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Porter Ⅱ 2017 포터Ⅱ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201 of 296
시동 및 주행
4-40
▶주행중에 ABS 경고등이 점등되었을 때는
1. 안전한 장소에 차를 정지시키고 나서 엔진
시동을 끕니다. 다시 엔진 시동을 걸어 점
등 되었다가 약 3초후 경고등이 소등되면
이상이 아닙니다.
엔진 시동을 건 후에도 점등되지 않는 경우
나 3초후 소등되지 않는 경우 또는주행후
다시 점등될 때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
는 종합/전문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
시오.
2. 부스터 케이블(점프 케이블)에 의해 엔진
시동을 건 후 충전이 불충분한 상태로 차를
출발시키면 엔진이 불규칙하게 회전이 발
생하면서 ABS 경고등이 점등되어 주행할
수 없는 수가 있습니다.
이것은 배터리 전압 부족에 의한 것으로
ABS의 고장은 아닙니다. 이와 같은 경우는
공회전으로 배터리를 충분히 충전한 후 주
행하십시오.
•ABS가 작동되면 브레이크 페달에 미약
한 진동을 느끼거나 작동음이 들릴 수 있
습니다.
이것은 ABS가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상은 아닙니다.
•ABS가 장착된 차량이 요철을 통과할 때 브
레이크를 작동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브레
이크가 서서히 내려가는 스폰지현상이 일
어날 수 있습니다. 이것은 ABS 작동에 의
한 정상적인 현상으로 제동은 정상 작동됩
니다.
요철을 통과 시에는 속도를 낮추어 안전 운
전 하십시오
주 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서 ABS 장치에 너무 의
존하지 마십시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주행
에 대해서 ABS장치는 안전을 보장할 수 없
습니다.
•운전미숙, 잘못된 판단 또는 과속이나
안전거리 미확보 등과 같은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는 무모한 주행
•빗길과 같은 수막으로 인한 타이어와 노
면사이의 마찰력이 현저히 감소되는 상
황에서의 고속주행
경 고
Page 202 of 296
시동 및 주행
4-41
0차체 자세 제어 장치(ESC)
차체 자세 제어 장치(ESC)는 미끄러지기 쉬운 노
면에서 구동되는 바퀴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발진하기 쉽게 하고 선회 가속시의 적절한 구동
력, 조종력을 확보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차속 및
조향각 센서등 각종 센서들로부터 운전자의 조종
의도를 판단하고 4개의 바퀴에 개별적인 제동력
을 적절히 배분하여 제동시 및 가속시, 또한 커브
를 돌 때 차량의 앞, 뒤, 좌, 우 모든 방향에 대한
차체의 자세를 제어하여 보다 안정된 조종력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 ESC는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의 약자입
니다.
OHR047171OHR047171
▶ESC 작동
-
●작동 가능 상태
•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키면 표시
등이 약 3초간 점등되었다가 소
등된 후 자동으로 ESC 작동 가
능 상태가 됩니다.
•엔진 시동 후 「」 버튼을 0.5
초 이상 눌러 ESC 작동을 정지
시킨 상태(표시등 점등)에서
는 한번 더 「」 버튼을 누르면
계기판에 ESC 작동 정지 표시
등()이 소등되면서 차체 자
세 제어 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
태로 됩니다.
•엔진 시동 후 출발 시 저속에서
미약한 ESC 자체 진단음이 들
릴 수 있습니다. 이것은 ESC가
정상 작동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상이 아닙니다.
●작동될 때
주행중 차체 자세 제어 장치가 작
동되는 구간에서는 ESC 경고등
()이 점멸됩니다.OTD059012OTD059012
▶ESC 작동 정지
차량 엔진을 시동시키면 자동으로
ESC 작동 가능상태가 됩니다.
OTD059013OTD059013
Page 203 of 296
시동 및 주행
4-42
▶표시등
시동을 「ON」 으로 하면 점등되고 ESC장치에
이상이 없으면 약 3초후 소등됩니다.
ESC 경고등은 장치에 이상이 있거나 장치 보
호를 위한 기능 일시 정지 시 점등되며, ESC가
작동할 때에는 점멸합니다.
작동 정지 표시등은 「」 버튼을 눌러 ESC
장치를 해제 시켰을 때 점등됩니다.
OTD059013OTD059013OTD059012OTD059012
▶ESC OFF(작동 정지) 사용 방법
•차량 검사 시
차량 검사 시에는 시동 「ON」 상태에서 「」
버튼을 한번 눌러 (표시등 점등) ESC 기능
을 정지시킨 후 차량검사를 실시하고 검사 완
료 후에는 「」 버튼을 다시한번 눌러 ESC
작동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하십시오.
•차량 운행 시
일상적인 차량 운행 시에는 가능한 ESC 작동
가능 상태로 운행하십시오.
주행 중 ESC 작동 가능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변환시키고자 할 때에는 직선 평
탄로에서 정속 주행을 하며 「」 버튼을 누르
십시오.
특히, ESC 작동 상태( 표시등 점멸)에서는
절대로 「」 버튼을 누르지 마십시오.
ESC 작동 상태에서 ESC 기능을 정지시키면
갑작스런 차량의 미끄러짐으로 인하여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경사로 등판 및 선회주
행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커브길, 눈이 쌓인 도로, 동결로에서는 ESC
기능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말고 안전운행에
유의 하십시오.
특히 ESC 경고등이 점멸하는 경우나 노면
이 미끄러지기 쉬운 상태 또는 커브길에서
는 가속하지 말고 서행하십시오.
경 고
Page 204 of 296
시동 및 주행
4-43
•차량검사시 속도계 시험기로 속도를 측정할
때 ESC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으면 ESC 기
능이 작동하여 속도의 상승억제가 작용됨에
따라 속도계가 불량으로 나와 불합격 판정을
받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 버튼을 눌러
ESC 작동을 정지하십시오.
•ESC 작동 가능인 상태에서 「」 버튼을 눌
러 ESC 기능이 정지되어도 ABS 및 제동성
능에는 전혀 이상이 없습니다.
ESC 작동 상태에서는 「」 버튼을 누르지
마십시오.
미끄러운 노면을 급가속 또는 선회가속 중
에 「」 버튼을 눌러 ESC 기능을 정지시키
면 갑작스런 차량의 미끄러짐으로 인하여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행 중 ESC 작동 가능 상태에서 작동 정지
() 상태로 변환시키고자 할 때에는 직선
평탄로에서 정속 주행을 하며 「」 버튼을
누르십시오.
경 고
0 급제동 경보 시스템 (ESS : Emergency
Stop Signal)(사양 적용시)
급제동 경보 시스템은 차량 주행중에 급제동을
하거나 또는 제동중 ABS가 작동하면 브레이크
램프가 빠르게 점멸되어 후방 차량에게 위험 상
황을 경고 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단, 차량속도가 55km/h 이상이고 제동중 차량
감속도가 7m/s² 이상 또는 ABS 제어시에만 작동
됩니다)
비상경고등이 이미 켜져 있는 경우에는 급제동
경보시스템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주 의
Page 205 of 296
엔진시동이 안 걸릴 경우 ...............................................................5-2
스타트 모터가 회전하지 않을때 .................................................. 5-2
스타트 모터는 정상으로 회전하나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 ......5-2
배터리 방전시 점프 스타트 요령 ................................................ 5-2
전기장치 고장 ..................................................................................5-4
퓨즈의 교환 ....................................................................................... 5-4
파워 커넥터 ....................................................................................... 5-7
엔진 오버히트(과열시) ...................................................................5-8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TPMS) ......................................... 5-10
저압 타이어를 감지하였을 때 .................................................... 5-10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경우 ................. 5-11
타이어를 교체할 때 ....................................................................... 5-12
타이어 펑크시의 조치 ................................................................. 5-13
잭 ........................................................................................................ 5-13
잭의 지정 포인트 ........................................................................... 5-16
예비 타이어 ..................................................................................... 5-18
타이어 1개만 보관하는 경우 ...................................................... 5-21
타이어를 보관하지 않는 경우 .................................................... 5-21
예비 타이어 도난방지 장치 ........................................................ 5-21
타이어 교환 방법 ........................................................................... 5-22
차량 견인 ....................................................................................... 5-28
견인트럭으로 견인시 .................................................................... 5-28
일반차량으로 견인시 .................................................................... 5-29
고장이 나면 ................................................................................... 5-31
시동이 꺼져 견인하는 경우 ........................................................ 5-31
교차로/ 건널목에서 시동이 꺼진 경우 ................................... 5-31
고속도로에서 고장이 난 경우 .................................................... 5-32
주행중 시동이 꺼진 경우 ............................................................. 5-32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 5-32
노상에서 주행중 고장이 난 경우 ..............................................5-33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비상 삼각대) .................................... 5-33
사고 및 차량 화재시 응급조치 .................................................. 5-34
차량 화재시 응급조치 .................................................................. 5-34
폭설 시 행동요령 ......................................................................... 5-35
비상시 응급 조치
5장 목차
5
Page 206 of 296
비상시 응급 조치
5-2
엔진시동이 안 걸릴 경우
0스타트 모터가 회전하지 않을때
•배터리의 방전 상태, 배터리 단자의 연결 상
태를 점검하십시오.
•자동변속기 차량은 「 P」 (주차) 또는 「 N」 (중립)
위치에서만 시동이 걸리므로 다른 위치에 있
지 않은지 점검하십시오.
0 스타트 모터는 정상으로 회전하나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
연료량을 점검하십시오.
※ 계속해서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는 긴급 출동
지원센터로 연락하여 응급조치를 받으십시
오. (책자 뒷부분의 「긴급출동서비스 안내」편
을 참조하십시오.)
OHR042050OHR042050보조 배터리보조 배터리
①①
방전된 차량방전된 차량④④
③③
②②
0배터리 방전시 점프 스타트 요령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는 타차량의 배터리나 보
조 배터리를 점프 케이블로 연결하여 시동을 걸
수 있습니다. 점프 스타트는 잘못하면 대단히 위
험하므로 되도록 전문가에게 의뢰하십시오.
1. 보조배터리가 12V인지 확인하십시오.
2. 방전된 차량의 모든 전기장치를 끄십시오.
3. 방전 배터리의 양극(+) ①과 보조 배터리의 양
극(+) ②을 점프 케이블로 연결하십시오.
4. 보조 배터리의 음극(-) ③과 방전된 차체 ④에
점프 케이블을 연결 하십시오.
엔진이 시동될 때 움직이는 부품의 근처나 배
터리의 단자에 절대 연결하지 마십시오.
5. 타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할 경우는 타 차량의
시동을 먼저 걸어 엔진회전 2000rpm 이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몇 분 기다리십시오.
6.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거십시오.
7. 엔진 시동이 되면 음극(-)에 연결된 점프 케이
블을 먼저 분리한 다음, 양극(+)끼리 연결된 점
프 케이블을 분리하십시오.
Page 207 of 296
비상시 응급 조치
5-3
•시동되어 있는 동안 배터리가 충전됩니다.
배터리 점프 후에는 일정시간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시동 유지시간 또는 배터리의 방전 상태에
따라 재시동이 걸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주 의
HHR4002HHR4002
※ 더블캡 차량의 배터리는 뒷좌석 쿠션을 앞쪽
으로 들어올려 배터리 커버를 탈거하면 볼 수
있습니다.
•점프 스타트 중에 점프 케이블의 양극
(+)과 음극(-)이 서로 닿지 않도록 하십
시오. 서로 닿을 경우, 불꽃이 튀어 위험
합니다.
•배터리가 작동되는 동안에는 불꽃에 의
해 폭발할 수 있는 가스가 발생되므로
배터리로부터 불꽃을 멀리 하십시오.
•방전된 배터리가 얼었거나 배터리액의
양이 적으면 점프 스타트 시 배터리의
파열 및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보조 배터리와 방전된 배터리를 점프 케
이블로 연결할 때는 방전된 배터리의 음
극(-) 단자를 직접 연결하지 마시고 배
터리로부터 멀리 떨어진 견고한 금속에
접지 시키십시오. 직접 연결시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경 고
Page 208 of 296
비상시 응급 조치
5-4
• 배터리에는 부식력이 강한 묽은 황산액
이 있으므로 배터리액이 신체나 옷, 차
체에 묻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오.
만약 배터리액이 눈이나 신체 에 묻었으
면 즉시 오염된 옷을 벗고 그 부위를 깨
끗한 물로 약 15분 정도 씻어낸 후 전문
의사의 진단을 받으십시오. 구급차로 이
송되는 경우 부드러운 천이나 스폰지에
물을 묻혀 계속 그 부위를 닦아내십시오.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은 밀어서 시동을
걸 수 없으며 수동변속기 장착 차량은
밀어서 시동을 거는 경우 촉매변환장치
가 손상될 위험이 있으므로 가급적 삼가
십시오.
•보조 배터리는 반드시 12V로 하십시오.
전압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배터리 파
열 및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경 고
OHR077009OHR077009
엔진룸 퓨즈 및 릴레이 박스엔진룸 퓨즈 및 릴레이 박스
OHR077008OHR077008
실내 퓨즈 박스실내 퓨즈 박스
전기장치 고장
0퓨즈의 교환
라이트와 각종 액세서리 전기장치에 대한 퓨즈박
스는 운전석 좌측 대쉬보드 밑과 엔진룸에 있으
며, 박스 내부에는 각 전기회로별 퓨즈들이 있습
니다. 갑자기 전기 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면 다음
과 같이 의심스러운 퓨즈를 뽑아서 확인/ 교환
합니다.
1. 시동 스위치를 「OFF」시키고 모든 전기 장치
스위치를 끕니다.
2. 실내 퓨즈박스 커버에 있는 퓨즈집게를 이용
하여 의심스러운 퓨즈를 뽑아 봅니다.
3. 끊어진 퓨즈가 발견되면 그밖의 다른 퓨즈들
도 점검하십시오.
4. 같은 용량의 새로운 퓨즈로 교환하여 제자리
에 확실히 삽입합니다. 동일용량의 예비퓨즈
가 없으면 시거라이터 같은 일시 사용하는 회
로의 퓨즈를 임시로 사용합니다. 임시로 사용
하는 퓨즈는 가능한 빨리 새 퓨즈로 교환하십
시오.
Page 209 of 296
비상시 응급 조치
5-5
G200B02LG200B02L
•퓨즈를 제거하기 위해 드라이버나 금속물
체를 이용하지 마십시오. 합선 등으로 인해
전기 장치에 큰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규정용량의 퓨즈를 사용치 않거나, 철사,
구리선 또는 은박지 등을 사용하면 전기장
치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관련 전기장치가
손상되거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 의
•퓨즈를 교환하여도 곧 끊어지는 경우는 배
선 계통에 결함이 있는 것이므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종합/전문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라디오, 시계와 관련된 퓨즈를 교환한 경우
에는 시간 및 방송국 선택을 재조정 해야
합니다.
•퓨즈를 제거하기 위해 드라이버나 금속물
체를 이용하지 마십시오. 합선 등으로 인해
전기 장치에 큰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전기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퓨즈를 분리하
면 전기장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퓨즈
반드시 시동키 「LOCK」 위치에서 교환 하십
시오.
주 의
• 차량의 전기 배선을 추가 또는 임의로
변경하지 마십시오.
•같은 용량의 퓨즈로 교환하고 다른 용량
의 퓨즈로는 절대로 교환하지 마십시오.
만일, 높은 용량의 퓨즈로 교환시 전기
배선 손상의 원인 및 화재의 위험이 있
습니다.
경 고
알아두기
퓨즈 라벨 표기 정보
차량 전장품 사양 적용에 따라 퓨즈 라벨에
표기되어 있는 전장품이 미 장착 될 수 있
습니다.
Page 210 of 296
비상시 응급 조치
5-6
▶실내퓨즈(I/P정션)박스
OHR077002OHR077002
OHR077001OHR077001
▶엔진룸 퓨즈 및 릴레이(U/H 정션)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