 겨울철에는 추워지므로 대단히 위
험합니다.
•시동 키는 어린이 손에 닿지 않도록 항상 잘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운전장치를 만지는 등
의외의 사고를 방지하십시오.
ODH023011ODH023011
어린이는 보호자와 함께 뒷좌석에 태워 안
전벨트나 적절한 보호장구를 착용하게 하
시고, 실내에서는 뒷도어를 열 수 없도록
어린이 보호용 잠금 장치를 작동시키십시
오. 만약 적절한 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으
면 급제동 또는 충돌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매우 위험합니다.
경 고

Page 507 of 879

2-10
안전 및 주의 사항
•동승자에게도 주위를 환기시켜 도어를 열 때
안전사고가 발생치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차를 후진할 때는 미러에만 의존하지 말고 직
접 후방을 확인하십시오.
주위 안전 확인
OAEE026006OAEE026006
•주행 전에 반드시 도어가 잠겼는지 확인하십
시오. 주행 중 무심코 안쪽 도어 핸들을 만지
다 보면 도어가 열려 대단히 위험할 수 있습
니다.
OAEE026012OAEE026012
주행 시 도어·테일게이트는 잠금 상태로
주차할 때는 반드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놓은 후 변속버튼을 눌러 「P」(주차)를 선택하고
바퀴에 고임목을 설치하십시오. 급경사 길에는
주차하지 마십시오. 또한, 습기가 많고 통풍이 잘
되지 않는 차고에 주차하지 마십시오.
주차 시 바퀴에 고임목 설치
OAEE026007OAEE026007

Page 508 of 879

2-11
안전 및 주의 사항
2
교차로나 건널목의 한 가운데서 시동이 꺼졌을
때는 주위의 가까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아 차
를 안전한 장소까지 이동시키십시오.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 때
OAEE026008OAEE026008
•차량에 임의로 배선을 사용 시에는 차량의 성
능 저하 및 손상을 유발하여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AVN 또는 도난 경보 장치, 원격 시동
장치, 카폰이나 무전기 장착 시 임의로 배선
을 사용 시에는 차량의 손상 또는 화재가 날
수 있습니다.
편의장비 추가 장착 시 임의배선 사용 금지
OAEE026009OAEE026009
본 차량은 어떤 식으로도 개조해서는 안됩니다.
차량의 성능, 내구성,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
을 뿐만 아니라 개조로 인한 문제 발생 시 보증수
리를 받으실 수 없습니다.
※ 출고 시 차량에 설치되지 않은 비인가 전기장
치(램프류, 블랙박스, 전기기기, 통신기기, 진
단기기 등)를 임의로 장착하는 개조를 할 경
우 차량의 이상 작동, 배선 손상, 배터리 방전,
커넥터 손상, 화재 등을 초래하여 차량 안전
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주의 바랍니다.
차량 개조 금지
OAEE026010OAEE026010

Page 509 of 879

2-12
안전 및 주의 사항
•작업 시 잘못하면 배선의 합선이나 단선 등으
로 인해 잡음, 통풍 불량, 화재 발생 등의 원인
이 되니 주의하십시오.
•시트커버나 각종 비닐커버를 씌울 경우에는
배선이나 통풍구에 유의하십시오. 배선의 합
선 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종 시트커버류 작업시 유의
OAEE026011OAEE026011
사이드 에어백 장착 차량의 경우, 시트커버
를 교체하거나 비닐커버 등을 장착하지 마
십시오.
에어백 작동을 저해하여 심각한 상해를 야
기할 수 있습니다.
경 고
꼭 필요한 사항이 있을 시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문의하십시오.
위험하지 않은 간단한 점검 및 정비 이외에는 반
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이용
차량에 최적인 자사 순정부품을 사용해야만 안
전하고, 최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순정부품은 자사가 품질 및 성능을 보증하는 부
품입니다.
비순정부품의 사용은 차량의 성능 저하와 고장
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순정부품의 사용
ODH023023ODH023023
•스티커•포장
•홀로그램

Page 510 of 879

2-13
안전 및 주의 사항
2
•운전경력이 많은 운전자의 경우라도, 수시로
차량을 바꿔가며 운전을 할 때는 차량간의 페
달 위치를 잘못 인식하여 페달을 오조작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가속 페달과 브레이
크 페달의 위치를 오른발로 확인하십시오.
•동력발생장치와 제동장치는 별개의 장치이므
로, 오조작 및 차량의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
라도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차량은 멈추게
되므로 침착하게 행동하십시오.
•차가 눈이나 진흙, 모래 등에 빠져 움직이지
못할 경우 차를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해 과도
하게 가속 페달을 밟으면 타이어가 슬립되어
감속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타이어가 슬
립되는 상태에서 지속적인 가속 페달을 밟는
것은 감속기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이때에는
견인 등의 다른 방법으로 조치하십시오.
•감속기 오일 교환 및 보충은 반드시 자사 직
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시하십
시오. 비순정부품 오일의 사용은 감속기 고장
및 성능의 저하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감속기의 품질은 보증이 불가능합니다.
•임의로 원격 시동 장치 등 전기, 전자장치를
장착하거나 무단으로 차량을 정비, 개조할 경
우에는 차량의 작동에 문제가 생겨 예기치 못
한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차내에서 전파를 사용하는 전화나 무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승객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
으며, 차량의 전자 제어장치에 영향을 끼쳐 차
량이 오작동 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잠시 차에서 떠나 있을 때라도 의외의 발진 위
험이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시동을 끄십시오.
•정차 중에는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주
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놓으십시오.
•차량내에는 고가의 소지품이나 귀중품을 넣
어 두지 마시고, 차량을 떠날때는 항상 모든
도어와 테일게이트를 잠그십시오.
•차량 유리에 액세서리를 부착하면 운전에 방
해되거나, 흡착부가 렌즈의 역할을 하여 차량
내부 부품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는 차량출동 시 액세서리가 분리되어 상처
를 입는 등 예기치 못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
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주의사항
•구입 후 1년 이내의 신차의 경우 실내에 인체
에 해로운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이 존
재할 수 있으므로 탑승 시 항상 모든 창문을
열고 충분히 환기를 시키십시오. 특히, 날씨
가 무덥거나 직사광선이 내리쬐는 곳에 장시
간 주차 시 차량 내부 온도가 높아질 경우 두
통이나 매스꺼움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운
전 중에는 가급적 외기 모드를 선택하여 차량
안쪽 공기를 환기시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VOCs는 Volatile Organic Compounds
의 약자입니다.
• 유리창에 썬팅을 할 경우(특히 금속성 썬팅지)
하이패스 시스템(ETCS) 통신불량 및 라디오
수신불량을 초래할 수 있으며, 과도한 차안조
도의 변화로 인해 전조등 자동 점등 장치가 오
작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썬팅작업시 작업용
액이 전기, 전자기기에 흘러 들어 기기 오작동
및 작동불량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과도한 썬팅을 할 경우, 야간 주행이나 우천
주행 시 시인성이 저하되어 예기치 못한 위험
을 초래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Page:   < prev 1-10 ... 461-470 471-480 481-490 491-500 501-510 511-520 521-530 531-540 541-550 ... 880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