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Accent 2013 엑센트 RB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251 of 348
비상시 응급 조치 6-14
▶ 임시 타이어 장착 시
임시 타이어는 장착 타이어의 펑크 등 긴급 상
황이 발생하였을 때 일반 타이어로 교체할 수
있는 곳까지 이동할 동안에 사용하는 타이어
로 , 일반 타이어 대비 중량과 부피가 적어 차량
연비를 향상시키고 일반인들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반면 일반 타이어에 비해 내구 성능 및
주행 성능이 떨어져 장거리 및 고속 주행을 해
서는 안되며 반드시 비상시에만 사용하도록
하십시오 . 주 의
•
너트는 기존의 너트나 동일한 것으로 사용
하십시오 .
•
타이어를 교체했을 때는 약 1 ,000 km 주행
후 다시 한번 휠 너트를 조여 풀림이 없는
지를 점검하십시오 .
• 타이어를
교체한 후 주행 중에 스티어링 휠
이 흔들리거나 차체에 진동이 생길 때는타
이어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것이므로 타이어
의 균형을 맞추십시오 . 맞춘 후에도 불균형
상태가 계속될 때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
• 바퀴
하나가 지면에서 떨어지면 잭으로
부터 차체가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반드
시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겨 놓고 , 교
체 타이어 대각방향의 타이어에 고임목
을 괴십시오
•
타이어 교체은 반드시 경사없는 평탄하
고 안전한 장소에서 실시하십시오 .
•
체결 토크가 적절하지 못할 경우 제동
시 브레이크 떨림 현상이 일어날 수 있
으며 , 타이어 이탈 사고의 원인이 될
수있습니다 .
•
차량의 예비 (또는 임시 (사양 적용시 )) 타
이어를 교체할 경우 항상 바른 자세로 교
체하시기 바랍니다 . 허리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경 고
다른 종류의 타이어를 혼용해 사용하거나
규정 사이즈 이외의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
은 차의 안전성을 저해하므로 절대로 피하
십시오 . 단 , 타이어 펑크 등 긴급상황이 발
생하였을 때는 한시적으로 제공된 타이어
및 휠과 사이즈가 다른 임시 타이어를 사
용할 수 있습니다 .
경 고
Page 252 of 348
비상시 응급 조치6-15
주 의
• 임시
타이어를 장착한 후 신속히 가까운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서 규정된 일반 타이어로 교체하여 운행하
십시오 . 임시 타이어로 장거리 운행을 삼가
십시오 .
•
임시 타이어를 장착했을 경우 , 타이어 체인
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
•
임시 타이어는 각 차량에 맞게 특수 설계
되었으므로 , 다른 차량에의 사용은 금하십
시오 .
주 의
• 임시
타이어를 탈거후 재장착 시에는 확실
히 고정하십시오 .
만약 장착 후 유동이 있는 경우는 재장착하
거나 ,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에서 점검을 받
으십시오 .
• 임시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할 때는 장착방
향을 반드시 준수하여 장착하십시오 .
• 임시
타이어를 손이나 발로 흔들어 흔들
림이 없이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확인하십
시오 .
• 눈길이나
빙판길을 운행해야 하는 경우에
임시 타이어는 뒷쪽 타이어에만 장착하십
시오 .
앞타이어 펑크 시 뒷타이어를 앞쪽으로 이
동 후 뒷타이어에 임시 타이어를 장착하십
시오 .
• 임시
타이어 장착 시 주행속도 60 km/h( 최
고속도 80 km/h) 및 공기압 60 psi 를 반드시
지키십시오 .
̰ 견인 트럭으로 견인 시
만일
견인이 필요하다면 되도록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 또는 견인 전문 업체
를 이용하십시오 .
견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견인차량을 이용하여
차량 전체를 들어올리는 상차 견인으로 견인하는
것이며 , 만약 두 바퀴를 이용하여 견인 시에는 구
동되는 바퀴인 앞바퀴를 들어 올려 타이어 구속
방식으로 견인할 수도 있습니다 .
견인되기 전에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변속레
버를 중립 (N) 위치에 놓으십시오 .
돌리
상차 견인 타입
타이어 구속 견인 타입
OMC045012
차량 견인
Page 253 of 348
비상시 응급 조치 6-16
주 의
• 서스펜션
구속 방식으로 견인하면 범퍼와
하부 부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
• 구동되는
앞바퀴를 땅에 대고 차량 뒷부
분을 들어올려 견인하면 변속장치가 손
상될 수 있습니다 .
• 견인할
때 범퍼 및 하부부품 손상에 주의
하십시오 .
HXD03
HXD02
̰ 견인차가 아닌 일반차량으로의 견인시
1
. 견인 후크에 로프를 단단히 고정 시키십시오 .
̰ 탈부착 견인 후크
1
. 공구 박스내에 있는 견인 후크를 준비 하십시오 .
2 . 범퍼의 홀 커버 아래쪽을 눌러 분리하십시오 .
3 . 견인 후크를 홀에 넣어 오른쪽으로 돌려 체결
하십시오 .
4 . 분리는 체결의 역순으로 하십시오 .
ORB060006ORB060007
ORB060008
̰앞
̰뒤
Page 254 of 348
비상시 응급 조치6-17
2. 로프는 5 m 이내로 하고 중앙에 흰천 (약 30 cm
너비 )을 묶어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십시오 .
3 . 변속 레버를
「 N
」(
중립 ) 위치에 놓으십시오 .
4 . 스티어링 휠이 잠기지 않도록 시동을
「ACC
」
위치에 놓으십시오 .
5 .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십시오 .
6 . 견인 중에는 로프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고 ,
강한 충격이나 횡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7 . 견인할 때 운전자 상호간에 연락을 하면서 스
티어링 휠을 잡고 견인차량과 같은 방향으로
조향을 하십시오 .
5m 이내
OTD069011
※ 견인 시 유의 사항
• 바퀴가
진흙 , 모래 또는 도랑 등 차량 자체의
힘으로 빠져 나올 수 없는 상태에 있을때 절
대 임의로 견인하지 마십시오 .
• 견인하는
차량보다 무거운 차량의 견인은 피
하십시오 .
• 브레이크
제동 성능이 평소보다 나빠지므로
제동시에는 브레이크 페달을 평소보다 세게
밟으십시오 .
• 파워
스티어링 휠 장착 차량은 파워 스티어링
휠 장치가 작동되지 않게 되어 스티어링 휠
조작이 상당히 부드럽지 않기 때문에 평소보
다 스티어링 휠을 세게 조작하십시오 .
• 긴
경사길을 내려올 때는 브레이크가 과열되
어 제동 성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자주
차량을 정지하여 브레이크 온도를 식히십시오 .
• 자동변속기
차량은 위급시 짧은 거리 (견인속
도 : 15 km/h 이내, 견인거리 1 .5 km 이내 )를
제외하고는 일반차량으로의 견인을 하지 마
십시오 .
변속기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
• 견인
후크는 일시적인 짧은 거리의 견인
및 구난할 때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
시 견인의 목적은 없습니다 .
용도 이외로 사용할 경우 사고의 우려가
있습니다 .
• 견인을
할 때에는 매우 주의하십시오 .
비상용 견인 고리와 견인 로프 또는 체인
에 과도한 하중을 줄 수 있는 갑작스러운
출발이나 난폭한 운행을 피하십시오 . 견
인 고리와 견인 로프 또는 체인이 파손되
어 심하게 다치거나 차량이 손상될 수 있
습니다 .
경 고
주 의
차량
다른 부위에 연결하여 견인 할 경우 차체
손상 및 변형의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견인
후크에 연결하십시오 .
Page 255 of 348
비상시 응급 조치 6-18
바퀴가 진흙 , 모래 또는 차량 자체의 힘으로
는 빠져 나올 수 없는 상태에 있을 때 비상
견인 고리를 이용하여 차량을 견인하고자
할 경우 견인 고리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져
견인 고리 , 로프 또는 체인이 파손되어 심각
한 차량 손상이나 부상이 날 수 있습니다 .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
또는 견인 전문 업체에 의뢰하십시오 .
경 고 주 의
자동변속기
차량은 자동변속기 오일이 누유가
없을때만 일반 차량으로의 견인이 가능합니다 .
오일 누유가 없는지 확인하십시오 . 오일 누유
가 발생한 상태에서 일반차량으로의 견인은
변속기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
•
견인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무리하
게 견인을 계속하려고 하지 마시고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 또
는 견인 전문 업체를 이용하십시오 .
• 가능한
차량 앞쪽으로 똑바로 향하여 견
인하십시오 .
•
견인할 때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계
십시오 .
경 고
Page 256 of 348
비상시 응급 조치6-19
※
평상시에 소화기의 장착 위치 및 사용법을 미
리 확인하여 화재 발생시 신속한 조치를 취하
십시오 . 소화기가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
도록 관리 요령에 따라 정기적으로 점검하십시
오 . 소화기 관리 요령 및 주의 사항은 소화기에
부착된 안내문을 참고하십시오 .
※
소화기 사용방법
1 .
바람을 등지고 안전핀을 제거하십시오 .
2 .
노즐을 화재의 근원으로 향하게 하십시오 .
3 .
레버를 움켜 쥐고 빗자루로 쓸듯이 방사하
십시오 .
̰ 사고 발생 시
사고를 일으키거나 사고를 당한 경우는 인명 안
전을 고려해 다음 조치를 취하십시오 .
1 . 후속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른 차량에 방해
가 되지 않는 안전한 장소 (도로 옆 , 공터 등 )
에 차를 세우십시오 .
2 . 부상자가
발생했을 경우 응급처치를 하고 경
찰서 및 119 에 연락하여 도움을 요청하십시
오 .
3 .
경찰관
및 119 구급대원 등이 도착한 후에는
지시에 따르십시오 .
4 . 경미한
사고라도 반드시 의사의 진단을 받으
십시오 .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사고차로부터 연료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 이때는 인화 , 폭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을 정지 시키고 현장에
서는 담뱃불 등의 화기를 멀리하십시오 .
경 고
̰ 차량 화재 시
즉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여 엔진을 정지 시킨
후 소화기 등으로 진화하십시오 . 진화 등의 응급
조치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사람들의 접근을
막고 소방서 및 경찰서에 연락하여 필요한 조치
를 취하십시오 .
안전을 위해 항상 소화기를 차 안에 비치하십시오 .
소화기는 인근 소방기구 판매업소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
1JBA1007
사고 및 차량 화재 시 응급조치
Page 257 of 348
비상시 응급 조치 6-20
•
라디오를 항상 청취하고 고속도로 안내전화 1588 -2504 를 이용합시다 .
•
커브길 , 고갯길 , 교량 등에는 감속운전을 하십시오 .
•
차량방치 및 갓길 주차는 제설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니 삼가십시오 .
•
부득이 벗어날 때는 연락처를 반드시 남겨 두십시오 .
•
차간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브레이크 사용을 자제하십시오 .
•
수시로 차량 주변의 눈을 치워 배기관 (머플러 )이 막히지 않도록 하십시오 .
※ 고속도로 콜센터 전화 및 권역별 라디오 주파수 안내
• 고속도로
안내전화 : 1588 -2504 , 031 -710 -7240 ~5, 031 -710 -7251 ~6
•
재난 시 라디오 주파수
구 분 서 울 대 전 대 구 부 산 광 주 군 산 원 주 강 릉 KBS 표준 97.3 94.7 101.3 103.7 90.5 96.9 97.1 98.9
MBC
F4U 91.9 97.5 95.3 88.9 91.5 99.1 98.9 94.3
표준 FM 95.9 92.5 96.5 95.9 93.9 94.3 92.7 96.3
SBS (지역민방) 107 .7 95.7 99.3 99.9 101.1 90.1 105.1 106.1
교통방송 95.1 102.9 103.9 94.9 97.3 102.5 105.9 105.5
[NSC( 국가안전보장회의 ) 권장 대국민 행동 요령 ]
폭설 시 행동요령
Page 258 of 348
높
엔진부의 명칭 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행높했3
4
Page 259 of 348
4
Page 260 of 34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