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Accent 2013 엑센트 RB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211 of 348

시동 및 주행5-25

▶ 디스크 브레이크 마모 표시

• 이
차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습
니다 .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되어 새 패드로 교체
할 시기가 되면 앞 또는 뒤 브레이크에서 '
끽 ' 하는 소리가 나는 것을 들을 수 있습니
다 .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이 소리를 들
을 수 있습니다 .
이때는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나 서
비스 협력사에서 브레이크 점검을 받고 패
드를 교체하십시오 .
특정한 주행 조건이나 날씨 상태에 따라 브
레이크를 처음 밟거나 살짝 밟을 때 끽 소리
가 날 수 있습니다 . 이는 정상적인 현상으로
브레이크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
• 브레이크 장치를 수리하는 비용을 절감하
려고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된 상태에서 계 속 주행하지 마십시오.

•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할 때는 왼쪽, 오른쪽
세트로 교체하십시오.
브레이크에서 고주파 경고음 (
‘끽
’하는

리 )이 나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
비스협력사에 점검을 의뢰하십시오 . 그렇
지 않을 경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아
심각한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
경 고

̰ 바른 제동요령

• 브레이크를
2 ~ 3회에 걸쳐서 밟으면 브레이크
성능을 좋게 하는 것은 물론 뒤따르는 차에 제
동 상황을 미리 알려 주어 추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 차가
멈추는데 필요한 만큼의 힘으로 브레이크
페달를 밟으십시오 .

•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를 계속 밟으면 브레이
크가 과열되어 일시적으로 고장이 날 수 있으니
저단 기어를 사용하거나 속도를 서서히 줄이면
서 차례대로 저단으로 변속하는 엔진 브레이크
를 함께 사용하여 속도를 줄이십시오 .

• 엔진
회전수 (rpm)가 필요 이상으로 올라갈 경
우에는 엔진 각 부분에 무리가 생겨 엔진이 손
상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

Page 212 of 348

시동 및 주행 5-26

̰ 주차 브레이크

▶ 작동

• 차를
정지시키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
태에서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끝까지 당겨
놓으십시오 .

•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위급상황에서
주차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제동거리는 정상적인 제동거리보
다 더욱 길어집니다 .

• 빙판길
또는 눈길과 같이 미끄러지기 쉬운
도로 상태에서는 차량이 회전할 수 있으므
로 사용할 때 주의하십시오 .
• 주차
브레이크를 완전히 작동시켜 놓은 다
음 수동변속기 차량은
「 1


또는
「 R
」(
후진 )
위치에 놓고 자동변속기 차량은
「P
」(
주차 )
위치에 놓으십시오 .
겨울철에는 주차 브레이크 관련 장치가 동결
될 수도 있습니다 .
경사지가 아닌 , 평탄하고 안전한 곳에 차량을
주차시킬 때는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대
신 주차 후 , 바퀴에 고임목을 괴십시오 .
ORB050003

• 본
차량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 또는
유아나 어린이가 주차 브레이크에 손대
지 못하도록 하십시오 .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시킬 경우에는 주 , 정차 상태에 따라
사고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

• 긴급상황을
제외하고 주행 중에는 절
대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지 마십
시오 . 차량 시스템에 손상을 줄 뿐만 아
니라 , 주행 안전성이 불안해 질 수 있습
니다 .
경 고

Page 213 of 348

시동 및 주행5-27
ORB050002
주 의

• 주차
브레이크를 완전히 해제하였는데도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이 켜져 있으면 브레
이크 장치에 고장이 발생한 것이므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점
검 및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

•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 시킨 상태에서 운
행하면 브레이크 과열 , 브레이크 패드 (또
는 라이닝 )의 과도한 마모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 작동 해제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약간 위로 올린 후 해
제 버튼 (1 )을 누르면서 레버를 아래로 (2 ) 내
리십시오 .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면 변속기의 위치
에 따라 차량이 움직일 수도 있으므로 반드
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주차 브
레이크를 해제하십시오 .


출발하기 전에 주차 브레이크를 완전히 해
제하고 계기판 내에 브레이크 경고등이 꺼
졌는지 확인하십시오 .

̰
ABS(Anti-Lock Brake System)
ABS 장치는 차를 급제동하거나 미끄러운 도로에
서 제동할 때 , 구르던 바퀴가 잠기면서 노면 위에
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차의 진행 방향
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의 성능을 유지시켜 주
는 장치입니다 .
일반적인 주행조건에서 ABS의 제동력은 보통의
브레이크 장치와 같습니다 .
ABS 가 장착된 차로 운전할 때는 도로조건이나
교통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운전하십시오 .

• 급제동할
때는 차가 완전히 멈출 때까지 브레
이크 페달을 힘껏 밟으십시오 . 이때 절대로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거나 브레이크 페
달을 펌프질하듯이 밟지 마십시오 .

• ABS
를 장착한 차는 급제동할 때에도 스티어
링휠로 차의 진행 방향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

• ABS
가 작동할 때 브레이크 페달을 통해 전달
되는 다소의 진동과 소음은 정상적인 현상입
니다 .


• ABS
가 장착된 차는 젖은 도로나 빙판길 또
는 다져진 눈길에서 일반 브레이크를 장착한
차보다 더 빨리 멈출 수 있습니다 . 그렇다 해
도 고속으로 주행하지 마십시오 .

Page 214 of 348

시동 및 주행 5-28

• ABS
경고등과 브레이크 경고등이 동시
에 켜진 경우 , 제동력의 전 ·후륜 배분기
능도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급제동시 차
량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습니다 .
경고등이 켜지면 고속주행이나 급제동
을 피하고 곧바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점검 및 정
비를 의뢰하십시오 .

• 안전한
운전을 위해서 ABS 장치에 너무
의존하지 마십시오 . 그리고 다음과 같은
주행에 대해서 ABS장치는 안전을 보장
할 수 없습니다 .
- 운전미숙 , 잘못된 판단 또는 과속이나
안전거리 미확보 등과 같은 안전수칙
을 지키지 않는 무모한 주행 등 .
- 빗길과 같은 수막으로 인한 타이어 마
찰력이 현저히 감소되는 상황에서의
고속주행 등 .
경 고
• ABS
경고등은 시동
「ON

또는 시동 상태에
서 3 초 동안 켜집니다 .
이 시간은 자가 진단 시간인데 ABS가 정상이
면 경고등이 꺼집니다 . 만약 계속 켜져 있으면
ABS 장치에 이상이 생긴 것입니다 . 가능한 한
빨리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나 서비스
협력사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 엔진에
시동을 건 후 출발할 때 저속에서
ABS 자체 진단음이 미약하게 들릴 수 있습
니다 .
이것은 ABS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상이 아닙니다 .

• 배터리가
방전되어 엔진을 점프 스타트할 때
는 엔진 회전이 불안정하고 동시에 ABS 경고
등이 켜지며 깜빡일 수 있습니다 . 이것은 배터
리의 전압이 부족해서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배터리의 전압이 회복된 후 주행 하십시오 .

• 타이어
주위를 청소할 때는 각 휠
에 장착되어
있는 차속 감지 장치 및 배선 등에 손상을 입
히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 ABS
는 고속도로나 상태가 좋은 도로에서 브
레이크 효과를 최대로 발휘하도록 설계되었
습니다 . 상태가 좋지 않은 포장도로에서 ABS
는 브레이크 효과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 항
상 기후나 도로 상태를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속도로 안전하게 주행하십시오 .

• ABS
가 장착된 차라도 , 충분한 제동 거리가
필요합니다 . 항상 앞차와 안전거리를 유지하
십시오 .

• ABS
가 장착된 차량도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
을 방지할 수는 없습니다 .

• 또한
자갈길이나 비포장도로 또는 눈이 막 쌓
인 길에서는 일반 브레이크를 장착한 차보다
제동 거리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

• 선회할
때는 항상 감속하여 주행하십시오 .
ABS 가 장착된 차도 과속으로 인한 사
고는 방
지할 수 없습니다 .

• 빙판길과
같은 미끄러운 도로를 주행할 때 브
레이크를 계속 밟고 있으면 ABS가 계속 작
동하여 ABS 경고등이 켜지는 경우도 있습니
다 .
이러한 경우에는 차를 안전한 곳에 세운 후에
엔진을 껐다가 다시 시동을 걸어 ABS 경고등
이 꺼지는지 점검하십시오 .

• 운행
중에 ABS 경고등이 계속 켜져 있으면
ABS 장치에 이상이 생긴 것이므로 가능한
한 빨리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나 서비스 협
력사에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
이런 경우라도 일반적인 브레이크 기능은 작
동합니다 .

Page 215 of 348

시동 및 주행5-29

̰ 차체 자세 제어 장치(
VDC)
차체 자세 제어 장치 (VDC) 는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에서 구동되는 바퀴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발진하기 쉽게 하고 선회 가속할 때 적절한 구동
력 , 조종력을 확보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 차속 및
조향각 센서등 각종 센서들로부터 운전자의 조종
의도를 판단하고 4 개의 바퀴에 개별적인 제동력
을 적절히 배분하여 제동시 및 가속시 , 또한 커브
를 돌 때 차량의 앞 ,뒤 ,좌 ,우 모든 방향에 대한 차
체의 자세를 제어하여 보다 안정된 조종력을 확
보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
※ VDC
는 Vehicle Dynamic Control 의 약자입
니다 .
ORB052009K


VDC 작동
-

● 작동될 때
주행중 차체 자세 제어 장치가 작
동되는 구간에서는 VDC작동 표
시등 (
)이 깜빡입니다 .

• VDC
가 작동될 때는
구동력과 제동력의 영향으로
약간의 진동이 느껴질 수 있으나 이는 정상입니다.

• 진흙 길 또는 미끄러운 눈길을
빠져나오고자 가속 페달을 밟
을 때, 엔진 회전수( rpm)가 상
승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작동 가능 상태

• 차량의
엔진을 시동을 걸면 표
시등이 약 3 초간 켜졌다가 꺼
진 후 자동으로 VDC 작동 가
능 상태가 됩니다 .

• 엔진
시동 후


버튼을
0 .5 초 이상 눌러 VDC 작동
을 정지시킨 상태 (
표시등
켜짐 )에서는 한번 더


버 튼 을 누 르 면 계 기 판 에
VDC 작동 정지 표시등 (
)
이 꺼지면서 차체 자세 제어
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됩니다 .


엔진 시동 후 출발 시 저속에
서 미약한 VDC 자체 진단음
이 들릴 수 있습니다 . 이것은
VDC 가 정상 작동되고 있음
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상이
아닙니다 .

Page 216 of 348

시동 및 주행 5-30
커브길, 눈이 쌓인 도로 , 동결로에서는 VDC
기능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말고 안전운행에
유의 하십시오 .
특히 VDC 작동 표시등이 깜빡이는 경우나
노면이 미끄러지기 쉬운 상태 또는 커브길
에서는 가속하지 말고 서행하십시오 .
경 고

▶ 표시등
시동을
「 ON

으로 하면 켜지고 VDC장치에 이
상이 없으면 약 3 초후 꺼집니다 .
작동 /경고 표시등은 VDC가 작동될 때 깜빡이
고 , VDC 작동 가능상태에서 VDC 장치에 이상
이 있거나 장치 보호를 위한 기능 일시 정지 시
켜집니다 .
작동 정지 표시등은


버튼을 눌러 VDC
장치를 해제 시켰을 때 꺼집니다 .
̰VDC 작동 정지 표시등(켜짐)
̰VDC 작동/경고 표시등(깜빡임/켜짐)
OTD059012
OTD059013

▶ VDC 작동 정지

● 작동 정지 상태

• 「」

버튼을 0 .5 초 이상 눌러 계
기판에 작동 정지 표시등 (
)이
켜지면 차체 자세 제어 장치가
작동 정지됩니다 .

• VDC
작동 정지 상태에서 시동
을 끄면 VDC 작동 정지는 자동
으로 취소되며 엔진을 재시동하
면 VDC 작동 가능 상태로 복귀
됩니다 .

Page 217 of 348

시동 및 주행5-31


VDC OFF (작동 정지) 사용 방법

• 차량 검사 시
차량을 검사할 때는 시동
「 ON

상태에서


버튼을 한번 눌러 (
표시등
켜짐 ) VDC 기
능을 정지시킨 후 차량검사를 실시하고 검사
완료 후에는


버튼을 다시한번 눌러 VDC
작동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하십시오 .

• 차량 운행 시
일상적인 차량 운행 시에는 가능한 VDC 작동
가능 상태로 운전십시오 .
주행 중 VDC 작동 가능 상태에서 작동 정지
(
) 상태로 변환시키고자 할 때에는 직선 평
탄로에서 정속 주행을 하며


버튼을 누르
십시오 .
특히 , VDC 작동 상태 (
표시등 깜빡임 )에서
는 절대로


버튼을 누르지 마십시오 .
VDC 작동 상태에서 VDC 기능을 정지시키면
갑작스런 차량의 미끄러짐으로 인하여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차량검사시
속도계 시험기로 속도를 측정할
때 VDC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으면 VDC 기
능이 작동하여 속도의 상승억제가 작용됨에
따라 속도계가 불량으로 나와 불합격 판정을
받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버튼을 눌러
VDC 작동을 정지하십시오 .

• VDC
작동 가능인 상태에서


버튼을 눌
러 VDC 기능이 정지되어도 ABS 및 제동성
능에는 전혀 이상이 없습니다 .
VDC 작동 상태에서는
「」
버튼을 누르지
마십시오 .
미끄러운 노면을 급가속 또는 선회가속 중



버튼을 눌러 VDC 기능을 정지시키
면 갑작스런 차량의 미끄러짐으로 인하여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행 중 VDC 작동 가능 상태에서 작동 정지
(
) 상태로 변환시키고자 할 때에는 직선
평탄로에서 정속 주행을 하며


버튼을
누르십시오 .
경 고

̰ VSM

VSM은 주행 노면이 미끄럽거나 좌 ,우 바퀴의 노
면 마찰 계수가 다른 경우 제동 시 차체 자세 제어
장치 (VDC) 와 전동 파워 스티어링 (EPS)를 협조
제어하여 제동 안전성 및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
키는 시스템입니다 .
※ VSM
은 Vehicle Stability Management 의 약
자입니다 .


VSM 작동
VSM 이 작동되는 구간에서는 VDC 작동 표
시등 (
)이 깜빡입니다 .
VSM 이 작동될 때는 구동력과 제동력의 영향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EPS)의 협조 제어의
영향으로 약간의 진동 및 조향 핸들의 이질감
이 느껴질 수 있으나 이는 정상입니다 .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VSM이 작동하지 않 습니다.
- 도로의 경사도가 심한 경우
- 후진 주행하는 경우
- VDC 작동 정지 표시등 (
)이 켜진 경우
- 전동 파워 스티어링 경고등 (EPS)이 켜진
경우

Page 218 of 348

시동 및 주행 5-32

• VSM
은 운전자를 위한 보조 장치입니
다 . 차량 안전 및 통제는 운전자 스스로
의 판단에 의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 시
스템에 의존하여 위험한 주행을 해서
는 안되며 , 항상 스티어링 휠을 확실하
게 잡고 안전한 제동거리를 확보 및 필
요 시 브레이크를 밟아 속도를 줄이십
시오 .

• VSM
작동중에도 도로 및 주행 상태에
대하여 세심하고 지속적인 주의를 기울
이십시오 .


차량 출고 시 제공된 타이어 및 휠과 다
른 사이즈 또는 다른 타입의 타이어와 휠
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 시스템 오작동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경 고

VSM 기능 해제

「」
버튼을 눌러 VDC 를 해제하면 , VSM도
해제되며 계기판에 VDC 작동 정지 표시등
(
) 이 켜집니다 .
「OFF

상태에서 버튼을 다
시 누르면
「ON

상태로 변환되며 작동 정지
표시등 (
)이 꺼집니다 .

▶ 시스템 이상
차체 자세 제어 장치 (VDC) 와 전동 파워 스티
어링 (EPS) 에 이상이 있을 때에는 VSM 기능
도 작동되지 않습니다 . VDC 작동 표시등 (
)
또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경고등 (EPS)이 계속
켜질 경우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
협력서에 점검 및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
주 의

• VSM
은 15 km/h 이상, 커브길 주행 시 작동
합니다 .

• VSM
은 마찰 계수가 다른 노면을 3 0 km/h
이상 주행 시 작동합니다 .

▶ 경사로 밀림 방지 기능
(HAC: Hill-start Assist Control)
경사로 밀림 방지 기능은 경사가 심한 언덕길
에서 정차 후 출발 시 일시적으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입니다 . 이 기능은 약 1 초간 작동되나 가
속 페달을 밟아 차량이 출발하기 시작하면 자
동으로 해제됩니다 .
주 의

• HAC
기능에 의한 브레이크 작동은 약 1 초
후 자동 해제되므로 일부러 브레이크 페달
을 떼고 가속 페달을 밟지 않고 있으면 갑
자기 뒤로 밀려 매우 위험합니다 .

• 변속레버가

「P
」(
주차 ) 또는
「N
」(
중립 ) 위치
일 때는 작동되지 않습니다 .

• VDC
기능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HAC 기능
은 작동되나 , VDC 장치에 이상이 있을 때
에는 HAC 기능도 작동되지 않습니다 .

Page 219 of 348

시동 및 주행5-33

̰ 급제동 경보 시스템
(ESS)
급제동 경보 시스템은 차량 주행중에 급제동을
하거나 또는 제동중 ABS가 작동하면 브레이크
램프가 빠르게 점멸되어 후방 차량에게 위험 상
황을 경고 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
( 단 , 차량속도가 55 km/h 이상이고 제동중 차량
감속도가 7 m/s² 이상 또는 ABS 제어시에만 작동
됩니다 )
브레이크 램프가 깜빡이는 중에 차량속도가 40
km/h 이하에서 급제동 상황이 해제되거나 ABS
작동이 중단되면 브레이크 램프 깜빡임은 중단됩
니다 .
비상경고등이 이미 켜져 있는 경우에는 급제
동 경보시스템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
주 의
※ ESS
는 Emergency Stop Signal 의 약자입니다 .

Page 220 of 348

시동 및 주행 5-34
ORB050022
공회전 제한 시스템 (ISG)은 신호 대기 상황이거
나 정차 중일 때 차의 엔진을 일시 정지하여 연비
를 향상시키고 , 배출가스 발생을 억제하는 시스
템입니다 . ISG 시스템은 시동을 걸면 항상 작동
합니다 .
※ ISG
는 Idle Stop and Go 의 약자입니다 .
̰ 엔진 자동 정지
1
.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차속이
“ 0
km/h
” 이
되면 엔진이 자동으로 정지되고 , ISG 표시
등 (녹색 )이 켜지고 , 클러스터 표시창에
“ AUTO
STOP 작동중

및 작동시간이 표시됩니다 .
2 . 이 상태에서 기어를
「N
」(
중립 ) 또는
「P
」(
정지 )
로 변경 후 , 브레이크 페달을 떼어도 엔진 정지
상태가 유지됩니다 .
3 . 이 때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 기어를
「D
」(
주행 ),
「R
」(
후진 ) 또는 스포츠 모드로 옮길 경
우 자동시동이 되지 않으므로 안전을
위해 자
동 정지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계
십시오 .
주 의
ISG
시스템이 작동할 때 일부 경고등 (ABS, 브
레이크 , VDC, VDC OFF) 이 켜질 수 있으나 ,
재 시동할 때 순간적인 전류 소모로 인한 현상
으로 시스템 고장이 아닙니다 .
주 의
자동으로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안전 벨트
해제 , 도어 또는 후드가 열리면 안전을 위하
여 자동 시동이 되지 않고 , 경고음이 울립니다 .
이때는 반드시 일반 키 또는 스마트 키로 시동
을 걸어야 합니다 .
ORB052030D
공회전 제한 시스템( ISG)

Page:   < prev 1-10 ... 171-180 181-190 191-200 201-210 211-220 221-230 231-240 241-250 251-260 ... 350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