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Mighty 2016 마이티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131 of 293

4-88
편의 장치
▶전체 메뉴 구성

Page 132 of 293

시동 및 주행
시동 스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시동 스위치 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엔진 시동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엔진 정지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엔진 크랭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변속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가속페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0
클러치 페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0
브레이크 페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1
주행중의 브레이크 사용법 ...............................................5-11
주차 브레이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2
표준형 주차 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2
접이식 주차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3
더블 캡 차량 주차 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 . . . . . . . . . . . . . . . . . . . . .5-13
주차브레이크의 유격 ......................................................5-13
ABS(Anti-Lock Brake System) .........................................5-14
ABS 경고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4
주행중에 ABS 경고등이 점등되었을 때는 .......................5-15
배기 브레이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6
차체 자세 제어 장치(VDC) .................................................5-17
VDC 작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7
운전자 VDC 작동 정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8
표시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8
VDC 중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8
VDC OFF(작동 정지) 사용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9
엔진 공회전 (IDLE) 스위치 ................................................5-20
자동 정속 주행 장치(오토 크루즈) ......................................5-20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LDWS) ...........................................5-22
차선이탈 경보시스템 비작동 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4
언덕길 발진 보조 장치 ........................................................5-25
P. T . O 스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6
듀얼 파워 스위치 ...............................................................5-27
매연 필터 장치(DPF) 수동재생 스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8
안전운전요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9
야간운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9
여름철 운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0
겨울철 주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0
안전 운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5
악천후시, 험로에서의 주행 ..............................................5-36
고속도로의 주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7
화물적재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8
과적 주행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8
경제적인 운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9
최고속도 제한장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0
5

Page 133 of 293

5-2
시동 및 주행
▶ACC
조향 핸들이 잠기지 않고 엔진에 시동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 일부 전기 장치를 작동할 수 있
습니다.
▶ON
엔진에 시동을 걸기 전에 경고등을 점검할 수
있고, 시동을 건 후에 모든 전기장치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엔진에 시동이 걸린 후 엔진이 정상적으로 작
동하는 상태임을 표시하는 위치입니다.
엔진에 시동이 걸린 상태가 아니면, 방전이
될 수 있으므로 시동 스위치를 「ON」 위치에
두지 마십시오.
0시동 스위치 위치
▶LOCK
키를 뽑고 조향 핸들을 좌우로 조금씩 움직이
면 조향 핸들이 고정되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기는 위치입니다.
키는 「LOCK」 위치에서만 뺄 수 있습니다.
시동 스위치를 「LOCK」 위치로 돌리고자 할
때는 「ACC」 위치에서 키를 안쪽으로 누른 상
태에서 「LOCK」 위치로 돌리십시오.
시동 스위치
OQT055001OQT055001
주 의
「LOCK」 에서 「ACC」 위치로 시동 스위치
가 돌려지지 않으면, 조향 핸들을 오른쪽이
나 왼쪽으로 조금씩 움직이면서 시동 스위
치를 돌리십시오.

Page 134 of 293

5-3
시동 및 주행
5
▶S (START)
엔진에 시동을 걸고자 할 때 시동 스위치를 「S」
위치까지 돌리십시오. 시동이 걸리면 바로 키에
서 손을 떼고 10초 이상 「S」 위치에서 키를 잡
고 있지 마십시오.
키에서 손을 떼면 시동 스위치는 자동으로 「ON」
위치로 되돌아갑니다.
주 의
엔진 정지 중 시동 스위치를 장시간 「ACC」 나
「ON」의 위치에 두면 배터리가 방전됩니다.
•키에는 아래와 같은 열쇠고리를 사용하
지 마십시오. 운전시 무의식 중에 무릎
으로 열쇠고리를 밀면 열쇠고리 무게로
인해 키가 「ACC」 위치로 되어 엔진이
정지될 위험이 있습니다.
1. 지갑형 열쇠고리
2. 열쇠고리에 다량의 열쇠 장착
3. 열쇠고리에 무거운 액세서리 부착

•운전 중에는 올바른 자세로 좌석에 앉으
십시오.
경 고
OQT055002OQT055002
•운행중 키를 「LOCK」 또는 「ACC」 위치
로 놓지 마십시오. 조향 핸들, 브레이크 기
능과 방향 제어 능력이 상실되어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운행중 조향 핸들 사이로 시동 스위치
또는 각종 스위치를 조작하지 마십시오.
손이나 팔로 차량을 제어할 수 없게 되
어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운전석 주변에 움직일 수 있는 것은 놓
지 마십시오. 운전을 방해할 뿐만 아니
라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시중에서 임의 가공된 키를 사용하지 마
십시오. 시동시 키 리턴(START→ON)
이 되지 않아 시동 후에도 시동 모터가
계속 작동되어 시동 모터 손상 및 배선
의 과부하로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
니다.
경 고

Page 135 of 293

5-4
시동 및 주행
운전석 주변에 페달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물건(예:깡통, 병, 고정되지 않은 바닥매트
등)이 있으면 제거하여 주십시오. 정지하고
자 할 때, 브레이크 페달이 밟혀지지 않는
등 사고가 날 수 있으므로 위험합니다.
경 고
0엔진 시동방법
1. 엔진 시동전에 우선 안전벨트를 착용하십시
오.
2.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기십시오.
3. 모든 전기장치를 「OFF」로 하십시오.
4.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와 작동 유
격을 오른발로 확인 하십시오.
5. 클러치 페달을 완전히 밟고 변속레버를 「N」(
중립)으로 한 후, 시동을 거십시오.
6. 시동 스위치를 「START」 위치까지 돌리고 엔
진 시동이 걸리면(최대 10초까지) 키에서 손
을 떼십시오.
7. 출발할 때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해제시키
십시오. 「주차 브레이크」를 참조하십시오.
8.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시킨 다음 클러치 페달
을 밟은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1단 위치에 놓
고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떼면서 가속 페달을
밟아 천천히 출발 하십시오.
OQT055019OQT055019OGVO26054AOGVO26054A

Page 136 of 293

5-5
시동 및 주행
5
주 의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 초기 rpm(분당
엔진 회전수)이 다소 높을 수 있습니다. 이
때는 엔진을 예열(공회전)시켜 엔진회전
이 정상범위로 떨어진 후에 출발 하십시
오.
•키를 10초 이상 「START」에 위치시키지
마십시오. 엔진이 한번에 시동되지 않을
때는 약 30초간 기다린 후 재시도 하십
시오.
•고속 공회전을 삼가 하십시오. 10분이상
고속 공회전시 배기장치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주 의
동절기에는 메인필터와 프리필터에 연료
히터 장치가 있어 히터 가열 시간이 필요합
니다. 시동 키를 「ON」 후 계기판의 예열 표
시등이 꺼진 것을 확인한 후 시동을 거십시
오. 공회전을 충분히 하여 결빙된 연료가 필
터에 내장된 히터에 의해 해동 된 후 차를
출발해야 합니다. 시동 후 곧바로 출발하게
되면 연료 필터내 결빙된 연료가 완전히 녹
지 않아 연료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엔진 출력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차량 출발 직후 급가속을 하지 마십시오.
•주행중 「ON」 위치 이외에는 절대로 돌
리지 마십시오.
「ACC」로 되면 엔진의 시동이 꺼지기
때문에 브레이크 배력 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브레이크의 기능이 매우 나쁘게 됩
니다.
「 ACC」로 되면 경고등 및 계기등이 작
동되지 않아 위험할 뿐만 아니라 전기
계통의 고장 원인이 됩니다.
키를 「LOCK」위치에 놓으면 조향 핸들
이 고정되어 위험합니다.
•차에서 떠날 때는 안전을 위해 키를 뽑
아 지참 하십시오.
•주위가 밀폐되어 환기가 되지 않는 공간
에서 장시간 엔진 시동을 걸어 두지 마
십시오. 배기가스에 의해 중독될 위험이
있습니다.
경 고

Page 137 of 293

5-6
시동 및 주행
▶엔진이 가열된 경우
운전중에 잠시동안 시동을 끈 경우 엔진이 가
열되어 있기 때문에 재시동시 예열플러그를
예열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 예열표시등이 소등되어도 잠시동안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이때는 시동스위치를
「OFF」 로 하고나서 다시한번 예열플러그의
예열을 실시해 주십시오.
• 엔진이 냉각된 경우는 바깥공기의 온도에 따
라서 예열표시등이 소등되는 시간이 다릅니
다.
•엔진 rpm(분당 엔진 회전수)이 높은 상
태에서 브레이크를 해제하면 차가 갑자
기 움직일 수 있으므로 엔진 rpm이 안
정될 때까지 기다려 출발 하십시오.
•절대로 가속 페달을 밟으면서 시동을 걸
지 마십시오. 차가 갑자기 움직이게 되
어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경 고
부릉부릉부릉부릉15초한도!15초한도!
OQT055023OQT055023
▶ 한냉시 엔진 시동이 어려울 경우
1. 시동스위치를 「OFF」로 하고나서 다시 엔
진의 시동을 겁니다.
2. 10초 이내에 엔진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15초를 한도로 엔진의 시동이 걸릴 때까지
시동 스위치를 계속 돌려 주십시오.

Page 138 of 293

5-7
시동 및 주행
5
▶엔진의 시동이 어려운 경우
•연료 필터 내 연료가 빙결되어 시동이 안 걸
릴 수 있으므로 연료 필터 내 연료가 충분
히 데워질 때까지 시동 스위치를 「ON」 상
태로 기다렸다가 시동을 겁니다.
• 자동차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연
료 계통에 공기가 들어가 엔진의 시동이 걸
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시동이 걸리지 않
는 경우는 연료계통의 공기빼기를 해야 합
니다.
•10초 이내에서 엔진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 또는 15초 경과해도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는 시동 스위치를 「OFF」
하여 잠시 멈추고 (약 30초) 다시 한번 엔
진의 시동을 걸어 주십시오.
• 엔진 시동의 불량여부는 엔진오일의 선정
에도 영향을 끼치므로 꼭 「추천 오일 제원
표」를 참조하시어 지정된 엔진오일을 사
용해주십시오.
주 의
•밀거나 견인에 의해 엔진의 시동을 거는
것은 위험하므로 하지 마십시오.
•연료가 완전히 소모되어 운전할경우, 엔
진 및 연료장치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
으므로, 항상 연료를 보충한 후 주행하
십시오.
0엔진 정지방법
1.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클러치 페달과 브
레이크 페달을 동시에 같이 밟고 계십시오.
2.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
에서 변속기 레버를 「N」(중립)으로 하십시
오.
3.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겨 놓으십시오.
4. 시동 키를 「LOCK」 위치까지 돌려 빼 주십
시오.
OQT055003OQT055003

Page 139 of 293

5-8
시동 및 주행
0엔진 크랭킹
장시간 운행하지 않은 차량은 오일이 골고루 퍼
지게 하기 위해 월 1회 이상 다음 방법으로 시동
을 걸어 주십시오.
1. 기어 변속 레버를 중립 위치로 합니다.
2. 가속 페달을 밟지 않고 시동 스위치를 「START」
위치로 해 시동을 건 후 2~3분간 아이들링시켜
주십시오.
3. 이 때 가속 페달을 밟지 마십시오.
주 의
•엔진 정지 직전에 고속 공회전을 삼가하
십시오.
•경사가 있는 곳에 주차 시킬 때는 변속
레버를 오르막길에서는 「1」단, 내리막길
에서는 「R」(후진)으로 놓고 타이어에 고
임목을 설치 하십시오.
•경사가 심한 장소에는 주·정차 하지 마
십시오. 차량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사고 방지를 위한 경우 이외
에는 시동 OFF 후 차량 이동이 필요시
반드시 기어를 중립으로 유지하십시오.
엔진 시동 OFF 후 기어 중립이 아닌 상
태로 이동하게 되면 엔진이 회전하게 되
면서 엔진 부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주 의
엔진 각부에 오일이 골고루 퍼지기 위해 아
이들링 한 후 운행하십시오.
특히 터보 장착 엔진은 회전 각부분의 오일
이 없는 상태가 되어 바로 시동을 걸면 엔진
이 손상 될 수가 있습니다.
(1)(1)(2)(2)
(3)(3)
OQT025004OQT025004

Page 140 of 293

5-9
시동 및 주행
5
주 의
차량 주행 중 R단 변속시 변속기 내부의 기
어 및 싱크로(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차량을 완전히 정지시키고 변속하십시오.
변속기
OQT055004OQT055004
기어변속시는 클러치 페달을 완전히 밟아야 원
활하게 기어가 변속됩니다.
1단 및 후진(R)시 변속 할 때는 차량을 완전하게
정지시키고 변속하여 주십시오.
주 의
•고단에서 저단으로 변환하는 경우, 변환
된 저단에서도 엔진 회전수가 엔진 회전
계의 적색구역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오. (특히 5단에서 4단으로 감속
변환의 경우 부주의하게 기어레버를 왼
쪽방향으로 당기면 2단으로 변환되어
엔진이 급격하게 고회전 될 수가 있으
며, 결과적으로 엔진과 변속기에 손상을
줄 수도 있습니다.)
•언덕길에서 정차하는 동안 클러치를 사
용하여 차를 정지시키려 하지 마십시오.
클러치가 조기 손상 됩니다.
•차량의 원활한 주행과 연료절감을 위하
여 적정 변속시기에 변속하여 주십시오.
엔진 회전계의 바늘이 적색눈금을 넘지
않도록 하십시오. 엔진 손상을 야기시킵
니다.
주 의
•언덕길에서 주•정차시 안전을 위해 주
차 브레이크를 채워 주시고, 출발할때는
1단기어를 넣고 가속 페달을 밟은 상태
(엔진 회전수 2,000 rpm 정도)에서 클
러치 페달을 완전히 놓으면서 차량이 전
진하려는 시점이 되면 주차 브레이크레
버를 풀고 출발하여 주십시오.(반드시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원위치 시켜 주십
시오.)
•언덕길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채우지 않
고 출발시 클러치 디스크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고, 파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기온이 낮을 경우 변속기 오일이
워밍업되기 전에는 기어 변속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정상적 현상이며
기계적 이상이 아닙니다.

Page:   < prev 1-10 ... 91-100 101-110 111-120 121-130 131-140 141-150 151-160 161-170 171-180 ... 300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