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Porter Ⅱ 2017 포터Ⅱ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171 of 296

시동 및 주행
4-10
0 비탈길을 내려올 때는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십시오.
긴 비탈길을 풋브레이크만을 사용하면 베이퍼 록
(Vapor Lock), 페이드(Fade)현상을 일으켜 위험
하므로 필히 경사에 따라 변속레버를 1~3단까지
선택하여 엔진 브레이크(Engine Brake)를 사용
하십시오.
단, 젖은 도로나 빙결된 도로에서 급격히 엔진 브
레이크(Engine Brake)를 사용하면 미끄러질 위
험이 있으므로 삼가십시오.
알아두기
•엔진 브레이크(Engine Brake)란?
브레이크는 아니지만 엔진의 압축 압력을
이용하여 바퀴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제
동력을 얻는 것 즉 엔진에 브레이크 작용
을 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베이퍼 록(Vapor Lock)이란?
브레이크 액이 브레이크 마찰열에 의해 과
열되면서 끓어올라 기포가 발생되어 브레
이크 페달을 밟아도 기포만 압축될 뿐, 브
레이크가 작동되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페이드(Fade)현상이란?
브레이크의 마찰면이 과열되면 마찰력이
저하되어 브레이크의 기능이 떨어지는 현
상을 말합니다.
0경사진 길에서 주차할 경우에는
주차 브레이크를 채운 후 변속 레버를 「 1」 단 또는
「 R」 (후진) 기어(자동변속기차량은 「 P」 (주차) 위
치)에 놓고 고임목을 받치십시오.
추운 겨울철 주차 브레이크가 얼어서 고착될 우
려가 있으면 주차 브레이크를 채운 후 변속레버
를 「 1」 단 또는 「 R」 (후진) 위치(자동변속기 차량은
「P」(주차) 위치)에 놓고 바퀴에 고임목을 고인 후
에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시키십시오.

Page 172 of 296

시동 및 주행
4-11
OHR032010OHR032010OHR032011OHR032011
급브레이크급브레이크
경제적인 운행
연료 소모량은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따라 달라
집니다. 차량 운행 시 다음 사항을 준수하여 연료
비 및 수리비를 절감하시기 바랍니다.
•기다리는 시간에는 엔진을 정지하십시오.
•경제속도로 주행하십시오.
•출발은 천천히 하고 급출발, 급가속, 급브레
이크를 삼가십시오.
•차량은 항상 잘 정비된 상태로 유지 하십시오.
•에어컨은 필요시만 사용하십시오.
•도로조건이 나쁜길은 피하는게 좋습니다.
비포장도로 주행시 차체의 하부 부품이 손상
을 입을 수 있으므로 항상 주의 하십시오.
•불필요한 화물을 싣지 마십시오.
•정기적으로 검사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부품
의 수명이 증가하고 비용도 절감됩니다.
•항상 지정된 타이어 공기압을 유지하십시오.
•급정차를 피하기 위하여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하십시오. 연료의 절감은 물론 브레이크
라이닝, 패드의 과마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페달에 발을 올려놓고 운행하지 마
십시오. 연료의 과소모는 물론이고 브레이크
의 손상을 가져옵니다.
•적절한 휠 얼라이먼트는 연료를 절감시키고,
타이어가 빨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Page 173 of 296

시동 및 주행
4-12
신차 길들이기
OHR032012OHR032012
최초 1,000km전까지의 주행은 차량의 수명과 성
능을 좌우하므로 이 기간 동안은 다음 사항을 숙
지하십시오.
•과속, 급가속, 급제동 등을 삼가십시오.
•엔진 회전수를 4,000rpm이내로 주행하십시오.
•속도에 알맞는 변속을 하십시오.
•장시간 엔진을 공회전시키지 마십시오.
•연비, 엔진성능 및 엔진오일 소모량은 길들이
기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약 6,000km
주행후 안정됩니다.
시동 스위치
C040A01E-1C040A01E-1
STARTSTART
LOCKLOCK
ACCACC
ONON
•LOCK - 키를 꽂거나 뽑는 위치입니다. 키를
뽑고 핸들을 좌우로 조금씩 움직이
면 핸들이 고정되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재시동 시, 핸
들이 고정되어 키가 돌려지지 않으
므로 핸들을 좌우로 조금씩 움직이
면서 키를 돌리십시오.
•ACC - 엔진을 시동시키지 않고도 일부 전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위치입니다.
•ON - 엔진이 작동되기 전·후에 모든 전기장
치를 사용할 수 있는 위치입니다.
•START - 엔진이 시동되는 위치입니다. 키에
서 손을 떼면 「ON」의 위치로 되돌
아 갑니다.
•키가 돌려지지 않을 때는 핸들을 좌우로 돌
리면서 키를 돌리십시오.
•엔진 정지중 키를 장시간 「ACC」나 「ON」의
위치로 하면 배터리가 방전됩니다.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키를 「START」로
하지 마십시오. 스타트 모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주 의

Page 174 of 296

시동 및 주행
4-13
•운행중 키를 「LOCK」 또는 「ACC」 위치로
놓지 마십시오. 핸들, 브레이크, 파워핸
들 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대단히 위험합
니다.
•운행중 핸들 사이로 시동 스위치 또는
각종 스위치를 조작하지 마십시오. 손이
나 팔로 차량을 제어할 수 없게 되어 심
각한 부상이나 사망사고로 이어질 수 있
습니다.
•운전석 주변에 움직일 수 있는 것은 놓
지 마십시오. 운전을 방해할 뿐만 아니
라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시중에서 임의 가공된 키를 사용하지 마
십시오. 시동시 키 리턴(START→ON)이
되지 않아 시동 후에도 스타터가 계속
작동되어 스타터 손상 및 배선의 과부하
로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경 고
HHR3019HHR3019
엔진 시동 및 정지방법
0엔진 시동방법
1. 엔진 시동전에 우선 안전벨트를 착용하십시오.
2.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기십시오.
3. 모든 전기장치를 「OFF」로 하십시오.
4.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와 작동 유
격을 오른발로 확인 하십시오.
변속기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키에는 아래와 같은 열쇠고리를 사용하
지 마십시오. 운전시 무의식 중에 무릎
으로 열쇠고리를 밀면 열쇠고리 무게로
인해 키가 「ACC」 위치로 되어 엔진이 정
지될 위험이 있습니다.
1. 지갑형 열쇠고리
2. 열쇠고리에 다량의 열쇠 장착
3. 열쇠고리에 무거운 액세서리 부착 등
•운전중에는 열쇠고리가 무릎에 닿지 않
도록 올바른 자세로 좌석에 앉으십시오.
경 고
OTA053700OTA053700

Page 175 of 296

시동 및 주행
4-14
7JB33167JB3316HLZ172HLZ172
변속레버변속레버
"중립""중립"
▶수동변속기 차량
1. 클러치 페달을 완전히 밟고 변속레버를 「N」
(중립)위치에 두십시오. 엔진을 시동시키는
동안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
밟고 계십시오.
2. 시동 스위치를 「START」 위치까지 돌리고
엔진 시동이 걸리면(최대 10초까지) 키에
서 손을 떼십시오.
3. 출발할 때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해제시
키십시오. 4장 「주차 브레이크」를 참조하십
시오.
4.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시킨 다음 클러치 페
달을 밟은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1단 위치
에 놓고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떼면서 가속
페달을 밟아 천천히 출발 하십시오.
▶자동변속기 차량
1. 선택 레버를 「P」(주차) 위치에 놓은 후 반드
시 오른발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계십시
오. 선택레버 「N」(중립) 위치에서도 시동을
걸 수 있으나 안전을 위하여 「P」위치에서
만 시동을 거십시오.
2. 시동 스위치를 「START」 위치까지 돌리고
엔진 시동이 걸리면(최대 10초까지) 키에
서 손을 떼십시오.
3. 출발하고자 할 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
밟은 상태에서 선택레버를 원하는 위치로
놓으십시오.
•운전석 주변에 페달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물건(예:깡통, 병, 고정되지 않은
바닥매트 등)이 있으면 제거하여 주십시
오. 정지하고자 할 때, 브레이크 페달이
밟혀지지 않는 등 사고가 날 수 있으므
로 위험합니다.
•주행 중 급제동, 코너링 등의 상황에서
물건이 바닥으로 떨어지면 페달 작동에
방해가 되어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항
상 안전하게 보관하십시오.
•운전에 집중하지 않으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운전에 방해 될 수 있는 행
동 (오디오, 작동 등) 시 조심 하시길 바
랍니다. 안전운전의 1차적인 책임은 고
객에게 있으며 휴대기기 사용은 법적으
로 금하고 있습니다.
경 고

Page 176 of 296

시동 및 주행
4-15
4.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시킨 다음,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어 차량이 서서히 움직이
는 것을 확인한 후에 가속 페달을 밟아 천
천히 출발하십시오.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 초기 rpm(분당 엔
진 회전수)이 다소 높을 수 있습니다. 이때
는 엔진을 예열(공회전)시켜 엔진회전이
정상범위로 떨어진 후에 출발 하십시오.
•키를 10초 이상 「START」에 위치시키지 마
십시오. 엔진이 한번에 시동되지 않을 때는
약 30초간 기다린 후 재시도 하십시오.
•엔진이 시동되어 있을 때는 키를 「START」
로 하지 마십시오.
스타트 모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고속 공회전을 삼가 하십시오.
10분이상 고속 공회전시 배기장치에 손상
을 줄 수 있습니다.
•선택레버 잠금장치(Shift Lock)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야만 선
택레버가 「 P」 (주차)에서 다른 위치로 움직
여집니다.
주 의
알아두기
선택레버 잠금장치(Shift Lock)란?
자동변속기의 선택레버를 「 P」 (주차)위치
에서 다른 위치로 변속하고자 할 때, 운전
자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야만 변속이 가능하도록 고안
된 장치입니다.
•주위가 밀폐되어 환기가 되지 않는 공간
에서 장시간 엔진 시동을 걸어 두지 마
십시오. 배기가스에 의해 중독될 위험이
있습니다.
•엔진 rpm(분당 엔진 회전수)이 높은 상
태에서 브레이크를 해제하면 차가 갑자
기 움직일 수 있으므로 엔진 rpm이 안정
될 때까지 기다려 출발 하십시오.
•절대로 가속 페달을 밟으면서 시동을 걸
지 마십시오. 차가 갑자기 움직이게 되
어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경 고HHR3037HHR3037
예열표시등예열표시등
주황색주황색
예열되면 소등됨!예열되면 소등됨!
▶엔진이 가열된 경우
운전중에 잠시동안 시동을 끈 경우 엔진이 가
열되어 있기 때문에 재시동시 예열플러그를
예열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예열표시등이 소등되어도 잠시동안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이때는 시동스위치
를 「OFF」 로 하고나서 다시한번 예열플러
그의 예열을 실시하십시오.
•엔진이 냉각된 경우는 바깥공기의 온도에
따라서 예열표시등이 소등되는 시간이 다
릅니다.

Page 177 of 296

시동 및 주행
4-16
▶한냉시 엔진 시동이 어려울 경우
1. 시동스위치를 「OFF」로 하고나서 다시 엔진
의 시동을 겁니다.
2. 10초 이내에 엔진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30초를 한도로 엔진의 시동이 걸릴때까지
스타터를 계속 돌리십시오.
부릉부릉부릉부릉30초한도!30초한도!
HSM432HSM432
• 10초 이내에서 엔진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 또는 30초 경과해도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는 스위치를 「OFF」하여
잠시 멈추고 (약30초) 다시 한번 엔진의
시동을 걸으십시오.
• 엔진 시동의 불량여부는 엔진오일의 선
정에도 영향을 끼치므로 꼭 「추천오일 제
원표」를 참조하시어 지정된 엔진오일을
사용하십시오.
•밀거나 견인에 의해 엔진의 시동을 거는 것
은 위험하므로 하지 마십시오.
•연료가 완전히 소모되어 운전할경우, 엔진
및 연료장치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항상 연료를 보충한 후 주행하십시오.
주 의
▶엔진의 시동이 어려운 경우
자동차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연료 계
통에 공기가 들어가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는 연료
계통의 공기빼기를 해야 합니다. 6-38페이지 「
연료필터 공기빼기」항목을 참조하십시오.
OHR032024OHR032024
0엔진 정지방법
▶수동변속기 차량
1.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클러치 페달과 브
레이크 페달을 동시에 같이 밟고 계십시오.
2.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
태에서 변속기 레버를 「N」(중립)으로 하십
시오.
3.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겨 놓으십시오.
4. 시동 키를 「LOCK」 위치까지 돌려 빼 주십
시오.
N

Page 178 of 296

시동 및 주행
4-17
OHR032025OHR032025
▶자동변속기 차량
1.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계십시오.
2. 선택 레버를 「P」(주차) 위치로 하십시오.
3.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겨 놓으십시오.
4. 시동 키를 「LOCK」 위치까지 돌려 빼십시오.
•엔진 정지 직전에 고속 공회전을 삼가십시오.
•경사가 있는 곳에 주차 시킬 때는 변속 레
버를 자동변속기 차량은「P」(주차) 위치로,
수동변속기 차량은 오르막길에서는 「 1」 단,
내리막길에서는 「 R」 (후진)으로 놓고 타이
어에 고임목을 설치 하십시오.
•경사가 심한 장소에는 주·정차 하지 마십시오.
•자동변속기 차량의 경우 주·정차시 선택레
버가 「P」(주차)위치에 확실하게 변속되어
있지 않으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차
량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주의 하십시오.
주 의
•차에서 떠날 때에는 꼭 엔진 시동을 끄고
키를 빼주십시오. 엔진의 시동을 건 상태로
해 놓으면 만일 선택 레버가 「P」(주차) 위
치 이외로 변속될 경우 크립(Creep)현상으
로 차가 저절로 움직이거나 승차할 때 가속
페달을 밟아 갑자기 차가 움직이게 될 수가
있습니다.
주 의
알아두기
크립(Creep)현상 이란?
엔진 시동이 걸려 있을 때 선택 레버가「P」
(주차), 「N」(중립)이외의 위치에 있으면 동
력이 연결된 상태가 되어 가속페달을 밟지
않아도 차가 서서히 움직이는 현상을 말합
니다.

Page 179 of 296

시동 및 주행
4-18
OLM059009OLM059009
변속기
0수동변속기
기어 변속시는 클러치 페달을 완전히 밟아야 원
활하게 기어가 변속됩니다.
•「R」(후진)으로 변속시는 차가 완전히 정지
된 후 중립위치에서 3초 정도 대기 후 기어
를 넣으십시오.
주 의
•수동 변속기의 경우 「5」단에서 「4」단 으로
감속시 「5」단 기어를 빼면 바로 「3」단 에서
「4」단 사이의 「N」(중립) 위치에 놓이므로
레버를 좌측으로 당기지 말고 곧바로 뒷쪽
으로 당기면 「4」단 으로 변속됩니다.
•「5」단 또는 「6」단으로 변속할 때 변속 레버
를 오른쪽으로 밀어서 변속하십시오. 그렇
지 않을 경우 우연히 「3」단 또는 「4」단이 변
속되어 엔진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반 클러치 사용을 자제하여 주십
시오. 반 클러치를 자주 사용하게 되면 클
러치커버 및 클러치디스크가 마찰열에 의
해 쉽게 마모됩니다. 변속할 때를 제외하고
주행 중에 클러치페달 위에 발을 올려 놓지
마십시오.
•언덕길에서 정차하는 동안 반 클러치를 사
용하여 차를 정지시키려 하지 마십시오. 클
러치 디스크가 조기 손상됩니다.
•차량의 원할한 주행과 연료절감을 위하여
적정 변속시기에 변속하십시오. 회전계의
바늘이 적색 눈금을 넘지 않도록 하십시오.
엔진 손상을 야기시킵니다.
주 의
• 고단에서 저단으로 변환하는 경우, 변환된
저단에서도 엔진 회전수가 타코미터의 적
색구역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특히 「5」단 에서 「4」단 으로 감속변환의 경
우 부주의하게 변속레버를 왼쪽방향으로
당기면 「2」단으로 변환되어 엔진이 급격하
게 고회전 될 수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엔
진 및 클러치, 변속기에 손상을 줄 수도 있
습니다.)
• 언덕길에서 주·정차시 안전을 위해 주차 브
레이크를 채워야 하며, 출발할 때는 「1」단
기어를 넣고 가속 페달을 밟은 상태(엔진
회전수 2,000 rpm 정도)에서 클러치 페달
을 완전히 놓으면서 차량이 전진하려는 시
점이 되면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풀고 출발
하십시오. (반드시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원위치 시키십시오.)
주 의
❶ 변속 레버 링
➡ 링(1)을 당긴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작동시킴
⇨ 링(1)의 당김 없이 변속레버를 작동시킴

Page 180 of 296

시동 및 주행
4-19
• 겨울철 기온이 낮을 경우 변속기 오일이 워
밍업되기 전에는 기어 변속이 어려울 수 있
습니다. 이것은 정상적 현상이며 기계적 이
상이 아닙니다.
•정지 상태에서 「 1」단 또는 「 R」 (후진)으로 변
속이 어려운 경우, 기어를 중립에 놓고 클
러치 페달을 떼었다가 다시 밟고 「 1」단 또
는 「 R」 (후진)으로 변속하십시오.
• 주행중 변속할 때 외에는 변속 레버에 손을
올려놓고 운전하지 마십시오. 변속기 내부
부품 마모의 원인이 됩니다.
주 의
알아두기
반 클러치란?
클러치 페달을 밟을 때 완전히 밟지 않거
나, 놓지 않은 상태로 엔진의 동력이 클러
치에 전달되어 클러치가 미끄러지는 상태
를 말합니다.
•운전석을 떠나기 전에는 평탄한 장소에
서 반드시 주차 브레이크를 완전히 당겨
작동시키고, 엔진시동을 끄십시오. 그리
고 변속 레버를 「 1」단 또는 「 R」 (후진)에
위치시키십시오. 그렇지 않을 경우, 예
상치 못한 차량의 갑작스런 움직임으로
심각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그니션 록(Ignition Lock)장치가 장착
되지 않은 수동변속기 차량은 주차 브레
이크를 해제한 채 변속레버가 중립이 아
닌 상태에서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고
시동을 걸 경우, 차량이 앞뒤로 움직여
서 심각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출발 및 후진시 변속후에 클러치페달을
너무 빨리 놓으면 시동이 꺼져 불의의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클러치 페달 작동은 끝까지 밟아야 하며
페달을 놓을 때 페달이 원위치 되기 전에
다시 밟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십시오. 클
러치 페달이 원위치로 돌아오기 전에 다
시 밟는 과정이 반복되면 클러치 시스템
고장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규정된 적재중량 이상으로 과적하지 마
십시오. 과적상태에서 출발 및 운행시
비정상적으로 과대한 클러치디스크 마
찰열이 발생되어 클러치커버 및 클러치
디스크의 고장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정지상태에서 출발 시 「 2」단 출발을 자
제하여 주십시오. 「2」단 출발시에는 비
정상적으로 과대한 클러치디스크 마찰
열이 발생되어 클러치커버 및 클러치디
스크의 고장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경 고 경 고

Page:   < prev 1-10 ... 131-140 141-150 151-160 161-170 171-180 181-190 191-200 201-210 211-220 ... 300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