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레스트 Hyundai Genesis 2016 EQ900 HI - 사용 설명서 (in Korean)
[x] Cancel search | Manufacturer: HYUNDAI, Model Year: 2016, Model line: Genesis, Model: Hyundai Genesis 2016Pages: 399, PDF Size: 40.95 MB
Page 49 of 399

3-19
03
주 의
휴식 모드 사용 시 시트 백 이 접히면서 동승
석에 놓인 물건이 파손 될 수 있으니, 동승석
쿠션에 물건을 절대 올려놓지 마십시오
주 의
•휴식모드 동작 중에 휴식모드 버튼을 다시
한번 누를 경우 좌석의 이동이 멈춥니다.
•휴식모드 동작 중에 시트 조절 버튼을
수동으로 조작할 경우 좌석의 자동 이동
이 멈추며 수동 조절 됩니다.
●리턴 기능
스위치(2)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뒷좌석 시트
가 움직이고 동승석 시트가 움직입니다.
•뒷좌석
- 세단, 리무진 3인승
1. 시트 최후방으로 이동, 시트 쿠션 최하
단으로 이동, 허리지지대 뒤로 이동
2. 헤드레스트 아래로 이동, 어깨 부 경사
조절(시트 백) 뒤로 이동
- 리무진 2인승
1. 다리 받침대 아래로 이동 및 뒤로 슬라
이드
2. 시트 최후방으로 이동, 시트 쿠션 최하
단으로 이동, 허리지지대 뒤로 이동
3. 헤드레스트 아래로 이동, 어깨 부 경사
조절(시트 백) 뒤로 이동
•동승석
1. 시트 뒤로 이동, 시트 백 뒤로 이동, 시트
쿠션 아래로 이동
2. 시트 전체 높이 위로 이동, 헤드레스트 최
하단으로 이동
주 의
리턴 모드 버튼은 아래의 경우 작동하지 않
습니다.
- 동승석에 사람이 앉아 있을 경우
- 동승석에 무거운 물건이 놓여져 있을 경우
- 동승석의 도어가 열려있을 경우
- 동승석 안전벨트가 채워져 있을 경우
●독서 모드(리무진 2인승 V I P좌석)
스위치(3)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뒷좌석 시트
가 움직입니다.
1. 다리 받침대 최하단으로 이동 및 최후방으
로 슬라이드
2. 시트 최후방으로 이동, 시트 쿠션 최하단
으로 이동
3. 어깨 부 경사 조절(시트 백) 뒤로 이동
독서모드 시트 이동이 끝나면 완료음이 울리
며 편안한 독서를 위하여 뒷좌석 룸램프(오른
쪽)가 자동으로 켜집니다.
주 의
•리턴모드 동작 중에 리턴모드 버튼을 다시
한번 누를 경우 좌석의 이동이 멈춥니다.
•리턴모드 동작 중에 시트 조절 버튼을
수동으로 조작할 경우 좌석의 자동 이동
이 멈추며 수동 조절 됩니다.
주 의
•독서모드 동작 중에 독서모드 버튼을 다시
한번 누를 경우 좌석의 이동이 멈춥니다.
•독서모드 동작 중에 시트 조절 버튼을 수
동으로 조작할 경우 좌석의 자동 이동이
멈추며 수동 조절 됩니다.
Page 50 of 399

3-20
안전 장치
●다리 받침대
다리받침대 스위치(5)를 누르면 다리 받침대
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으며, 길게 늘이거나
짧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용도에 맞게 조절
하여 사용하십시오.
●영상시청 모드(리무진 2인승 V I P좌석)
스위치(4)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동승석 시트
가 움직이고 뒷좌석 시트가 움직입니다.
•동승석
1. 시트 지정 위치로 이동, 시트 백 지정 위치
로 이동, 헤드레스트 아래로 이동
2. 시트 쿠션 아래로 이동, 시트 전체 높이 위
로 이동
•뒷좌석
1. 다리 받침대 아래로 이동 및 뒤로 슬라이드
2. 시트 쿠션 최하단으로 이동
3. 헤드레스트 아래로 이동, 어깨 부 경사 조
절(시트 백) 앞으로 이동
어린이가 스위치 작동 시 예기치 못한 상해
가 발생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하십시오.
경 고
주 의
영상 시청 모드 버튼은 아래의 경우 작동하
지 않습니다.
- 동승석에 사람이 앉아 있을 경우
- 동승석에 무거운 물건이 놓여져 있을 경우
- 동승석의 도어가 열려있을 경우
- 동승석 안전벨트가 채워져 있을 경우
주 의
•뒷좌석 시트의 전·후 위치조절은 조작
전 위치 기준으로 조절되므로 시작 시점
이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영상시청 모드 동작 중에 영상시청 모드
버튼을 다시 한번 누를 경우 좌석의 이
동이 멈춥니다.
•영상시청 모드 동작 중에 시트 조절 버
튼을 수동으로 조작할 경우 좌석의 자동
이동이 멈추며 수동 조절 됩니다.
▶헤드레스트 조절
•헤드레스트는 안락감을 제공하며 충돌 사
고시 머리와 목을 보호하도록 도와 줍니
다. 원하는 위치로 조절하여 사용하십시오.
•헤드레스트와 머리 사이 거리는 가까울수
록 후방 충돌시 목을 더 잘 보호할 수 있습
니다.
●전·후 위치 조절
•스위치를 이용하여 헤드레스트의 전·후 위
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를 앞으
로 당기면 헤드레스트가 앞 방향으로 이
동하고, 뒤로 당기면 뒷 방향으로 이동합
니다.
OHI036021OHI036021
Page 51 of 399

3-21
03
주 의
헤드레스트 탈거 시 커넥터 파손 등 차량 기
능상의 문제 유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
하십시오.
스위치를 이용하여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
절 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를 위로 올리면 올
라가고 내리면 아래로 내려갑니다.
●높낮이 조절
헤드레스트의 높이는 헤드레스트의 중심부와
탑승자 귀 상단이 일치하도록 조절하십시오.
높일 때는 헤드레스트를 잡고 잠기는 위치까
지 위로 당겨 올리십시오.(1) 내릴 때는 잠금
해제 버튼(2)를 누른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를
위에서 누르십시오.(3)
OHI036022OHI036022
주 의
•뒷좌석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후방 시
야를 가릴 수 있으므로 뒷좌석 헤드레스
트의 높이를 최대한 낮추십시오.
•헤드레스트에 액세서리 등 다른 물건을
걸거나 부착하지 마십시오. 사고 시 다
칠 수 있습니다.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시 폴가이드 사이
에 손가락이 끼어 다칠 수 있습니다. 조
절시 주의하십시오.
OHI036020LOHI036020L
00A타입A타입
00B타입B타입
Page 52 of 399

3-22
안전 장치
주 의
•중앙 헤드레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는 후방 시야를 가릴 수 있으므로 반드
시 헤드레스트를 뒤로 접어 놓으십시오.
•암레스트가 내려진 상태에서 중앙 폴딩
헤드레스트가 최하단에 위치하면 암레
스트를 홀더 안으로 원위치 시킬 때 헤
드레스트에 의해 암레스트는 홀더에 들
어가지 않습니다. 중앙 헤드레스트를 최
하단 위치에서 올린 후 암레스트를 홀더
에 넣으십시오. 암레스트를 올리는 과정
에서 컵홀더 부위를 눌러 컵홀더가 나오
면 암레스트는 홀더에 넣을 수 없으니
주의하십시오.
▶중앙 폴딩 헤드레스트 조절 (접는 타입)
• 헤드레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측면에
있는 버튼(1)을 누른 상태에서 헤드레스트
를 뒤로 접어 놓으십시오.
사용할 때는 헤드레스트의 윗부분을 잡고
고정되는 위치까지 당겨 올리십시오.
• 암레스트가 쿠션쪽으로 내려진 상태에서
는 헤드레스트 하단에 있는 노브(2)를 눌
러 중앙 폴딩 헤드레스트를 고정 위치에
서 하단으로 더 내릴 수 있습니다.
•중앙 폴딩 헤드레스트를 제거 하시려면,
헤드레스트 측면에 위치한 노브(2)를 눌
러 위로 잡아 당기십시오.
OHI036130OHI036130
머리나 목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헤드
레스트를 제거한 상태에서는 절대로 주행
하지 마십시오.
경 고
Page 53 of 399

3-23
03
▶윙아웃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의 좌·우를 손으로 잡고 안쪽으로
당겨 사용할 수 있으며 탑승자의 머리 지지를
위한 편의 장치 입니다.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정상적인 상태로 바르
게 장착하십시오.
OHI036025OHI036025
▶암레스트 조절
암레스트 상단손잡이 안쪽(1)에 손을 넣어 레
버를 누르고 암레스트를 당겨 내리십시오. 암
레스트에 컵 홀더와 사물함이 있습니다. 사용
후에는 커버를 확실히 닫으십시오.
OHI036026OHI036026
주 의
암레스트 잠금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급정
지 시 암레스트가 떨어져 상해를 입을 수 있
습니다.
암레스트 상단을 무리하여 잡아당길 시 고
정장치에 손상이 갈 수 있습니다.
주 의
•암레스트를 내릴 때, 중앙 쿠션부에 물
건이 있으면 파손의 위험이 있으니 주의
하십시오.
•컵 홀더가 앞으로 나온 상태에서 암레스
트를 위로 올리지 마십시오.
●긴 화물(스키 등) 적재
트렁크에 넣을 수 없을 정도로 긴 화물을 실
을 수 있도록 좌석 중앙에 트렁크 연결 판넬
이 있습니다.
뒷좌석의 암레스트를 내리고 뚜껑 손잡이를
아래로 내려 당기면 열립니다.
OHI036031OHI036031
Page 57 of 399

3-27
03
OHI036077OHI036077
▶헤드레스트 히터
•시동 상태에서 해당 좌석 히터 버튼을 누르
면 강약조절 표시등이 켜져 사용 중임을 나
타내고 해당 좌석 히터가 작동하면서 동시
에 헤드레스트가 따뜻해집니다.
•히터 작동(표시등 켜짐)상태에서 헤드레스
트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높아지면 자동으
로 작동을 멈추고, 온도가 내려가면 다시
작동합니다.
•헤스레스트 히터 사용 중 버튼을 1.5초 이
상 누르면 헤드레스트 히터 기능을 멈출 수
있습니다.
주 의
•냉·난방 성능은 주변의 온도와 환경에
따라 바뀔 수 있습니다.
•일부 시트 위에서는 헤드레스트 높이를
상향으로 조절시 리어 커튼(전동식) 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냉온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열선/통풍 기
능과 연동되어 작동하므로 헤드레스트
만 독립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헤드레스트 온도 조절
- 수동 조절
헤드레스트 히터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온도 조절이 됩니다.
- 자동 조절
저온 화상 방지를 위하여 히터 헤드레스
트를 수동으로 켠 다음 부터는 자동으로
헤드레스트 온도가 조절됩니다.
다시 고온으로 사용하고자 하면, 스위치
조절을 통하여 설정은 가능하지만 수동
조작 후에는 자동 제어 장치에 따라 자동
으로 헤드레스트 온도가 조절됩니다.
OFF → 강() → 중() → 약()
↑
OFF → 강() → 중() → 약()
30분 후60분 후↑↑
알아두기
저온화상이란?
피부가 40~50℃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
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열에 의하여 화상
을 입는 것을 말하며 통증이나 열을 그다지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 일어나므로 주의해
야 합니다.
히터 사용 중 아래의 사람은 열이 나거나 저
온화상을 입을 수 있으니 주의하십시오.
1. 유아, 어린이, 노인, 신체 부자유자 또는
기타 질병이 있는 분
2. 피부가 약한 분
3. 과로한 분
4. 과음한 분
5. 졸음이 올 수 있는 약(수면제, 감기약)을
복용한 분
경 고
Page 58 of 399

3-28
안전 장치
주 의
•공기 흡입구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장
애물이 있을 경우 성능 저하 및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냉온 헤드레스트에 충격을 가할 시 부품
파손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히터 모드와 냉방 통풍 모드 간 갑작스
런 전환 및 빈번한 전환은 오작동 및 성
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OFF 한
후 전환 하십시오.
주 의
•공기 흡입구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장
애물이 있을 경우 성능 저하 및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냉방 통풍기능 사
용시 토출구 표면에 물방울이 발생하여
원단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사용
후 부드러운 천을 사용하여 닦으십시오.
•냉방 통풍 헤드레스트에 충격을 가할 시 부
품 파손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히터 모드와 냉방 통풍모드 간 갑작스런
전환 및 빈번한 전환은 오작동 및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OFF 한 후
전환 하십시오.
OHI036033OHI036033
▶냉방 통풍 헤드레스트
•시동 상태에서 해당 좌석 냉방 버튼을 누르
면 강약조절 표시등이 켜져 사용 중임을 나
타내고 해당 좌석 냉방이 작동하면서 동시
에 헤드레스트에서 차가운 바람이 나옵니다.
•냉방 통풍 헤드레스트 사용 중 버튼을 1.5
초 이상 누르면 헤드레스트 냉방 통풍기능
을 멈출 수 있습니다.
●헤드레스트 온도 조절
- 수동 조절
헤드레스트 냉방 통풍 버튼을 누르면 아
래와 같이 온도가 조절 됩니다.
- 자동 조절
수동으로 켠 다음 부터는 자동으로 헤드
레스트 온도가 조절 됩니다.
다시 냉방 통풍을 사용하고자 하면, 스위
치 조절을 통하여 설정은 가능하지만 수
동 조작 후에는 자동 제어 장치에 따라 자
동으로 헤드레스트 온도가 조절됩니다.
OFF → 강() → 중() → 약()
↑
OFF → 강() → 중() → 약()
30분 후60분 후↑↑
주 의
•히터/ 냉방 통풍 성능은 주변의 온도와
환경에 따라 바뀔 수 있습니다.
•일부 시트 위에서는 헤드레스트 높이를
상향으로 조절시 리어 커튼(전동식) 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히터/ 냉방 통풍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열
선/통풍 기능과 연동되어 작동하므로 헤드
레스트만 독립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Page 68 of 399

3-38
안전 장치
어린이 보호용 장치(보조 좌석)
어린이 보호용 장치의 장착
차에 탄 영아나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승인된 어
린이 보조 좌석를 장착해야 합니다.
차가 움직일 때 어린이가 서 있거나 좌석 위에서
기어 다니지 않도록 하십시오. 하나의 안전벨트를
어린이와 어른이 함께 착용하거나, 하나의 안전벨
트에 두 어린이를 함께 착용시키지 마십시오.
어린이 보조 좌석은 반드시 뒷좌석에 설치하십
시오. 어린이 보조 좌석 장착법 및 사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어린이 보조 좌석 제작사에서 제
공하는 취급설명서를 참고하십시오.
운전자 좌석 때문에 어린이 보조 좌석 장착
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면 뒷
좌석 오른쪽에 어린이 보조 좌석을 장착 하
십시오.
경 고
•3점식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없는 어린
이의 경우는 안전벨트를 직접 사용하지
말고 뒷좌석에 어린이 전용 보조 좌석
에 앉히십시오.
•차 안이 뜨거운 날씨에 장시간 밀폐된
채로 있었다면, 안전벨트와 좌석은 열에
의해 뜨거워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어린이가 화상을 입을 수도
있으므로 어린이를 앉힐 때는, 좌석 표
면과 버클이 뜨거운지 확인하시고, 뜨거
우면 식힌 후에 앉히십시오.
•주행 중 어린이를 무릎에 앉히거나 팔로
안고 있지 마십시오. 경미한 충돌 사고라
할지라도 어린이를 놓칠 수 있습니다.
경 고
•헤드레스트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어린이 보조 좌석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급제동 또는 충돌 시 부상을 당할 위험
이 있습니다.
•여러 제조업체에서 어린이를 위한 어린
이 보조 좌석나 장비를 만들고 있습니
다. 어린이 보조 좌석은 국가의 안전 규
제를 준수하는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귀하가 사용하는 어린이 보조 좌석의 라
벨에 국가의 안전 규제를 준수하고 있다
는 문구가 씌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어린이 보조 좌석은 어린이의 체격과 차
량 좌석의 크기에 맞는 것을 골라야 합
니다.
•어린이 보조 좌석에 대한 취급설명서나
지시사항을 지키지 않을 경우, 사고가
났을 때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어린이를 태우고 운전하실 때에는 급출
발과 급제동을 하지 않도록 유의하십시
오. 머리나 목 부위를 심하게 다칠 수 있
습니다.
•사고가 났을 때 어린이용 보조 좌석, 안
전벨트와 테더 앵커, 하부 래치 등 고정
장치를 점검 받으십시오.
•차량의 안전 장비(안전벨트, 하부 래치,
좌석, 테더 앵커)의 구성품은 개조하지
마십시오.
경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