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Accent 2013 엑센트 RB - 사용 설명서 (in Korean)
Manufacturer: HYUNDAI, Model Year: 2013, Model line: Accent, Model: Hyundai Accent 2013Pages: 348
Page 231 of 348

시동 및 주행5-45
̰ 야간 주행
야간
운행은 주간 운행보다 훨씬 많은 위험이 도사
리고 있으므로 다음의 운전 요령을 숙지하십시오 .
• 야간
주행을 할 경우 마주 오는 차와 서로 교
차할 때는 전조등을 하향으로 향하게 하여 상
대방이 눈부시지 않도록 하십시오 .
• 비가
내리면 전조등의 빛이 노면에 흡수되거
나 젖은 장애물에 반사되어 앞이 잘 보이지
않게 됩니다 . 항상 주의하십시오 .
• 속도를
줄여 차 간격을 충분히 유지하십시오 .
• 가로등이
없을 때는 시야를 확보하기가 더욱
어렵습니다 .
• 전조등은
수시로 닦아서 깨끗이 관리하고 전
조등 각을 적절하게 조절하십시오 .
̰ 커브길 주행 시
커브길을
주행할 때는 브레이크를 밟거나 기어를
변속하지 말고 , 미리 속도를 줄인 후 , 가능한 한
차체를 똑바로 유지하면서 도십시오 .
• 물
웅덩이나 진흙 , 모래 , 눈 등에 차 바퀴
가 빠져 헛도는 경우 , 빠져나오기 위해
바퀴 밑에 물건을 대어 놓고 시동을 걸
때 바퀴의 회전에 의한 사고나 차의 갑작
스런 움직임에 대비하여 차 주위에 사람
이 서 있지 않도록 하시고 안전하다고 판
단될 때만 빠진 곳에서 탈출을 시도하십
시오 .
바퀴 밑에 대어 놓았던 물건이 바퀴의 회
전에 의해 튀어나오거나 차가 갑작스럽
게 움직임으로 말미암아 사고가 나서 다
른 사람이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
습니다 .
경 고
OMC035004OHD057008
Page 232 of 348

시동 및 주행 5-46
̰ 악천우 시의 주행
• 비나
눈이 내릴 때는 특히 차가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급브레이크 조작을 하지 마십시오 .
• 브레이크
장치가 젖을 정도로 물이 깊은 곳은
피해서 주행하십시오 . 브레이크 장치가 젖으
면 제동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물이 고인 곳
을 주행하거나 세차한 후에는 반드시 브레이
크 성능을 점검하십시오 . 물기 있는 도로를
주행한 후에는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천천히 운행하는 동안 여러 번에 걸쳐 브레이
크를 밟아 건조시키십시오 .
• 안개가
끼었거나 그 밖의 기상 상태로 인하여
시계가 나쁠 때는 차의 조명을 켜고 속도를
충분히 낮추어 운행 하십시오 .
• 폭우가
내릴 때는 시야를 확보하기가 더 어려
워 제동 거리가 더 많이 필요하므로 천천히
운행하십시오 .
• 와이퍼
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관리하십시오 .
와이퍼에 줄무늬가 생
기거나 유리창이 잘 닦
이지 않으면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하십시오 .
• 타이어의
상태가 좋지 않은데 젖은 길이나 빗
길에서 급정차하면 타이어가 미끄러져 사고
가 날 수 있습니다 . 타이어 상태를 항상 양호
하게 관리하십시오 .
̰ 고속도로 주행
• 운행전
점검을 하십시오 .
특히 연료 , 냉각수 , 엔진오일 , 벨트류 , 타이어
공기압 등을 점검하십시오 .
• 안전벨트는
반드시 착용하십시오 .
• 고속도로
진입 시는 방향지시등을 켜고 가속
차선에서 충분히 가속한 후 본선 차량의 속도
에 맞춰 진입하십시오 .
7JBB3303OMG015008
Page 233 of 348

시동 및 주행5-47
• 장마철이나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 등을 통과
할 때는 특별히 주의하십시오 . 타이어 중앙부
분 (타이어 휠 허브 )이 잠길 정도로 수위가 높
으면 운행하지 마십시오 . 물을 통과할 경우는
천천히 서행하고 물속에서는 제동성능이 제
대로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적당한 제동
거리를 유지하십시오 . 물을 통과한 뒤에는 차
를 서행하면서 브레이크를 부드럽게 몇번 밟
아 브레이크를 건조시키십시오 .
알아두기
엔진 브레이크(Engine Brake)란?
브레이크는 아니지만 엔진의 압축 압력을
이용하여 바퀴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제
동력을 얻는 것 즉 엔진에 브레이크 작용을 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 급제동은
미끄러질 위험이 있으므로 매우 위
험합니다 .
• 노면이
젖어 있을 때는 타이어가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속도를 낮추십시오 .
• 고속
주행시 브레이크 페달을 많이 사용하면
브레이크 장치가 과열되어 브레이크의 기능이
나쁘게 되거나 , 브레이크액이 기화되어 브레
이크의 효과가 없게 되므로 매우 위험합니다 .
엔진브레이크와 함께 효과적으로 사용하십시오 .
• 차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스티어링 휠을
천천히 조작하십시오 .
• 터널
출구 부분을 나올때 횡풍을 받아 차체가
흔들리는 일이 있으면 침착하게 속도를 줄이
고 진로를 수정하십시오 .
• 고속도로에서
벗어날때는 미리 출구를 잘 확
인 하시고 방향지시등을 켜십시오 .
출구를 지나쳐 버리게 되면 다음 인터체인지
까지 주행하십시오 . 당황하여 급제동을 하게
되면 대단히 위험합니다 .
1JBB33107JBB3311
Page 234 of 348

시동 및 주행 5-48
̰ 여름철 운행
• 여름철에는
특히 엔진상태를 항상 점검하십시오 .
• 냉각수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라디
에이터에 흙 , 먼지 , 벌레 등 오물이 끼지 않도
록 점검하십시오 .
라디에이터가 불결하면 냉각효과가 떨어져 엔
진 과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 추운
날씨에는 여름과 달리 주의가 더욱 필요
합니다 . 다음사항을 운행전 점검시에 추가로
점검하십시오 .
1 . 차의 밑부분 둘레에 있는 얼음 덩어리를 부품
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제거하십
시오 .
2 . 엔진을 시동하고 각종 페달이 평상시처럼 움
직이는지 확인하십시오 .
3 . 앞 ·뒤 유리의 얼음이나 눈은 제거하십시오 . 또
한 와이퍼 블레이드가 유리에 얼어붙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십시오 .
OBH058040
• 타이어
체인 , 창문닦이 , 유리창 성에 제거기 ,
모래나 소금부대 , 경고판 그리고 야삽과 점프
케이블 등의 비상장비를 갖고 다니십시오 .
• 부동액
및 와셔액의 농도를 점검하십시오 .
• 엔진
시동 후에는 적당한 워밍업을 한 후 운
행하십시오 . 추운 날씨에 엔진이 냉각된 채
로 운행하면 엔진에 큰 무리가 갑니다 .
• 배터리와
케이블 상태를 점검하십시오 . 날씨
가 추우면 배터리 용량이 저하되어 엔진 시동
이 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
• 엔진오일
점도 수준을 점검하십시오 .
겨울철 운행
Page 235 of 348

시동 및 주행5-49
̰ 눈 또는 빙판길 주행
• 눈길
, 빙판길을 주행할 때는 스노우 타이어
또는 규격에 맞는 타이어 체인을 장착하시고 ,
급발진 , 급가속 , 급제동을 삼가십시오 .
음지와 양지의 도로조건은 서로 다릅니다 . 오르
막길 보다는 내리막길에 더욱 주의 하십시오 .
• 눈길이나
빙판에서는 타이어의 접지력이 약
해지므로 가속 페달이나 스티어링 휠을 거칠
게 조작하면 위험합니다 .
• 내리막길에서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면 방향
조작에 도움이 됩니다 .
오르막길에서는 한번 멈추면 발진하기가 어려
우므로 차간거리를 유지하여 서행하도록 하십
시오 .
▶ 스노우 타이어
차에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할 경우 , 동일 사
이즈의 타이어인지를 확인하고 차량마다 타
이어가 견딜 수 있는 중량이 다르므로 규격에
맞는 타이어인지를 확인하십시오 . 모든 기상
조건에서 차량 조향성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서는 스노우
타이어를 네바퀴에 모두 장착 하
십시오 .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고 건조한 도
로를 주행하면 , 원래 사양의 타이어 보다 마
찰력이 작아 제동 거리가 길어질 수 있으니
주의하십시오 .
또, 날씨가 맑은 경우에도 항상 조심하면서 운
전하십시오 .
스노우 타이어의 규격과 형태는 차량의 표
준 타이어와 동등해야 합니다 . 그렇지 않을
경우 , 차량의 안전성과 조향성능에 악영향
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
경 고
• 오버히트
(과열시 )는 기온이 높을 때만 발생하
는 것은 아닙니다 . 추운 날씨에는 냉각수 중
에 부동액이 들어있지 않을 경우나 농도가 낮
을 때 엔진 내부가 동결되어 냉각수가 순환하
지 않으면 오버히트가 발생하게 됩니다 .
• 냉각수는
자사 순정 부동액과 물을 적정 비율
로 혼합하여 사용하십시오 . 냉각수의 비율은
너무 높거나 낮아도 효과가 없습니다 .
( 7장 ,
「냉각수
점검
」의
혼합비율 참조 )
1JBB3306
Page 236 of 348

시동 및 주행 5-50
▶ 타이어 체인
• 래디얼
타이어는 구조상 옆면이 얇기 때문
에 체인을 사용하면 손상될 우려가 있으
므로 되도록이면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
십시오 . 알루미늄 휠 장착 차량은 체인을
사용하면 휠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체
인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
불가피하게 사용해야 할 경우는 순정부품
을 사용하십시오 .
주 의
•
일반 체인 장착 시 체인과 서스펜션 부품
인 너클과의 간섭으로 체인 연결 고리가
손상될 수도 있으니 반드시 KS규격 및
SAE 의
‘S
’급
규격을 만족하는 체인을 사
용하십시오 .
• 체인
규격이 맞지 않거나 잘못 장착한 경
우는 차량의 제동 라인 , 서스펜션 , 차체 및
바퀴 등을 훼손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십
시오 .
체인이 차량을 때리는 소리가 들리면 즉시
차를 멈추고 다시 조이십시오 .
• 타이어
체인을 장착하고 0 .5 ~ 1km 정도 주
행한 후에는 차체 손상 여부 및 안전을 위
하여 체인의 장착 상태를 확인해야 하며 ,
느슨할 경우에는 다시 조이십시오 .
•
본 차량은 앞바퀴가 구동되는 전륜구동 차
량입니다 . 따라서 타이어 체인을 장착할
때는 반드시 앞바퀴에 장착하십시오 .
•
체인을 장착한 후에는 천천히 운행하십시
오 . 체인이 차체나 샤시에 닿는 소리가 들
리면 즉시 차를 멈추고 체인을 조이십시오 .
소리가 나지 않을 때까지 감속하고 눈이 없
는 도로 주행시는 바로 체인을 풀어 체인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
타이어 규격에 맞는 체인을 사용하여 차체
를 보호하십시오 .
본 차량에 부적합한 체인을 사용할 경우에
는 차체를 손상시키므로 반드시 적절한 체
인을 사용하시고 장착은 체인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설명서를 참조하여 차체에 손상
이 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눈길 , 빙판길 외에는 체인의 사용을 삼가시
고 , 체인 장착시에는 체인 제작사에서 추천
하는 규정속도 이하 또
는 30 km/h 이내로 주
행 하십시오 .
1JBA4068
Page 237 of 348

시동 및 주행 5-51
매우 추운 날씨의 주 ·정차 시 주차 브레이크를 작
동시켜 놓으면 브레이크 장치가 얼어 붙어버릴
우려가 있으므로 주차 브레이크는 가능한 풀어
놓은 상태에서 주차하십시오 . 경사없는 평지에
변속레버를
「 P
」(
주차 ) 위치로 , 타이어에는 고임목
을 받쳐 차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십시오 .
• 주차
시는 차의 앞부분을 바람이 부는 반대쪽
으로 향하게 하십시오 .
• 도어나
연료주입구가 얼어서 열리지 않을 때
는 도어나 연료주입구의 주위를 두드리거나
더운 물을 부어 얼어붙은 것을 녹이십시오 .
부은 물을 방치하면 또 얼게 되므로 완전히
닦아 내십시오 .
•
노상에서 타이어 체인 장착시는 교통
이 복잡하지 않고 평탄한 곳에서 실시
하십시오 . 비상경고등 및 비상용 삼각
판 등을 이용하여 후방 차량에 충분히
주의를 주고 안전한 상태에서 실시하
십시오 .
•
체인을 장착하면 차량의 조향성능에 악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
체인 제작사가 추천하는 규정속도 이하
또는 3 0km/h 이내로 주행하십시오 .
•
도로상의 돌출부나 구멍 등 위험한 도로
운행 및 과격한 회전등은 차량이 튈 수
있으므로 삼가십시오 .
• 체인
규격이 맞지 않거나 규격대로 장착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차량이 훼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 조향성 및 안전성에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규격에 맞
는 체인을 장착하십시오 .
경 고
1JBB3308OHD057009
Page 238 of 348

6
주행 중 경고 .....................................................................................6-2
비상경고등 ......................................................................................... 6-2
주행 중 고장이 나면 ....................................................................... 6-2
교차로/건널목에서 시동이 꺼진 경우 .......................................6-2
주행 중 펑크가 나면 ....................................................................... 6-3
주행 중 시동이 꺼진 경우 ............................................................. 6-3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6-3
노상에서 주행 중 고장이 난 경우 ...............................................6-4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비상 삼각대) ......................................6-4
엔진시동이 안걸릴 때 .................................................................... 6-5
시동모터가 회전하지 않을때 ....................................................... 6-5
시동모터는 회전하나 시동이 걸리지 않을때 ..........................6-5
비상 시동 .......................................................................................... 6-6
배터리 방전 시 점프 스타트 요령 ...............................................6-6
밀기 시동 ............................................................................................ 6-7
엔진 오버히트(과열 시) ................................................................. 6-7
타이어 펑크 시의 조치 ................................................................... 6-9
부속공구 ............................................................................................. 6-9
예비 타이어 분리·장착 ................................................................. 6-10
타이어 교체 방법 ........................................................................... 6-10
차량 견인 ....................................................................................... 6-15
견인 트럭으로 견인 시 ................................................................. 6-15
탈부착 견인 후크 ........................................................................... 6-16견인차가 아닌 일반차량으로의 견인시
................................... 6-16
사고 및 차량 화재 시 응급조치 ................................................. 6-19
사고 발생 시 .................................................................................... 6-19
차량 화재 시 ................................................................................... 6-19
폭설 시 행동요령 ......................................................................... 6-20
비상시 응급 조치
6장 목차
Page 239 of 348

비상시 응급 조치 6-2
̰ 비상경고등
차량의
고장 , 예기치 못한 상황 등의 비상시 주위
차량에 경고등을 깜빡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비상경고등은 시동상태와 상관없이 작동하며 , 모
든 방향지시등이 일제히 깜빡입니다 .
비상경고등이 깜빡이는 동안 방향지시등은 작동
하지 않습니다 .
주 의
배터리의
방전과 다른 차량 운전자의 혼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 시에만 사용하십시오 .
̰ 교차로/건널목에서 시동이 꺼진 경우
• 교차로나
건널목의 한 가운데에서 시동이 꺼
졌을 때는 변속레버를
「N
」(
중립 )에 위치시킨
후 주위의 가까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아 차
를 밀어내어 안전한 장소까지 이동시키십시오 .
• 이그니션
록 (Ignition Lock) 장치가 장착된 수
동변속기 차량은 클러치를 밟지 않은 상태에
서는 시동이 걸리지 않으므로 스타터의 힘으
로 이동할 수 없으며 , 자동변속기 차량은
「 P
」
( 주차 ) 또는
「 N
」(
중립 ) 이외에서는 시동이 걸
리지 않으므로 스타터의 힘으로 이동할 수
없습니다 .
긴급할 때는 열차에 알려 사고를 방지하십
시오 .
경 고
7JBA1020ORB040045
주행 중 경고주행 중 고장이 나면
Page 240 of 348

비상시 응급 조치6-3
̰ 주행 중 펑크가 나면
• 주행
중 펑크가 나면 비상경고등을 켠 후 스
티어링 휠을 꼭 잡고 차를 도로 가장자리로
안전하게 이동시키십시오 . 이때 차량의 속도
를 낮추기 위해서 브레이크 페달보다는 엔진
브레이크를 이용하십시오 . 속도가 떨어지면
가볍게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정지하십시오 .
• 동승자는
주행하는 차에 주의하여 내리십시오 .
• 가능한
경사가 없는 평평한 장소에 정차시킨
후 타이어 교체가 가능하다면 ,
「타이어
펑크
시의 조치
」
내용을 참고하여 타이어를 교체하
시고 , 상황이 좋지 않거나 교체 자신이 없다
면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
협력사에 연락하여 조치를 받으십시오 .
•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히 걸고 동시에 펑크난
타이어의 대각에 고임목을 괴십시오 .
̰ 주행 중 시동이 꺼진 경우
• 적절한
조치를 하여 차를 안전한 곳으로 이동
시키십시오 . 브레이크
작동 상태가 나빠지므
로평상시보다 브레이크 페달을 세게 밟으십
시오 .
•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스티어
링휠 (조향 핸들 )조작이 상당히 무거우므로 평
소 보다 세게 조작하십시오 .
̰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완전히 밟고 , 엔진 브레이크 (기어 저
단 변속 )와 주차 브레이크를 함께 사용하여
속도를 줄여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십시오 .
• 정차
후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연락하십시오 .
브레이크 효과가 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의 주행은 위험하므로 절대로 운전하지 마
십시오 .
경 고
OBH068022
힘껏 조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