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Grand Starex 2012 그랜드 스타렉스 - 사용 설명서 (in Korean)
Manufacturer: HYUNDAI, Model Year: 2012, Model line: Grand Starex, Model: Hyundai Grand Starex 2012Pages: 308, PDF Size: 21.02 MB
Page 231 of 308

비상시 응급 조치
6-14
13. 휠 너트를 대각의 순서로 2~3회에 걸쳐 규정
토크만큼 완전히 조이십시오.
※ 체결토크
: 9~11kg·m
14 . 잭 및 각종 공구를 정해진 위치에 다시 놓으십
시오.
OTQ067011
• 한번에 규정 토크로 조여 주지 말고 여러 번
으로 나눠서 조이십시오.
타이어를 고정시켜 주는 너트의 조임상태는 매우 중요합니다. 조임상태에 대해 자신이 없
으면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예비 타이어를 장착한 후에는 가능한 빨리 공
기압을 점검하시고 필요하면 규정 압력으로 조정하십시오.
(8장, 타이어 및 휠의 공기압 제원 참조)
타이어 장착시 부착 부위가 더러우면 너트가
이완되는 원인이 되므로 타이어가 닿는 모든
면을 청소하고 나서 장착하십시오 .
또한 휠 너트의 나사부가 마모되어 있으면 디
스크 휠에 변형이나 균열이 일어나므로 교환
하십시오 .
주 의
• 너트는 원래의 것 또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
십시오
.
• 타이어를 교환했을 때는 약
1,000km 주행
후 다시 한번 휠 너트를 조여 풀림이 없는
지를 점검하십시오 .
• 타이어를 교환한 후 주행 중에 스티어링 휠
이 흔들리거나 차체에 진동이 생길 때는 타
이어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것이므로 타이어
의 균형을 맞추십시오
. 맞춘 후에도 불균형
상태가 계속될 때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
주 의
TQ-6-비상시응급조치.indd 142012-01-16 오후 4:00:26
Page 232 of 308

비상시 응급 조치
6-15
• 바퀴 하나가 지면에서 떨어지면 잭으로
부터 차체가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반드
시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겨 놓고
, 교
환할 타이어 대각방향의 타이어에 고임
목을 설치 하십시오 .
• 타이어 교환은 반드시 경사없는 평탄하
고 안전한 장소에서 실시하십시오
.
• 체결 토크가 적절하지 못할 경우 제동시
브레이크 떨림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 타이어 이탈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
습니다 .
• 차량의 예비 타이어를 교환할 경우 항상
바른자세로 교체하시기 바랍니다
. 허리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경 고
차량 출고 시 제공된 타이어 및 휠과 다른
사이즈, 다른 타입의 타이어와 휠을 사용하
지 마십시오 . 차량의 안전주행에 영향을 미
칠뿐만 아니라 조향력의 상실 및 전복에 따
른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타이
어 교환 시 , 반드시 모든 타이어와 휠은 동
일 사이즈 , 동일 타입 , 동일 트레드 , 동일 제
조사 , 동일 부하 용량의 타이어를 사용하십
시오 . 불가피하게 비포장 도로에서 다른 종
류의 타이어를 장착해서 운행하게 될 지라
도 고속도로에서 운행을 해서는 안됩니다 .
경 고
̰ 견인 트럭으로 견인 시
만일 견인이 필요하다면 되도록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 또는 견인 전문 업체
를 이용하십시오.
견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견인차량을 이용하여
차량 전체를 들어올리는 상차 견인으로 견인하는
것이며
, 두 바퀴를 이용하여 견인 시에는 구동되
는 바퀴인 뒷바퀴를 들어 올려 타이어 구속방식
으로 견인할 수도 있습니다.
견인되기 전에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변속레
버를 중립( N) 위치에 놓으십시오.
돌리
상차 견인
타이어 구속 견인
타이어 구속 견인
OTQ067009
차량 견인
TQ-6-비상시응급조치.indd 152012-01-16 오후 4:00:27
Page 233 of 308

비상시 응급 조치
6-16
• 서스펜션 구속 방식으로 견인하면 범퍼 및
하부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 구동되는 뒷바퀴를 땅에 대고 차량 앞부분
을 들어올려 견인하면 변속장치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 견인 시 범퍼 및 하부부품 손상에 주의 하
십시오
.
주 의
OTQ067010
OTQ067012
2. 앞쪽 범퍼 하단의 후크 커버를 오른쪽으로 돌
려 빼내십시오.
3 . 견인 후크를 홀에 넣어 오른쪽으로 돌려 체결
하십시오.
4 . 분리는 체결의 역순으로 하십시오.
̰ 탈부착 견인 후크(앞)(사양 적용시)
1
. 공구 박스 내에 있는 견인 후크를 준비 하십시
오.
OTQ067019
OTQ067020
TQ-6-비상시응급조치.indd 162012-01-16 오후 4:00:27
Page 234 of 308

비상시 응급 조치
6-17
• 견인할 때
, 견인 후크 외의 다른 어떤부
위에도 로프를 연결하지 마십시오 . 해당
부품의 파손으로 인해 부상을 초래할 수
도 있습니다 .
• 견인 후크는 일시적인 짧은 거리의 견인
및 구난 시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
시 견인의 목적은 없습니다
.
용도 이외로 사용할 경우 사고의 우려가 있습니다 .
• 견인을 할 때에는 매우 주의하십시오
.
비상용 견인 고리와 견인 로프 또는 체
인에 과도한 하중을 줄 수 있는 갑작스
러운 출발이나 난폭한 운행을 피하십시오 . 견인 고리와 견인 로프 또는 체인이
파손되어 심각한 부상이나 차량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경 고
2. 로프는 5m 이내로 하고 중앙에 흰천 (약 30cm
너비)을 묶어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십시오.
3 . 변속 레버를 중립( N) 위치에 놓으십시오.
4 . 스티어링 휠이 잠기지 않도록 시동 스위치를
「ACC
」 위치에 놓으십시오.
5 .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 하십시오.
6 . 견인 중에는 로프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고 ,
강한 충격이나 횡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오.
7 . 견인시 운전자 상호간에 연락을 하면서 스티
어링 휠을 잡고 견인차량과 같은 방향으로 조
향을 하십시오.
5m 이내
OTQ067014
̰ 견인차가 아닌 일반차량으로의 견인시
1
. 견인 후크에 로프를 단단히 고정 시키십시오.
OTQ067021
차량 다른 부위에 연결하여 견인 할 경우 차체
손상 및 변형의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견인
후크에 연결 하십시오 .
주 의
̰앞
OTQ067013
̰뒤
TQ-6-비상시응급조치.indd 172012-01-16 오후 4:00:28
Page 235 of 308

비상시 응급 조치
6-18
자동변속기 차량 견인시
• 자동변속기 오일 레벨게이지 미 장착 차량
:
자동변속기 오일 누유가 없을때만 일반차
량으로의 견인이 가능합니다 . 오일 누유가
없는지 확인하십시오 . 누유가 발생한 상태
에서 일반차량으로의 견인은 변속기가 파
손될 수 있습니다 .
• 자동변속기 오일 레벨게이지 장착 차량
:
자동변속기 오일량이 정상일때만 일반 차 량으로의 견인이 가능합니다 .
오일 누유가 없는지 확인하십시오 . 그렇지
않을경우 변속기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
주 의
• 견인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무리하
여 견인을 시도하지 말고 자사 직영 서
비스센터 또는 견인 전문 업체를 이용하
십시오
.
• 가능한 차량 앞쪽으로 똑바로 향하여 견
인하십시오
.
• 견인 시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도
록 하십시오
.
경 고
바퀴가 진흙 , 모래 또는 차량 자체의 힘으로
는 빠져 나올 수 없는 상태에 있을 때 비상
견인 고리를 이용하여 차량을 견인하고자
할 경우 견인 고리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져
견인 고리 , 로프 또는 체인이 파손되어 심각
한 차량 손상이나 부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견인 전문
업체에 의뢰하십시오 .
경 고
※ 견인 시 유의 사항 • 바퀴가 진흙 , 모래 또는 도랑 등 차량 자체의
힘으로 빠져 나올수 없는 상태에 있을때 절대
임의로 견인하지 마십시오.
• 견인하는 차량보다 무거운 차량의 견인은 피
하십시오.
• 브레이크 제동 성능이 평소보다 나빠지므로
제동시에는 브레이크 페달을 평소보다 힘껏
밟으십시오.
• 파워 스티어링 휠 장착 차량은 파워 스티어링
휠 장치가 작동되지 않게 되어 스티어링 휠 조
작이 매우 무거워지므로 평소보다 스티어링
휠을 강하게 조작하십시오.
• 긴 경사길을 내려올 때는 브레이크가 과열되
어 제동 성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자주
차량을 정지시켜 브레이크를 식히십시오.
• 자동변속기 차량은 위급시 짧은 거리(견인
속도 : 15km/h 이내, 견인거리 1.5km 이내)를
제외하고는 일반차량으로의 견인을 하지 마십
시오.
변속기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TQ-6-비상시응급조치.indd 182012-01-16 오후 4:00:28
Page 236 of 308

비상시 응급 조치
6-19
OTQ007001
̰ 사고 발생 시
사고를 일으키거나 사고를 당한 경우에는 인명
제일을 고려해 다음 조치를 하십시오.(
1 ) 후속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비상경고등을 켜
고 다른 차에 방해가 되지 않는 안전한 장소
(도로 옆 , 공터)에 차를 정차 시키십시오.
( 2 ) 부상자를 구호하여 구급차를 요청합니다.
( 3 ) 가까운 경찰서에 요청하십시오.
( 4 ) 경찰관 도착 후에는 지시에 따르십시오.
( 5 )
경미한 사고라도 꼭 의사의 진단을 받으십시오.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사고차로부터 연료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 이때는 인화·폭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을 정지시키고 현장에서
는 담배불 등의 화기를 멀리하십시오 .
경 고
사고 및 차량 화재시 응급조치
̰ 차량 화재시
즉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여 엔진을 정지 시킨
후 소화기 등으로 진화하십시오. 진화 등의 응급
조치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사람들의 접근을
막고 소방서 및 경찰서에 연락하여 필요한 조치
를 취하십시오.
ORV047008
※
평상시에 소화기의 장착 위치(운전석 왼쪽 하
단부) 및 사용법을 미리 확인하여 화재 발생시
신속한 조치를 취하십시오. 소화기가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관리 요령에 따라 정
기적으로 점검하십시오. 소화기 관리 요령 및
주의 사항은 소화기에 부착된 안내문을 참고
하십시오.
※ 소화기 사용법
1 . 소화기의 안전핀을 뽑습니다.
2 . 바람이 부는 방향을 등지고 서십시오.
3 . 불이 난 곳을 향해 레버를 움켜쥐면서 빗자
루로 쓸듯이 방사하십시오.
TQ-6-비상시응급조치.indd 192012-01-16 오후 4:00:29
Page 237 of 308

비상시 응급 조치
6-20
̰ LPG 차량 화재 시 응급조치
1
. 엔진을 정지시키고 연료 공급 버튼(①)을 눌러
(표시등 소등) 연료의 공급을 차단시키십시오.
2 . 승객을 대피시키고 연료 충전 밸브(녹색②)를
잠그십시오.
3 . LPG 에 불이 붙었을 때는 소화기를 이용하여
불을 끄십시오. • 분말 소화기
• 탄산가스 소화기
• 하론 소화기
이상의 응급조치를 하지 못할 상황이라면 사람들
의 접근을 막고 경찰서나 소방서에 연락하여 필
요한 조치를 하십시오.
OTQ049219
̰차량하부
OTQ029200
TQ-6-비상시응급조치.indd 202012-01-16 오후 4:00:30
Page 238 of 308

비상시 응급 조치
6-21
• 라디오를 항상 청취하고 고속도로 안내전화 1588-2504를 이용합시다.
• 커브길 , 고갯길 , 교량 등에는 감속운전을 하십시오.
• 차량방치 및 갓길 주차는 제설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니 삼가십시오.
• 부득이 벗어날 때는 연락처를 반드시 남겨 두십시오.
• 차간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브레이크 사용을 자제하십시오.
• 수시로 차량 주변의 눈을 치워 배기관(머플러)이 막히지 않도록 하십시오.
※ 고속도로 콜센터 전화 및 권역별 라디오 주파수 안내
• 고속도로 안내전화 : 1588-2504, 031-710-7240~5, 031-710-7251~6
• 재난 시 라디오 주파수
구 분 서 울 대 전 대 구 부 산 광 주 군 산 원 주 강 릉
KBS 표준 97.3 94.7 101.3 103.7 90.5 96.9 97.1 98.9
MBC F4U
91.9 97.5 95.3 88.9 91.5 99.1 98.9 94.3
표준FM 95.9 92.5 96.5 95.9 93.9 94.3 92.7 96.3
SBS (지역민방) 107.7 95.7 99.3 99.9 101.1 90.1 105.1 106.1
교통방송 95.1 102.9 103.9 94.9 97.3 102.5 105.9 105.5
[NSC(국가안전보장회의) 권장 대국민 행동 요령 ]
폭설 시 행동요령
TQ-6-비상시응급조치.indd 212012-01-16 오후 4:00:30
Page 239 of 308

7
엔진부의 명칭 ..................................................................................7-3
LPG 엔진 ............................................................................................ 7-3
디젤 엔진 ............................................................................................ 7-4
점검 정비 .......................................................................................... 7-5
운전자 의무 준수 사항 ................................................................... 7-5
점검 정비시 주의 사항 ................................................................... 7-6
일상 점검 .......................................................................................... 7-8
정기 점검 ....................................................................................... 7-10
통상조건 ........................................................................................... 7-11
가혹 조건 .......................................................................................... 7-17
엔진 오일 점검.............................................................................. 7-18
엔진 오일량 점검 및 보충 ........................................................... 7-18
엔진 오일 및 필터 교환 ................................................................ 7-19
냉각수 점검 ................................................................................... 7-20
냉각수량 점검 및 보충 ................................................................. 7-20
냉각수 교환 ..................................................................................... 7-22
브레이크/클러치 액 점검 ........................................................... 7-22
브레이크/클러치 액량 점검 및 보충 ........................................7-22
파워 스티어링 오일 점검 ............................................................ 7-23
파워 스티어링 오일량 점검 및 보충 ......................................... 7-23
파워 스티어링 호스 점검 ............................................................. 7-23
자동변속기 오일 점검 ................................................................. 7-24
자동변속기 오일량 점검 및 보충 ..............................................7-24수동변속기 오일 점검 .................................................................
7-26
와셔액 점검 ................................................................................... 7-26
와셔액 점검 및 보충 ..................................................................... 7-26
벨트 점검 ....................................................................................... 7-27
구동 벨트 .......................................................................................... 7-27
주차 브레이크 점검 ..................................................................... 7-27
주차 브레이크 작동 상태 점검 ...................................................7-27
연료필터 점검(디젤 차량) .......................................................... 7-28
연료필터의 물빼기 ........................................................................ 7-28
연료필터의 교환 ............................................................................. 7-28
에어클리너 점검 ........................................................................... 7-29
필터의 점검 ..................................................................................... 7-29
필터의 교환 ..................................................................................... 7-29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 점검 ........................................................ 7-31
필터의 점검 ..................................................................................... 7-31
필터의 교환 ..................................................................................... 7-31
와이퍼 블레이드 점검 ................................................................. 7-33
블레이드의 점검 ............................................................................. 7-33
블레이드의 교환 ............................................................................. 7-34
배터리 점검 ................................................................................... 7-36
배터리 관리 요령 ........................................................................... 7-36
배터리 초기화 항목 ....................................................................... 7-38
타이어 및 휠 점검 ........................................................................ 7-39
정기 점검
7장 목차
TQ-7-정기점검.indd 12012-01-16 오후 3:59:04
Page 240 of 308

타이어 관리 ..................................................................................... 7-39
공기압 관리 ..................................................................................... 7-39
타이어의 위치 교환 ....................................................................... 7-40
휠 얼라인먼트 및 타이어 밸런스 ..............................................7-40
타이어의 교환 ................................................................................. 7-40
휠의 교환 .......................................................................................... 7-42
타이어 측면 표시 ........................................................................... 7-42
퓨즈의 교환 ................................................................................... 7-45
실내 퓨즈 .......................................................................................... 7-46
엔진룸 퓨즈/릴레이 ...................................................................... 7-47
퓨즈/릴레이 라벨 ........................................................................... 7-48
전구의 교환 ................................................................................... 7-49
전조등, 방향지시등, 차폭등, 안개등 ........................................7-50
옆 방향지시등 ................................................................................ 7-52
제동등, 미등, 방향지시등, 후진등 ............................................. 7-52
보조제동등 ....................................................................................... 7-53
번호등 ............................................................................................... 7-53
실내등 .............................................................................................. 7-54
차체 손질 ....................................................................................... 7-55
외장 손질 .......................................................................................... 7-55
내장 손질 .......................................................................................... 7-59
배출가스 허용기준 ....................................................................... 7-60
유해 배출가스 ................................................................................. 7-60
운행차 배출가스 허용기준 .......................................................... 7-60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차량관리 ................................................ 7-61배출가스 제어장치의 관리 및 정비 ..........................................
7-61
점화 플러그(LPG차량) ................................................................. 7-61
에어클리너 ....................................................................................... 7-61
크랭크 케이스 통풍호스 .............................................................. 7-61
촉매 변환 장치 ................................................................................ 7-62
매연관리(디젤차량) ...................................................................... 7-63
디젤 매연 필터 장치 ..................................................................... 7-65
정기 점검
TQ-7-정기점검.indd 22012-01-16 오후 3:5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