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dai Porter Ⅱ 2017 포터Ⅱ - 사용 설명서 (in Korean)
Page 231 of 296
비상시 응급 조치
5-27
12. 잭을 내리고 차량으로부터 탈거합니다.
13. 각종 공구 및 탈거한 타이어를 정해진 위치에
놓습니다.
14.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나 종합/전문 블
루핸즈에 들러 타이어의 공기압을 점검합니다.
•앞 바퀴의 휠 커버 장착 시 휠 커버의 밸브
표시부와 휠의 밸브 위치가 맞지 않을 경우
휠 커버가 제대로 장착되지 않으며, 무리하
게 장착할 경우 파손될 수 있습니다.
•스페어 타이어가 움직이지 않는가를 다시한
번 확인하여 항상 확실히 고정시키십시오.
•스페어 타이어 장착시에는 급출발, 급제동
을 삼가십시오.
주 의
•휠 너트는 원래 타이어에 장착된 너트 또는
동일한 사양의 너트를 사용하십시오.
•휠 볼트, 너트에는 절대로 오일을 바르지
마십시오. 지나치게 조이는 원인이 됩니다.
•휠 너트를 조이거나 풀 때 휠 너트 렌치를
발로 밟거나 파이프를 연결하여 필요 이상
으로 조이지 마십시오.
•타이어 장착시 부착 부위가 더러우면 너트
가 이완되는 원인이 되므로 타이어가 닿는
모든 면을 청소한 후 장착하십시오.
주 의
•또한 휠 너트의 나사부가 마모되어 있으면
디스크 휠에 변형이나 균열이 일어나므로
교환하십시오.
•타이어를 교환한 후 주행 중에 핸들이 흔들
리거나 차체에 진동이 생길 때는 타이어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것이므로 타이어의 균형
을 맞추십시오. 맞춘 후에도 불균형 상태가
계속될 때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종
합/전문 블루핸즈에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타이어를 교환했을 때는 약1,000 km 주행
후 다시 한번 휠 너트를 조여 풀림이 없는
가를 점검하십시오.
•차량의 스페어타이어를 교환 할 경우 항상
바른자세로 교체하시기 바랍니다. 허리부
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주 의
다른 종류의 타이어를 혼용해 사용하거나
규정 사이즈 이외의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
은 차의 안전성을 저해하므로 절대로 피하
십시오.
단, 타이어 펑크 등 긴급상황이 발생하였
을 때는 한시적으로 제공된 타이어 및 휠
과 사이즈가 다른 임시 타이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232 of 296
비상시 응급 조치
5-28
차량 견인
견인이 필요한 경우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종합/
전문 블루핸즈 또는 견인 전문업체를 이용 하십
시오.
견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차량 전체를 들어 올
려 견인하는 것이며, 만약 두 바퀴를 이용하여 견
인할 때는 반드시 타이어 구속 견인 방식으로 견
인하십시오.
불가피하게 견인 전문업체를 이용할 수 없을 경
우, 5장의 일반 차량 견인 방법을 참고하십시오.
•보증수리 차량은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
는 종합/전문 블루핸즈로 연락하여 견인하
십시오.
•변속레버는 반드시 중립위치에 놓습니다.
•시동이 꺼져서 견인될 때는 조향 핸들이 잠
기지 않도록 시동 스위치를 「ACC」위치에
놓습니다.
주 의
HHR4060HHR4060
타이어 구속 견인 타입(A)타이어 구속 견인 타입(A)
타이어 구속 견인 타입(B)타이어 구속 견인 타입(B)
상차 견인 타입(C)상차 견인 타입(C)
돌리돌리
0견인트럭으로 견인시
(A), (B)와 같이 타이어 구속 견인을 하거나 (C)와
같이 차량 전체를 들어 올려 견인할 수 있습니다.
•견인시 범퍼 및 하부 부품 손상에 주의 하
십시오.
•서스펜션 구속 방식으로 견인하면 범퍼 및
하부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주 의
HHR4061HHR4061
Page 233 of 296
비상시 응급 조치
5-29
• (A) 앞타이어 구속 견인 타입
앞타이어를 구속 견인할 경우 반드시 뒷타이
어 쪽에 돌리(바퀴달린 수레)를 사용하십시오.
돌리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수동변속기 차량
은 반드시 변속 레버를 중립으로 하고 시동 스
위치를 「ACC」위치에 놓은 후, 견인하십시오.
돌리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변속기 차량을 견
인할 때, 시동 스위치를 「LOCK」 위치로 하거나
빼지 마십시오.
주 의
자동변속기 차량은 절대로 뒷타이어 지면에 닿
은 채로 견인해서는 안되며 반드시 뒷타이어
쪽에 돌리(바퀴달린 수레)를 사용해야 합니다.
자동변속기 차량은 절대로 뒷바퀴가 지면에
닿은 채 견인하지 마십시오. 변속기 계통에 심
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주 의
HHR4062HHR4062
• (B) 뒷타이어 구속 견인 타입
뒷타이어를 구속 견인할 경우 반드시 주차 브
레이크를 해제하십시오.
• (C) 상차 견인 타입
차량 전체를 들어 올려 견인하는 것이 가장 좋
은 방법입니다.
OHR042004OHR042004
0일반차량으로 견인시
▶로프로 견인시
1. 견인후크에 로프를 단단히 고정시킵니다.
2. 변속레버를 중립 위치에 놓습니다.
(자동변속기 차량 : 「N」(중립) 위치)
Page 234 of 296
비상시 응급 조치
5-30
•견인 후크는 일시적인 짧은 거리의 견인 및
구조시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시 견인
의 목적은 없습니다. 용도 이외로 사용할
경우 사고의 우려가 있습니다.
•다른 부위에 연결하여 견인하는 경우 차체
손상 및 변형의 우려가 있으므로 필히 견인
후크에 연결하십시오.
주 의
견인 후크를 정확히 체결하지 않을 경우 차체 손
상 및 관련 부품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 의
OHR042006OHR042006
5m 이내5m 이내
흰천흰천
3. 차간거리를 그림과 같이 유지하고 중앙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흰천을 부착합니다.
• 자동변속기 차량은 견인할 때 반드시 다
음 사항을 준수하십시오.
- 견인 방향 : 전진 방향
- 견인 속도 : 15km/h 이내
- 견인 거리 : 1.5km 이내
4. 운전자 상호간에 연락을 하면서 견인합니다.
• 견인하는 차량보다 견인되는 차량이 무
거운 차량의 견인은 피하십시오.
• 브레이크 제동 성능이 평소보다 나빠지
므로 제동시에는 브레이크 페달을 평소
보다 힘껏 밟으십시오.
• 파워 핸들 장착 차량은 파워 핸들 장치
가 작동되지 않게 되어 핸들 조작이 매우
무거워지므로 평소보다 핸들을 강하게
조작하십시오.
• 긴 경사길을 내려올 때는 브레이크가 과
열되어 제동 성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
므로 자주 차량을 정지시켜 브레이크를
식히십시오.
긴급한 상황 이외에는 급가속 또는 급정차는
절대 삼가십시오.
주 의
견인 후크를 정확히 체결하십시오. 견인 시
자동차 견인력에 의해 견인 후크 등이 튕겨
나가 심각한 부상이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
습니다.
경 고
Page 235 of 296
비상시 응급 조치
5-31
OHR042005OHR042005
0시동이 꺼져 견인하는 경우
•조향 핸들이 잠기지 않도록 시동 스위치를
「ACC」위치에 놓습니다.
•브레이크 제동 성능이 평소보다 나빠지므로
제동시는 브레이크 페달을 평소때보다 힘껏
밟으십시오.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는 브레이크가 작동하
지 않으므로 긴 경사길을 내려올 때는 로프로
견인하면 매우 위험합니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작동되지 않게 되어 핸
들 조작이 매우 무거워지므로 평소보다 핸들
을 강하게 조작하십시오.
OHR042001OHR042001
0교차로/ 건널목에서 시동이 꺼진 경우
•교차로나 건널목의 한 가운데에서 시동이 꺼졌
을 때는 변속레버를 「N」(중립)에 위치 시킨 후
주의의 가까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아 차를
밀어내어 안전한 장소까지 이동시키십시오.
•이그니션 록(Ignition Lock)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수동변속기 차량은 배터리 상태가 양호
할 때 변속레버를 2단 이나 3단에 위치하고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스타터를
돌리면 스타터의 힘으로 전진합니다.
고장이 나면
긴급할때는 열차에 알려 사고를 방지하십
시오.
경 고
Page 236 of 296
비상시 응급 조치
5-32
OHR012010OHR012010
0고속도로에서 고장이 난 경우
도로 가장자리의 안전한 곳에 차량을 정지시킨
다음 비상 경고등을 켜고 비상표지판을 설치하여
차가 정차해 있다는 것을 다른 차량이 확실히 알
수 있도록 합니다.
탑승자는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십시오.
OHR042007OHR042007
0주행중 시동이 꺼진 경우
적절한 조치로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 합니다.
브레이크 작동 상태가 나빠지므로 평상시보다 브
레이크 페달을 힘껏 밟습니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핸들조작이
매우 무거우므로 평소 보다 핸들을 강하게 조작
하십시오.
0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완전히 밟고, 엔진 브레이크(기어 저
단 변속)와 주차 브레이크를 함께 사용하여
속도를 줄여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십시오.
•정차 후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종합/전문 블루핸즈에 연락하십시오.
브레이크 효과가 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의 주행은 위험하므로 절대로 주행하지 마
십시오.
경 고
Page 237 of 296
비상시 응급 조치
5-33
OHR012010OHR012010
0노상에서 주행중 고장이 난 경우
•주행 중 노상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는 도로
변에 차를 정지시키고 비상 경고등을 켜서 제
2의 사고를 방지하십시오.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 도로에서는 차량 후
방(주간 100m, 야간 200m)에 고장차량을 확
인할 수 있는 비상용 삼각판을 설치하도록 되
어 있습니다.
터널내에서의 정차는 위험하므로 터널을 벗어
나서 정차하십시오.
주 의
•고장부위를 점검하여 수리 가능할 때는 타차
량 통행에 주의하여 작업하십시오.
수리 불가능시는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
터 또는 종합/전문 블루핸즈에 연락하십시오.
OEA060013OEA060013
0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비상 삼각대)
▶사용 방법
• 차량 출고시 본 취급설명서와 함께 키트 박
스에 넣어져 지급된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
판(비상 삼각대)를 항상 즉시 사용할 수 있
는 위치 또는 고객이 원하는 위치에 보관하
십시오.
• 도로 교통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고장 자동
차 정지표지판(비상 삼각대)은 주행전에
반드시 휴대 여부 및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Page 238 of 296
비상시 응급 조치
5-34
▶설치 방법
케이스에서 비상 삼각대를 꺼내 좌/우 날개를
올려 삼각형으로 맞추어 서로 교차되게 연결
홈에 고정시키십시오.
비상 삼각대 하단에 위치한 네개의 다리를 좌/
우로 펼쳐 넘어지지 않도록하여 차량 후방(주
간 100m, 야간 200m)에 고장 차량을 확인할
수 있는 비상 삼각대를 설치하십시오.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비상 삼각대)을 설치
하고자 할 경우 통행 차량에 주의하여 안전하
게 설치하십시오.
주 의
사고 및 차량 화재시 응급조치
사고를 일으키거나 사고를 당한 경우에는 인명
제일을 고려해 다음 조치를 하십시오.
1. 후속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비상경고등을 켜
고 다른 차에 방해가 되지 않는 안전한 장소
(도로 옆, 공터)에 차를 세우십시오.
2. 부상자를 구호하여 구급차를 요청합니다.
3. 가까운 경찰서에 연락하십시오.
4. 경찰관 도착 후에는 지시에 따라 주십시오.
5. 경미한 사고라도 꼭 의사의 진단을 받으십시오.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사고차로부터 연료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인화·폭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을 정지시키고 현장에서
는 담배불 등의 화기를 멀리하십시오.
경 고
OHR012030OHR012030
0차량 화재시 응급조치
즉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여 엔진을 정지시킨
후 소화기등으로 진화하십시오. 진화 등의 응급
조치를 하지 못할 상황이라면 사람들의 접근을
막고 경찰서나 소방서에 연락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십시오.
안전을 위해 항상 소화기를 차내에 비치하십시
오. 소화기는 인근 소방기구 판매업소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Page 239 of 296
비상시 응급 조치
5-35
폭설 시 행동요령
•라디오를 항상 청취하고 고속도로 안내전화 1588-2504를 이용합시다.
•커브길, 고갯길, 교량 등에는 감속운전을 하십시오.
•차량방치 및 갓길 주차는 제설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니 삼가십시오.
•부득이 벗어날 때는 연락처를 반드시 남겨 두십시오.
•차간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브레이크 사용을 자제하십시오.
•수시로 차량 주변의 눈을 치워 배기관(머플러)이 막히지 않도록 하십시오.
※ 고속도로 콜센터 전화 및 권역별 라디오 주파수 안내
•고속도로 안내전화 : 1588-2504, 031-710-7240~5, 031-710-7251~6
•재난 시 라디오 주파수
구 분 서 울 대 전 대 구 부 산 광 주 군 산 원 주 강 릉
KBS 표준 97.3 94.7 101.3 103.7 90.5 96.9 97.1 98.9
MBC F4U 91.9 97.5 95.3 88.9 91.5 99.1 98.9 94.3
표준FM 95.9 92.5 96.5 95.9 93.9 94.3 92.7 96.3
SBS (지역민방) 107.7 95.7 99.3 99.9 101.1 90.1 105.1 106.1
교통방송 95.1 102.9 103.9 94.9 97.3 102.5 105.9 105.5
[NSC(국가안전보장회의) 권장 대국민 행동 요령]
Page 240 of 296
엔진부의 명칭 ..................................................................................6-3
일상점검 항목 ..................................................................................6-4
점검 정비 ..........................................................................................6-6
정기점검 주기표 ..............................................................................6-8
통상조건 ............................................................................................. 6-8
가혹 조건 .......................................................................................... 6-11
엔진오일 ........................................................................................ 6-12
엔진오일량 점검 ............................................................................. 6-12
엔진오일 보충 ................................................................................. 6-12
엔진 오일 및 필터 교환 ................................................................6-13
냉각수 ............................................................................................ 6-14
냉각수량 점검 및 보충 ................................................................6-14
추천 냉각수 ..................................................................................... 6-15
냉각수 교환 ..................................................................................... 6-15
자동변속기 오일 ........................................................................... 6-16
수동변속기 오일 ........................................................................... 6-17
리어액슬 기어오일 ....................................................................... 6-18
에어 클리너 필터 ......................................................................... 6-18
에어 클리너 필터 교환 ................................................................. 6-18
에어 클리너 필터의 점검 ............................................................. 6-19
파워 스티어링 오일 ..................................................................... 6-20
파워 스티어링 호스 ....................................................................... 6-20
브레이크 및 클러치액 ................................................................. 6-20
와셔액 ............................................................................................ 6-21
타이어 ............................................................................................ 6-22
타이어의 교체시기 ........................................................................ 6-23
타이어 외관 ..................................................................................... 6-24
타이어 위치교환 ............................................................................. 6-24
타이어 측면표시 ............................................................................. 6-26
저편평비 타이어 ............................................................................. 6-28
배터리 ............................................................................................ 6-29
클러치 페달 ................................................................................... 6-31
브레이크 페달 ............................................................................... 6-31
핸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2
와이퍼 블레이드 및 암 점검 ....................................................... 6-32
와이퍼 블레이드 교환방법 .......................................................... 6-33
연료필터 물빼기 ........................................................................... 6-35
각종 벨트 장력.............................................................................. 6-36
전구의 용량 및 교환 .................................................................... 6-37
헤드라이트 전구 교환 .................................................................. 6-38
할로겐 전구 교환시 주의사항 .................................................... 6-40
방향지시등(앞쪽)/차폭등 전구 교환 ....................................... 6-41
안개등 전구의 교환 ..................................................................... 6-42
방향지시등(뒤쪽), 정지등/미등, 후진등 전구 교환 ............. 6-43
번호판등 전구 교환 ....................................................................... 6-44
실내등(독서등) 전구 교환 ........................................................... 6-44
정기 점검
6장 목차
6