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Porter Ⅱ 2017 포터Ⅱ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281 of 296

정기 점검
6-42
OHR052034OHR052034
3. 커넥터를 분리하십시오.
OHR058003OHR058003
방향지시등/방향지시등/차폭등차폭등
4. 전구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려 탈거한 후 동
일 용량의 전구와 교환하십시오.
방향지시등(앞쪽), 차폭등 전구를 교환하기
위해, 차량 본체를 임의로 분해 또는 조립시,
차량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일정한 자격
과 시설을 갖추지 않은 경우에는 가까운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종합/전문 블루핸
즈에 의뢰하십시오.
주 의
OHR077100OHR077100
0안개등 전구의 교환
안개등 전구는 앞 범퍼 또는 범퍼 가드를 분리한
후에 교환이 가능합니다.
범퍼 또는 범퍼 가드 분리시 별도의 장비가 필요
하오니,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종합/
전문 블루핸즈에 의뢰하십시오.

Page 282 of 296

정기 점검
6-43
OHR053036OHR053036OHR053037OHR053037
0 방향지시등(뒤쪽), 정지등/미등,
후진등 전구 교환
1. 시동 스위치를 「OFF」위치에 놓고 전구가 식은
후, 커넥터를 분리합니다.
2. 양쪽 후크를 눌러서, 커버를 탈거하십시오.
OHR053038OHR053038
3. 전구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려 탈거후 동일
용량의 전구와 교환하십시오.
① 방향지시등
② 정지등/미등
③ 후진등
①①
②②
③③

Page 283 of 296

정기 점검
6-44
OHR052100OHR052100
0번호판등 전구 교환
1.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번호판 등 장착 스크
류를 푸십시오.
OHR052101OHR052101
장착장착
2. 커넥터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려서 커버를
탈거합니다.
3. 커넥터로부터 전구를 당겨서 탈거 후, 동일 용
량의 전구와 교환하십시오.
HHR5039HHR5039
0실내등(독서등) 전구 교환(사양 적용시)
1.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커버를 탈거하십시오.

Page 284 of 296

정기 점검
6-45
HHR5040HHR5040
2. 전구탈거 후 동일 용량의 전구와 교환하십시오.
드라이버를 끼워 커버를 분리할 때 커버가 손
상되지 않도록 조심하십시오.
주 의
HHR5055HHR5055
0실내등(앞쪽) 전구 교환
1. ( -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커버를 탈거하십시오.
HHR5056HHR5056
2. 전구 탈거후 동일 용량의 전구와 교환하십시오.
드라이버를 끼워 커버를 분리할 때 커버가 손
상되지 않도록 조심하십시오.
주 의

Page 285 of 296

정기 점검
6-46
G270E01AG270E01A
0보조 방향지시등 교환
1. 커버를 차의 앞쪽방향으로 밀고 당겨서 탈거
합니다.
HTB277HTB277
2. 커넥터와 커버를 분리합니다.
HTB278HTB278
3. 커버에서 전구를 탈거한 후 동일 용량의 전구
와 교환합니다.

Page 286 of 296

정기 점검
6-47
배출가스 규제와 차량관리
0배출가스 허용기준
▶유해 배출가스
유해 배출 가스란 엔진내부에서 연료가 연소
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출가스로, 이중 인
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일산화탄소, 탄화
수소, 질소산화물, 매연 등은 법적규제치를 두
어 관리·규제하고 있습니다.
허용기준 초과시는 개선명령 및 과태료 부과
등 법적인 제재를 받게 됩니다.
▶운행차 배출가스 허용기준
사용연료 차종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매연 공기과잉률
휘발유,가 스
경자동차 1.0% 이하 150ppm 이하 -1±0.1이내.다만, 기화기식 연료공급장치 부착자동차는 1±0.15이내,촉매 미부착 자동차는1±0.20이내
승용자동차 1.0% 이하 120ppm 이하 -
승합·화물·특수자동차
소형 1.2% 이하 220ppm 이하 -
중형·대형 2.5% 이하 400ppm 이하 -
경 유
경자동차 및 승용자동차 - - 20% 이하
승합·화물·특수자동차소형·중형·대형--20% 이하
비고 : 1. 상기 규정치 이상 방출하는 차량은 법적인 제재조치를 받게 됩니다. 2. 매연측정은 과급기(터보챠저:Turbochargers)및 중간냉각기(인터쿨러:Intercooler)를 부착한 자동차에 대하여는 5% 가산 적용 됩니다. 3. 희박연소(Lean Burn) 방식을 적용한 자동차는 공기과잉률 기준 미적용됩니다. 4 상기 기준은 수시점검 및 정기검사에 한하며, 정말검사시에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78조 및 별표21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차종 분류표 (운행차 기준)
- 운행차배출허용기준의 차종 구분은 자동차관리법 제3조 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조에 따름.
1. 경자동차 : 배기량 1000cc 미만의 길이 3.6m, 너비 1.6m, 높이 2.0m 이하인 자동차
2. 승용자동차 : 10인 이하를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
3. 승합자동차 : 11인 이상을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
4. 화물자동차 : 화물을 운송하기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
5. 특수자동차 : 견인, 구난 등 특수한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 승용·승합·화물자
동차가 아닌 자동차

Page 287 of 296

정기 점검
6-48
매연관리(디젤)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주요한 공해 요소는 흑색
연기(매연)로서 매연 농도가 25%초과일 경우 법
적인 제재조치를 받도록 되어있습니다.
매연농도 측정은 임의로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규정된 방법 즉, 무부하 급가속 3모드 매연측정
방법으로 실시해야 합니다.
규정된 3모드 매연측정 방법으로 매연을 측정하
지 않을 경우, 배기관 내에 누적된 탄매(Carbon)
가 측정되어 매연 과다로 적발될수 있으니 올바
른 매연 측정 방법을 숙지하십시오.
1. 무부하 급가속 3모드 매연 측정방법
엔진이 완전히 정상 온도를 도달한후 매연측
정기를 설치하여 그림과 같은 방법에 의해 매
연을 측정합니다.
(1) 차량을 평지에 정차시키고, 변속기를 중립
에 위치한 후, 모든 전기장치 및 에어컨을
끕니다.
(2) 매연 측정전 배기계에 쌓인 매연을 제거하
기 위해 불어내기를 3회 실시합니다.(불어
내기 방법은 공회전 상태에서 최고 회전속
도까지 2초 내 도달한 후 2초간 유지합니
다. 다시 공회전 상태로 5~6초간 유지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불어내기를 총3회 실
시하십시오.)
(3) 불어내기를 실시한 후 매연측정을 3회 실
시합니다.
(4) 최고 회전속도까지 급가속하여 첫번째 매
연을 측정합니다.
JFS1045JFS1045
최고최적속도최고최적속도
여과지설치여과지설치
지속한다지속한다지속한다지속한다
공기공기퍼지퍼지
기기관관회회전전속속도도
공기공기퍼지퍼지공기공기퍼지퍼지
지속한다지속한다
가속페달을가속페달을단번에 깊이 밟는다단번에 깊이 밟는다
여과지교환여과지교환여과지교환여과지교환
15초15초15초15초15초15초
측정끝측정끝
측정3회째측정3회째측정2회째측정2회째
매연채취매연채취
측정전 공전측정전 공전급가속 3회급가속 3회
5~6초5~6초
매연채취매연채취매연채취매연채취
측정1회째측정1회째
※ 승합ㆍ화물ㆍ특수자동차의 소형은 다음과 같
으며 그 외는 중형 또는 대형으로 분류됨.
승합자동차(소형) : 승차정원이 15인 이하인
것으로, 길이 4.7m, 너비
1.7m, 높이 2.0m 이하
화물자동차(소형) : 최대적재량이 1톤이하인
것 으 로 , 총 중 량 이 3 . 5 톤
이하
특수자동차(소형) : 총중량이 3.5톤 이하
※ 비고 : 엔진후드 안쪽에 부착된 배출가스표지
판의 차종 구분은 제작차 기준으로 차
량에 따라 운행차 기준과 상이할 수 있
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에 문의하십시오.

Page 288 of 296

정기 점검
6-49
2. 운행중인 상태의 자동차 매연 측정
운행중인 차량의 매연은 도로 여건에 따라 비
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측정하기도 하며, 매
연도 2도라 함은 매연이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식별할 수 있고 매연이 배기관 주위를 흐
리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 매연 농도의 산출방법
3회 측정한 매연 농도의 평균값으로 측정치를
정합니다. 이때 3회 측정한 측정치의 초소값과
최대값의 차이가 5%를 초과한 때에는 2회를
다시 측정하여 총 5회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의 평균값을 그차의 매연 농
도로 합니다.
4. 매연 농도에 의한 제재조치
농도 단속내용 비 고
25%(2도)
초과
개선명령
및 고발
고발되면 법적 제재
조치를 받게 됩니다.
( )안은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 측정한 경우임
※ 매 연 측 정 은 중 간 냉 각 기 ( 인 터 쿨 러 :
Intercooler)를 부착한 자동차에 대하여는 5%
를 가산하여 적용한다.
5. 매연 관리 방법
매연의 발생은 에어클리너, 연료필터, 분사노
즐, 엔진의 조정상태, 적재량 등과 밀접한 관계
가 있습니다.
(1) 에어클리너 엘리먼트의 청소 및 교환
에어클리너가 막히면 다량의 매연이 발생
되므로 에어클리너 엘리먼트를 수시로 청
소 및 교환해야 됩니다.
단, 비포장 도로등 가혹한 조건에서 주행하
는 차량은 오염상태에 따라 주기를 단축하
여 청소 및 교환을 실시하여 주십시오.
(2) 과적재 금지
적재 적량 이상으로 적재하면 엔진에 무리
를 주어 매연 증가의 요인 됨과 아울러 엔
진 수명이 단축됩니다.
(3) 머플러(소음기)의 청소
머플러 내의 누적된 탄매를 수시로 청소하
여 제거하십시오.
(4) 정기점검과 조정
배출가스를 위하여 매 10,000 km마다 배출
가스 점검정비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4)항은 종합/전문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조정
하십시오. 그 외는 고객 여러분의 준수사항이
므로 취급설명서를 참조하여 정기점검을 반드
시 받으십시오.
부품과 오일 교환시는 자사 순정부품을 사용
하십시오.
주 의
★ 상기사항을 불이행함으로써 발생되는 제재조
치 또는 기타 불이익에 대해서 제작사는 책임
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Page 289 of 296

정기 점검
6-50
0매연 저감을 위한 운전자 숙지사항
1. 주행하기 전에 엔진을 충분히 워밍업하고 가
능한한 정속으로 운행하도록 하십시오.
2. 과적, 과승, 과속을 피하고 부득이 과적, 과승
상태에서 운전해야 할 경우 과다한 가속페달
사용을 지양하십시오.
3. 급가속, 급정지를 피하고 운전중 엔진의 회전
수(rpm)을 타코미터의 적색표시 구간을 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적당한 변속 위치를 설정하
여 운전되도록 습관화 하십시오.
4. 각종 부품과 오일은 반드시 순정부품을 사용
하고 각 차량의 취급 설명서를 참고하여 수시
로 점검하십시오.
OTQ075110OTQ075110
0에어 클리너
엘리먼트는 수시로 점검하여 청소하여야 하며 상
태에 따라 교환하십시오.
엘리먼트 청소시는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안쪽에
서 바깥쪽으로 먼지를 불어냅니다
0촉매변환장치(사양 적용시)
배기가스 중에 대기오염을 유발시키는 일산화탄
소, 탄화수소, 질소 산화물 등의 유해가스를 인체
에 해가 없는 이산화탄소, 물, 질소 등으로 만들
어 배기가스 규제 대응을 만족시키는 가장 중요
한 부품이므로 아래 사항을 꼭 지켜야 합니다. 만
약 지키지 않으면 촉매가 과열되어 손상되거나,
과부하가 걸려서 배기가스 정화기능이 급격히 저
하되어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게 되며, 특수한 경
우는 화재의 위험성도 있습니다.

Page 290 of 296

정기 점검
6-51
•엔진을 항상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만일 연료장치, 전기장치 등의 고장으로 인
해 실화가 발생되면 촉매장치가 과열되어
손상을 입게 됩니다.
•엔진의 갑작스런 출력저하, 비정상적인 소
음 유발, 엔진 시동의 어려움 및 배기장치
계에 이상 소음이 발생될 때는 즉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종합/전문 블루핸즈
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저연료 수준으로 차량을 운행하지 마십시
오. 연료가 떨어지면 엔진실화가 일어나서
촉매장치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거나 손상
될 수 있습니다.
•엔진을 10분 이상 빠르게 공회전을 하거나,
정상 공회전을 20분 이상 하지 마십시오.
실화가 일어나서 촉매장치가 과열되어 손
상을 입게 됩니다.
주 의
•차량 주행중에 절대로 시동 스위치를 끄지
마십시오. 배기장치내로 미연소 경유가 유
입되어 연소되므로 촉매장치가 과열 손상
됩니다.
•차량을 시동하기 위해서 밀거나 당기지 마
십시오. 이 경우에도 배기장치내로 미연소
경유가 유입되어 연소되므로 촉매장치가
과열 손상됩니다.
•차량의 무리한 고속 질주를 삼가십시오. 촉
매장치에 과도한 부하가 걸립니다.
•촉매장치를 탈거한 상태로 운행하거나 성
능이 다된 촉매장치를 탈거하지 말고 철저
한 정기점검을 받으십시오.
•차량을 잔디, 낙엽, 종이, 카페트, 기름 등과
같은 가연성 물질 위에 주차 또는 정차시키
지 마십시오.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주 의
•엔진 작동중에는 촉매장치나 그 밖의 배
기장치에 손을 대지 마십시오. 화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또 가연성 물질을 가
까이 접근시키지 마십시오. 화재의 위험
이 있습니다.
•머플러(촉매변환장치 포함)의 탈거 및
소음 과다발생은 정비 명령 및 고발 대상
이 되고, 배기관의 고열, 고압으로 인한
화재 및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반드시
정상적인 배기음이 나도록 하십시오.
경 고

Page:   < prev 1-10 ... 241-250 251-260 261-270 271-280 281-290 291-300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